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7024
1. 노선 정보
2. 개요
원버스에서 운행 중인 지선버스 노선으로, 총 운행거리는 13.6km다.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구 서대문구 8-2번 마을버스(봉원사 - 서부역)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시내버스로 전환되었고, 번호도 7024번으로 바뀌었다.
- 2004년 9월 15일에 봉원사 - 독립문 구간이 단축되었다.
- 2005년 8월 10일에 7736번(봉원사 - 신촌오거리)과 통합하면서 봉원사 - 신촌오거리 구간이 연장되었고, 세브란스병원 구내로 들어가게 되었다.
- 2010년 1월 8일에 남영역까지 가게 되었으며, 봉원사에서 나와 신촌역을 먼저 경유하던 것이 서울역을 먼저 경유하도록 바뀌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13년 3월 19일에 '서울역 - 남영역' 구간이 단축되어 서울역버스환승센터에서 회차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단축 이전에는 서울역 앞과 서부역을 모두 들러 더욱 복잡한 노선이었다.
- 연세로 교통전용지구 조성공사로 인하여 2013년 9월 28일부터 공사가 끝날 때까지 273번처럼 홍대를 경유한 뒤, 다시 신촌기차역을 거쳐 이대후문 및 봉원동으로 들어가는 기괴한 노선이 되었다.
- 2015년에 세브란스병원 셔틀버스가 생기면서 더 이상 세브란스병원에 들어갈 필요가 없어졌고, 배차간격 단축과 굴곡 개선, 소요시간 단축 등의 민원이 많아 2017년 8월 7일부터 세브란스병원 구내에 들어가지 않는다. 관련 공문 관련 게시물 원래는 7월 31일부터 들어가지 않을 예정이었으나 연기되었다. 관련 보고서
- 2017년 8월 15일에 서울역 기점, 신촌역 종점에서 봉원사 기점, 서울역 종점으로 바뀌었다. 관련 공문
4. 특징
- 전 차량 중형버스로 운행한다.
- 상당히 복잡한 노선이 눈에 띄는 노선인데, 한번에 이 버스의 운행계통을 이해하기는 어렵다. 봉원사에서 출발하여 이대후문 - 금화터널 - 서대문역 - 서울역버스환승센터까지 운행하는 것이 왕편 편도 운행계통이다. 여기까지는 그래도 쉽지만, 복편이 골 때린다.
- 서울역버스환승센터를 출발한 버스는 유턴하여 다시 서대문역을 지나 다시 금화터널을 통과하여 시종점인 봉원사에 정차하고 다시 내리막을 내려간 뒤 연세대 동문회관 왼편에서 갑자기 세브란스병원 구내 도로로 들어갔었다.[2][3] 그렇게 세브란스병원을 유유히 통과한 뒤, 경의선신촌역 - 2호선신촌역 - 연세로 - 연대정문 - 이대후문을 지나 드디어 종점인 봉원사로 돌아온다. 요약하면 왕편보다 복편이 비대칭적으로 훨씬 길고, 시종점 세 번 들르고 세브란스병원 구내를 운행했던 등 상당히 특이한 점이 많은 노선이다. 더군다나 자주 막히는 구간을 운행하고 통일로 구간 외에는 버스중앙차로의 혜택도 못 받는 노선이기 때문에[4] 배차간격은 들쑥날쑥하다.
- 결국 세브란스병원에서 2호선 신촌역으로 타고 나올수는 있지만 들어갈 수 없었던지라, 2호선 신촌역에서 세브란스 병원 안으로 들어가는 버스를 찾아 헤매는 사람들이 많았다. 신촌역에서는 도로 구조상 택시를 타도 세브란스 병원 구내로 들어가기 힘드니, 괜히 이 버스 찾아 헤매지 말고 1번출구로 나가 세브란스병원 자체 셔틀버스를 이용하거나, 셔틀버스 시간이 안 맞다면 서대문03번이나 서대문04번을 타고 연세대 정문 앞에서 내려 잠깐 걷자.[5] 병원에서 나오고 나서는 앞의 중앙차로 정거장이나 마을버스 등 선택지가 많으므로 원하는 목적지에 따라 타면 된다. 훗날 서부선 경전철이 개통된다면 연세대역이 건설될 예정이므로 세브란스 병원의 접근성이 개선될 것이니 기대해보자... 아니면 2호선 이대역에서 내려서 1번 출구 앞에서 택시를 타고 가도 된다.
