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스전
1. 게임 용어
영상은 시리어스 샘 최종 보스 우잔3세와의 전투.
게임에서 중간 보스, 스테이지 보스, 최종 보스 등과 전투를 치르는 레벨 디자인적 이벤트를 뜻한다. 졸개들만 나오는 아레나와 달리 여기에선 보스와의 전투가 주다.
대부분 공통적으로 보스 캐릭터는 플레이어블 캐릭터보다 덩치가 더욱 크고 움직임이 플레이어블 캐릭터보단 좀 더 굼뜬다. 그래서 이 굼뜬 타이밍을 노려 보스를 공략하기도 한다.
보스전을 치루는 아레나는 높은 확률로 원형의 평지이거나, 규모가 어마무시하게 커다란 경우가 많다. 좁은 곳에선 보스전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특정 이벤트 진행 혹은 마지막 보급 이후에 보스와의 전투가 시작되고, 더불어 졸개들도 덤으로 나오기도 한다. 당연히 전투를 무시하고 다음으로 진행하는것이 불가능하며[1] 나가고 싶으면 전투를 끝까지 수행해야 한다.
하지만 오늘은 이만 물러가주지 클리셰의 게임 버전 격으로 절대로 이길 수 없는 보스를 상대로 지는 게 강제되는 보스전도 있고, 포탈의 GLaDOS처럼 보스를 직접 타격하는 게 아니라[2] 글라도스도 제어할 수 없는 포탑[3] 이 글라도스를 로켓으로 맞추도록 팀킬을 유도하여 깨는 방식 및 하프 라이프 2의 월리스 브린의 경우처럼 쏟아져 나오는 졸개들을 적당히 청소하면서 플레이어의 진로를 막는 구조물을 파괴하는 방식도 있다.
가끔 슈&칸 경우처럼 보스가 두 체 이상이거나 최종 보스 이전에 중간 보스들이 졸개처럼 재등장해 연속으로 전투를 치루는 보스 러시 경우도 있으며, 엘리트급 졸개가 평상시보다 유리한 지형 구조를 끼고 보스로 나오기도 한다.[4][5] 그밖에도 보스와의 전투에서 승리하면 전투장이나 요새가 무너지는 무너지는 구조물 경우도 있다.
일반적으로 보스는 AI에 의해 조작되는 적대 NPC인 것이 일반적이지만, 멀티플레이 게임의 경우는 일부 유저에게 보스 역할을 맡기는 경우가 있다.[6] 또한 특수 좀비들이 보스 개념으로 있는 좀비전도 이에 어느정도 근접해 있다. 본 문서에서 주로 설명하는 비디오 게임과는 조금 다른 예긴 하지만 TRPG나 보드 게임이라면 보스도 게임 진행자가 맡는 게 당연하긴 하다.
과거에는 이런 보스전이 당연히 있어야 할 필수요소급이었으나 어째 시간이 지날수록 중요도가 떨어지고 있다. 심지어는 보스전이 있을법한 구간도 잡졸 웨이브 정도로 대체되거나, 보스는 커녕 유니크한 적 개체같은 개념조차 희박한 경우도 있다. 이에 대해 아쉬움을 드러내는 게이머들이 많은 상황.
1.1. 관련 문서
1.2. 참고 문서
2. 브롤스타즈의 게임 모드
브롤스타즈/게임 모드/보스전 문서 참조.
[1] 다만, 와리오 랜드의 특정 보스는 상대하기 귀찮으면 나가라고 보스룸에 대놓고 출구가 있다. 동영상 3분 15초 참조.[2] 애당초 포탈건 자체가 벽과 벽을 두가지 색의 구멍으로 연결하는 거지, 명도잔월파처럼 공간째 도려내는 무기가 아니다 보니. 콘솔 명령어로 하프라이프 2의 무기를 불러와도 원래는 차례차례 떨궈야하는 코어를 빠르고 간단하게 떨어뜨릴 수 있을 뿐, 글라도스 자체를 무기로 격파할 순 없다.[3] 설정상 로켓 터렛이라고 하며, 글라도스와 조우한 순간 '우연히' 떨어진 윤리 코어가 로켓 터렛을 제어하는 역할도 하고 있었기 때문에 첼이 윤리 코어를 소각로에 넣어버린 시점부터 로켓 터렛을 제어할 수 없게 되었다고 한다.[4] 대표적인 예가 하프 라이프 2: 에피소드 1 막판 보스로 등장하는 스트라이더.[5] 가끔 정반대로 초반의 보스가 나중에 엘리트 몹으로 나오는 경우도 있다. 처음에는 각 에피소드의 최종보스로 등장했지만 나중에 가선 심심찮게 적으로 출현하는 둠 시리즈의 사이버데몬과 스파이더 마스터마인드를 예로 들 수 있다.[6] 예를 들어 다크 소울 시리즈는 온라인 서버를 통해 다른 플레이어의 맵에 침투해서 싸우는 시스템이 있는데, 특정 맵에서(데몬즈 소울의 황금 옷 노인 보스전, 다크 소울 2의 거울의 기사 보스전, 다크 소울 3의 교회의 창, 하프라이트 보스전 등) 침투를 시도할 경우 침투한 플레이어가 보스나 보스 패턴의 일부분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