몬테네그로 축구 국가대표팀

 


'''몬테네그로 축구 국가대표팀'''
'''Fudbalska reprezentacija Crne Gore'''
'''정식명칭'''
Fudbalska reprezentacija Crne Gore[1]
'''FIFA 코드'''
MNE
'''협회'''
몬테네그로 축구 협회 (FSCG)
'''연맹'''
유럽 축구 연맹 (UEFA)
'''감독'''
미오드라그 라둘로비치 (Miodrag Radulović)
'''주장'''
스테판 요베티치 (Stevan Jovetić)
'''최다출전자'''
파토스 베치라이 (Fatos Bećiraj) 74경기
'''최다득점자'''
스테판 요베티치 (Stevan Jovetić) 28골
'''홈 구장'''
포드고리차 시티 스타디움 (Podgorica City Stadium)
'''첫 국제경기 출전'''
VS 헝가리 (2:1 승), 몬테네그로 포드고리차 (2007년 3월 24일)
'''최다 점수차 승리'''
VS 산마리노 (6:0 승), 산마리노 세라발레 (2012년 9월 11일)
'''최다 점수차 패배'''
VS 잉글랜드 (0:7 패), 잉글랜드 런던 (2019년 11월 14일)
'''별칭'''
Hrabri sokoli (용감한 매)
'''현 FIFA 랭킹'''
63위
'''현 Elo 랭킹'''
56위
'''유니폼 컬러'''
'''홈'''
'''어웨이'''
'''상의'''
'''하의'''
'''양말'''


몬테네그로축구 국가대표팀을 다루는 항목.


1. 개요


용감한 매(Hrabri sokoli)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유고슬라비아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기록은 세르비아가 승계하므로 아직까지 월드컵과 유로 본선에 진출한 적은 없다.
현재 유니폼 스폰서는 레게아(LEGEA)이다.

1.1. 유고슬라비아 시절


[image]
유고슬라비아 시절 축구협회 엠블렘
발칸 반도와 동구권의 강호로 명성을 떨쳤으며, 현재 세르비아가 그 뒤를 잇고 있다. 1930년 월드컵 세계 4강을 시작으로 구유고의 찬란한 축구역사가 시작되었다. 1954년 스위스 월드컵, 1958년 스웨덴 월드컵에서 잇따라 8강에 올랐고, 이런 활약을 통해 1962년 칠레 월드컵에서 세계 4위를 기록하는 기염을 토했다. 또한 1960년 유럽축구선수권대회, 1968년 유럽축구선수권대회에서 준우승하며 동구권의 강호로 성장해나갔다.
그러나 그동안 동유럽의 강호를 자처했던 유고슬라비아는 1970년대에 접어들자 급격히 쇠퇴하기 시작하며 연이은 예선 탈락을 경험한다. 1990년 이탈리아 월드컵에서 8강 진출에 성공하며 부활하는 듯했으나, 유고슬라비아 전쟁으로 인해 유고슬라비아는 분열되었고, 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1990년 FIFA 월드컵을 마지막으로 국제 무대에서 모습을 감추었다.

1.2.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시절


1992년에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공화국이 붕괴되면서 유고슬라비아 연방이 구성되었을때 생겼으며, 2003년 국호 변경을 거쳐 연방이 해체된 2006년까지 존재했었다
[image]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시절 축구협회 엠블렘