- 최근까지 구형노선도가 있는 노선이었으나 세브란스병원 구내 구간 단축 이후로는 구형 노선도를 다 떼어버리고 신형 노선도로 교체되었다.
- 배차간격이 꽤나 들쭉날쭉한 편인데도 불구하고 연간 승하차 인원의 변동이 거의 없는 노선이다. 2017년 세브란스 병원 구간의 단축 이후로도 거의 바뀌지 않았다. 아무래도 서대문구 쪽에 지하철 음영 지역이 많은 관계로 이 버스에 의존하는 고정 승객들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 연세로 차없는거리 시간의 우회 경로가 동교동 경유에서 서강로에서 U턴하여 신촌기차역까지 왕복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4.1. 양방향 경유 구간에서 탑승시
워낙에 노선이 특이하게 합쳐진 경우라 '''봉원사 - 봉원동로터리, 이대부고''' 구간은 4번을 경유한다. 보조 행선판을 2개씩 두고 각각 '''서울역, 신촌역, 봉원사, 공장행'''이라 달고 다닌다.
4.2. 봉원사에서 승차시
- 서울역 방면 : 버스가 봉원사에서 출발할 때와 신촌역으로 갈 때 겹친다. 앞에 행선판을 보지 않고 구분하는 방법은 정류소 표지(녹색, 원버스 스텐실 표기됨.)에서 가장 가까이 있는 버스가 서울역 방향이다.
- 신촌역 방면 : 버스가 서울역을 경유한 후 다시 오는 것이므로 도로쪽으로 나가 있으면 된다.
4.3. 행선판이 해당되는 구간
총 2개의 행선판이 있다. 4개의 목적지가 쓰여있다.
- 서울역 : 봉원사 → 독립문 → 서대문역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구간에 해당된다.
- 신촌역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서대문역 → 독립문 → 봉원사 → 세브란스병원 → 신촌역 구간에 해당된다.
- 봉원사 : 신촌역 → 연세로 → 연세대학교 → 세브란스병원(중) → 봉원사 구간에 해당된다.
- 공장행 : 가스 충전, 차량점검 등으로 은평공영차고지까지 공차회송을 의미한다.
4.4. 일평균 승차인원
4.5. 노선
5. 연계 철도역
- [image]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역
- [image]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촌역
- [image] 수도권 전철 3호선: 독립문역[6]
- [image] 수도권 전철 4호선: 서울역
- [image] 수도권 전철 5호선: 서대문역
- [image]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신촌역, 서울역
- [image]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역
- 일반 철도역: 서울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누리로)
6. 둘러보기
[1] 토요일 / 공휴일 4대 운행[우회] 연세로 통제시 우회운행하며 코스는 신촌역 → 신촌로터리(서강로 U턴) → 신촌역 → 신촌기차역 → 이대부중 순이다.[2] 현재는 세브란스 병원 구내 구간은 다니지 않는다. 그냥 앞에 있는 성산로만 통과.[3] 과거의 정류장명은 연세치과병원 - 어린이병원.재활병원 - 세브란스병원본관 - 의대장례식장(세브란스병원정문)[4] 동사의 7737번도 역시 가변차로로 운행하였으나 DMC 연장 이후 중앙차로로 운행한다.[5] 여담으로 정 택시를 타고라도 안에 들어가고 싶다면 3호선 독립문역에서 타는 것이 도로 구조상 더 빠르고 간단하다.[6] 서울역 방면은 삼호아파트 하차, 신촌(봉원사) 방면은 독립문공원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