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전투병
1. 소개
전투에 직접적으로 참가하지 않고 지원임무('전투근무지원')를 수행하는 병력으로 보통은 인식이 된다. 그러나 '전투지원'이라고 하여, 이중 일부는 간접적으로 전투를 수행하는 경우도 있다. 대한민국 국군의 경우에 국군병원, 군수지원부대와 같이 비전투병 위주로 편성된 부대를 전투근무지원부대나 기술행정부대(기행부대)로 부른다.
현대 미군 같은 경우는 경제적 이유와 군 기동성 확보를 위해 이런 분야를 민간에 외주 주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전장에서 실제로 민간군사기업이 담당하는 중요한 분야는 직접전투가 아니라 이런 분야. 그러나 이라크 전쟁과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을 통해 테러나 게릴라전에 대응하는 경우가 많아지자 '''수틀리면 전부 전투병'''인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대표적으로 수송 임무를 수행 중이던 수송대나 지뢰 제거 중이던 공병이 기습을 받는 경우 해당 부대원들이 습격을 격퇴해야 하는 경우가 늘어난 것이다.
때문에 현대 미군은 비 전투병과의 전투훈련을 강화한다던지 대표적인 훈련이 수송 부대가 기습받았을 때를 상정하여 이동 중이던 수송차량 운전병과 행정병 등이 유사시 편제를 이뤄 실탄 사격이 포함된 반격 작전을 펼치는 훈련이다. 또한 소대 및 중대 지원화기 교육을 원래 사수 뿐만이 아니라 전 중대원을 대상으로 한다든지[1] 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덕분에 이전에 비전투병 취급이던 병과가 무장이 점점 보병 수준으로 강화되거나, 각개전투를 배우거나 한다. 심지어는 AH-64 조종사들이 추락할 경우를 대비하여 소총을 들고 헬기에 탑승하는 경우도 목격되고 있다. 한편, PDW가 원래 비전투병을 위해 개발이 되었으나, 이런 상황 속에서 원래 목적 보다는 특수부대의 근접전용 무기로 사용되는 기이한 현상이 벌어졌다.
뭐 머나먼 미국만의 이야기는 아니고, 한국군도 이런 상황을 어느 정도 상정은 한다. 전방일수록 그 확률은 높다. 그리고 가끔 높으신 분들이 비전투병의 전투력도 올리겠다며 훈련 등에서 강수를 두는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비전투병은 특성상 전투병보다 대체적으로 몸이 편한 장점이 있으나, 그만큼 중요한 업무가 있다는 말이라서 스트레스도 많이 받으며, 이런 높으신 분들에게 걸리면 빡세지기 십상이다.
판타지나 사극 등의 소설을 쓸 때 병력 수가 말도 안되게 뻥튀기 되는 이유는 작가가 이들의 존재를 모르거나 무시하기 때문. 수송 능력이 열악하던 고중세에 병력의 60~70%는 비전투부대라고 생각하면 쉽다.[2] 한 예로 고구려를 침공했던 수의 100만 대군도 70만은 비전투부대였다. 게다가 이들도 인간인 이상 자원을 마찬가지로 소모하므로 전투가 장기화되면 전투부대가 써야 할 자원까지 이들이 다 잡아먹는 웃지 못할 사태가 발생한다. 몇십년을 준비하고도 장거리 원정을 속전속결로 끝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2. 유형
[1] 유사시 사수가 쓰러지면 주변에 있는 아무나 붙잡고 쏠 수 있게[2] 그래서 병력의 30%가 손실됐다 하면 전투병력의 대다수가 사망한 것이므로(아무래도 비전투병보단 전투병이 많이 죽으니까) 완패나 다름 없는 결과다.[3] 흔히 군사경찰을 전투병과로 착각하는 사람이 많은데 군사경찰은 지원병과에 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