1.3. 몬테네그로 시절


2006년 6월 5일 세르비아 몬테네그로가 분리되면서 탄생하였다. 아직까지 월드컵 본선에 오르지 못했다. 2007년에는 경기 경력이 거의 없어서 FIFA 랭킹 199위에 그치기도 했지만 2011년에는 16위까지 뛰어올랐다. 인구 60여만명인 작은 나라 치고는 랭킹이 상당히 높다. 2013년 초에는 30위권으로 내려갔다. K리그의 레전드 공격수 데얀이 이 시기 주축으로 뛰었다. 뒤에서 소개를 하겠지만, 메이저 대회에는 뭔가 모습을 드러낼 것 같으면서도 한 끗 차이로 못하고 있다.[2]
유로 2012 대회예선에서 잉글랜드, 스위스, 불가리아, 웨일스와 같은 조였는데 아슬아슬하게 승점 1점 차로 스위스를 제치고 조 2위에 올라 플레이오프로 올라갔다. 사상 첫 유로 진출에 도전했지만 1차전 체코 원정에선 0-2로,안방에서도 0-1로 지면서 탈락했다.
2014 브라질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에서는 몬테네그로가 피파 랭킹이 높던 전성기였던 2011년 7월 기준 피파 랭킹이 시드 배정에 반영되어, 몬테네그로는 17위라는 높은 랭킹을 기준으로 프랑스, 러시아 등과 함께 2번 시드에 배정되었다. 그 결과 잉글랜드, 우크라이나, 폴란드, 몰도바, 산마리노와 한 조에 편성되었다. 초반에 몬테네그로는 2번 시드 배정국 답게 잘 나가면서, 2013년 3월까지 치른 경기 결과 한 수 위라던 잉글랜드를 조 2위로 밀어내며 조 1위를 달리는 기염을 토하기도 했다. 이때 FC 서울의 공격수 데얀이 예선전 통틀어 4골을 넣었으며, 이 중 2골은 잉글랜드를 상대로 기록한 것이다. 이에 따라 몬테네그로는 월드컵 진출이라는 기대를 하기도 했지만, 6월 경기에서 우크라이나에 4대 0으로 패하고, 10월 경기에서도 잉글랜드에 4대 1로 패하면서 조 3위로 예선 탈락하고 말았다. 막판의 부진이 반영되었는지, 2013년 10월 피파 랭킹은 54위로 추락했다.
유로 2016 예선에선 G조에 속해서 러시아, 오스트리아, 몰도바, 스웨덴, 리히텐슈타인과 맞붙게 되었다. 오스트리아나 몰도바나 리히텐슈타인은 문제없을 듯 하지만 러시아,스웨덴을 넘어서긴 어려울 듯 싶다. 4경기 동안 1승 2무 1패를 거두며 러시아와 같이 공동 3위를 다투던 상황에 2015년 3월 27일 안방에서 가진 유로 5차 예선 경기에서 상대방인 러시아 골키퍼 이고르 아킨페프가 킥오프 직후 몬테네그로 관중석에서 날아온 폭죽을 맞고 쓰러져 병원으로 옮겨지는 불상사가 벌어졌다. 결국 거친 경기 끝에 경기는 중단되면서 러시아의 3-0 몰수승으로 결론이 나게 되었고, 몬테네그로는 5만 유로(약 6000만 원)의 벌금과 홈 2경기 무관중 징계를 받게 되었다. 하지만 러시아도 일부 팬의 폭행 가담 혐의가 인정되어 2만 5천 유로(약 3000만 원)의 벌금을 부과받았다.
2018년 러시아 월드컵 유럽 지역예선에서 상당히 어려운 조에 속했다. 폴란드, 덴마크, 루마니아와 같은 조에 속한 것. 서로의 전력이 확 차이나지 않기 때문에, 나머지 두 팀인 카자흐스탄, 아르메니아에게 얼마나 발목을 잡히지 않느냐가 주요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3차전 덴마크와의 원정경기에서 파토스 베치라이의 골로 1대 0 승리를 거두며 "드디어 월드컵 본선진출을 하는가?"라는 기대감을 불러일으켰다. 하지만 꼭 잡아야 할 아르메니아와의 경기에서 2대 3 대역전패를 당해버린다. 이 경기 이후 침체에 빠져 폴란드와의 홈경기에서도 1대 2 석패, 이후 카자흐스탄, 루마니아에게 연승을 거두며 다시금 희망을 살렸으나, 10월 마지막 2연전에서 덴마크, 폴란드에게 연패하며 결국 조 3위로 탈락했다. 스테판 요베티치가 7골, 파토스 베치라이가 4골을 넣으면서 나름 분전했지만, 아르메니아전 역전패가 두고두고 아쉬울 대목
유로 2020 예선은 그야말로 최악. 코소보, 체코, 불가리아, 잉글랜드와 한 조에 속해 1승도 거두지 못하고 조 꼴찌를 찍어버렸다. 특히 한 나라였던 신생국가 코소보에게 1무 1패로 밀린 것과 잉글랜드 원정에서 0-7로 대패한 것은 처참한 이번 대회에서의 몬테네그로 대표팀 모습을 압축해서 보여준 장면. 예선 통틀어 3골밖에 못 집어넣은 빈공과 8경기 22골이나 내준 수비진의 자동문 수비가 콜라보된 최악의 결과였다. 이 와중에 K리그 인천 소속 스테판 무고샤는 그 3골 중 2골을 책임지며 최전방 에이스로 고군분투했다. 어째 독립 후 가면 갈수록 대표팀 전력이 퇴화하고 있다.
2011년 대한민국과 평가전을 치를 뻔했으나 도호쿠 대지진 여파로 인해 취소되었다. 따라서 아직 대한민국과 맞대결한 적은 없다. 대신 대한민국과 인연이 있는 공격수가 많은데, K리그 통산 득점 2위를 달리는 데얀이 몬테네그로 통산 득점 4위를 마크하고 있으며, 같은 시기 K리그 인천과 성남, 수원에서 활약했던 공격수 제난 라돈치치도 소집된 적이 있다.[3] 현재 인천 유나이티드의 주전 공격수인 스테판 무고샤K리그에서 뛰고 있으면서 대표팀에서도 핵심 공격수로 활약하고 있다. A매치 경력은 2020년 3월 현재 35경기 출장 10골. 2019년 몬테네그로 올해의 선수에도 뽑혔다.
유명 선수로는 앞서 언급된 스테판 무고샤와 라리가 레반테의 미드필더 니콜라 부체비치, AT마드리드의 수비수 스테판 사비치 정도가 있다. 미르코 부치니치가 은퇴했고 스테판 요베티치, 데얀 다미아노비치가 대표팀에서 멀어지며 얇은 인재풀의 한계에 마주한 상황이다. 그래도 SS 라치오아담 마루시치, 앙제 SCO의 다니옐 페트코비치 같은 준척급 선수들이 몇몇 있어 아주 바닥으로 떨어지지는 않고 있다. 그러나 대표팀 선수 대부분의 나이가 20대 중후반에 돌입했고, 이를 받쳐줄 신예 선수들이 거의 없는 상황이다. 특히 최전방쪽은 문제가 제일 심각해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시국으로 인해 대륙간 이동이 자제되는 상황에서도 K리그에서 뛰는 대표팀 핵심 공격수 스테판 무고샤를 무리하게 소집하려다가 9월, 10월 두 차례나 소집이 무산되기도 했다. 이는 곧 무고사 아니면 답이 없는 현 몬테네그로 대표팀의 최전방 사정을 여실히 보여주는 사건이다. 그러면서 과거의 주포 스테판 요베티치와 파토스 베치라이가 최전방의 임무를 여전히 떠안고 있는 현실이다. 이는 11월 네이션스리그에서 또 다시 증명됐는데, 리그가 끝나고 드디어 대표팀에 소집된 스테판 무고샤가 최종전 키프로스전에서 골을 작렬하며 몬테네그로는 차기시즌 리그 B 승격과 2022 카타르 월드컵 플레이오프 확보의 유리한 고지에 올랐다.

