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현역
Bokhyeon Station
[clearfix]
1. 개요
복현오거리에 건설될 대구 도시철도 엑스코선의 역(후보)이다. 향후 4호선과 환승될 예정이다. 그래서 엑스코선 10개 역 중 이 역이 생길 확률은 꽤 높은 편이다.
2. 역정보
복현동과 산격동의 경계상에 위치하고 4번 국도(동북로) 인근에 건설된다. 동시에 복현고가차도도 철거가 이뤄질 수 있다. 실제로 미관을 해치고 불필요하단 지적이 계속되어 철거 논의가 매 선거철마다 반복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용지역도 역 하단에 고가도로를 염두해두고 건설된만큼 복현고가를 철거하지 않고 고가 위로 선로를 통과시킬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역사의 높이는 고가도로에서 최소 4.5미터 이상, 지상에서 최소 18미터 이상이 되어야한다.
주변에 아파트단지가 많지만 시내로의 이동을 위해 엑스코선을 이용하는 것이 과연 시내버스보다 경쟁력이 있을까라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복현동에서 시내까지 시내버스로는 15분에서 30분 사이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는 대구의 도시구조가 동성로의 단일핵에 영원히 머무를 거라는 생각에 기반한다. 대구광역시에서는 서대구역과 더불어 동대구역을 새로운 중심지으로 확장하여 최종적으로 도시구조를 3축 다핵도시로 변화시키는 구상을 하고 있다. 그리고 엑스코선은 동대구를 제2도심으로 부흥시키는 촉매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동대구가 동성로에 버금가는 번화가로 발전하면 도시철도가 반드시 시내를 이을 필요성은 없어지는 것이다. 물론 이에 대해서는 1960년대부터 동대구 일대를 신도심으로 키우려 시도#하였으나 부도심에 머무르고 있다는 점을 들어 반론이 가능하다.
그러나 동대구역으로의 이동을 위한 경쟁력은 조금 더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복현동에서 동대구역까지는 걸어도 50분 내외로 도착할 수 있고 시내버스 노선인 937번[1] 이나 413번[2] , 순환 3번[3] 을 이용하면 30분 내외에 도착할 수 있다. 또, 장기적으로 동대구로에서 파티마 병원 지하를 통해 신암공원 또는 복현 네거리까지 연결하는 지하도가 개통한다면 교통정체를 피하기 위한 차원이 아닌한 경대 서문에서 공고 네거리로 우회하는 엑스코선을 탈 이유는 줄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엑스코선이 지나갈 복현오거리는 동북로, 대학로, 검단로, 공항로가 만나는 지점으로 시내버스간 환승과 유동 인구의 이동이 잦아[4] 교통 정체가 심한 곳이라 역이 생기면 환승 저항을 감안하더라도 고정적인 이용층을 확보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만약 확보를 하지 못하더라도 환승센터로서의 역할은 충분히 해낼 수 있다고 생각된다.
역의 위치는 복현오거리 남쪽(대학로)보다 북쪽(검단로) 쪽에 들어설 가능성이 높다. 검단로가 대학로보다 도로 폭이 넓기 때문이다. 게다가 복현오거리 남쪽은 진로방향별 차로를 구비하기 위해 이미 법정 최소 한도의 차로폭(2.75m)으로 쪼개놨기 때문에 여기서 모노레일 교각이 들어설 부지까지 확보하기가 어렵다. 그에 반해 북쪽은 상대적으로 여유로우며 교통도 덜 혼잡한 편이다.
2.1. 승강장
2.2. 일평균이용객
3. 역 주변 정보
4. 연계교통
[1] 937번의 경우 경북대 정문 방향으로 가냐 서문으로 가냐의 차이일 뿐 공고 네거리를 거쳐 동대구역까지 가는 방향이 엑스코선과 겹치는 상태다.[2] 937번과 같이 복현 오거리와 네거리를 거쳐 동대구역에 가는 노선으로 경대 정문으로 올라가는 937과 달리 신암공원과 KT 동대구 지사를 거쳐 동대구역으로 향한다.[3] 937, 413번과 같이 복현오거리와 네거리를 거치며, 1호선 동구청역과 동대구역 인근인 전기안전공사 대구본부에서 하차할 수 있다.[4] 상술한 937, 413, 순환 3번 모두 지나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