2. 역대전적



2.1. FIFA 월드컵


연도
라운드
순위
경기



득점
실점
2010 남아공 월드컵
예선 탈락
2014 브라질 월드컵
예선 탈락
2018 러시아 월드컵
예선 탈락
2022 카타르 월드컵
?
?
?
?
?
?
?
?
합계
본선진출 없음
0/20[4]







2.2. UEFA 유로


연도
라운드
순위
경기



득점
실점
오스트리아, 스위스 2008
불참
폴란드, 우크라이나 2012
예선 탈락
프랑스 2016
예선 탈락
유로 2020
예선 탈락
합계
본선진출 없음
0/15







[1] 몬테네그로어[2] 유로 2012 : 잉글랜드에 밀려 조 2위로 플레이오프에서 갔지만 체코에 패해 탈락, 2014 브라질 월드컵 : 잉글랜드, 우크라이나에 밀려 3위 탈락, 유로 2016 : 오스트리아, 러시아, 스웨덴에 밀려 4위 탈락, 2018 러시아 월드컵 : 폴란드, 덴마크에 밀려 3위 탈락, 유로 2020 : 잉글랜드, 체코, 코소보, 불가리아에 밀려 유일하게 조기 탈락.[3] 라돈치치는 소집되었으나 출전은 하지 못했다.[4] 월드컵 본선 출전 비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