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메이트
[image]
1. 개요
2011년 7월 10일 ~ 2012년 2월 5일
개그콘서트의 전 코너. 시작 BGM은 조용필의 '서울 서울 서울'이다. 601회 방영 날짜였던 2011년 7월 10일부터 시작되었다.
경상도 사투리가 난무(?)하는 코너이다. 제목의 유래는 서울특별시와 소울메이트.[1]
2. 내용
주연들은 영남 지방의 시골에서 갓 상경한 류정남, 상경한 지 어느 정도 된 양상국, 상경한 지 몇 년이 된 허경환. 조연들은 조윤호(서빙남 역), 박소라[2] 가 있다. 참고로 주연들과 다르게 조연들은 충청도 출신인데, 조윤호는 대전광역시, 박소라는 충청남도 천안시 출신이다.
류정남, 양상국, 허경환 3명의 약속장소에는 양상국이 먼저 나와 있고, 그 다음 류정남이 나오고, 허경환이 조금 뒤늦게 나온다.
대화 말투를 들으면 류정남은 시골에서 갓 올라와서 100% 경상도 사투리를 쓰고, 양상국은 어느 정도 서울 생활을 해서 그런지 서울말의 억양과 사투리 단어를 적절하게 조합해서 쓰고[3][4] , 허경환은 약간 애매한 서울말을 쓴다. 허경환은 서울말을 쓰다가도 사투리를 쓰는 친구랑 대화하다 보면 자기도 모르게 사투리가 튀어나온다.[5] 그러면서 사투리 사용했다고 자신에게 화내거나 친구 때문에 사투리가 나왔다고 화낸다.
허경환은 '''서울말은 끝에 올린다'''라며 말 끝부분을 말할 때 억양을 올리면서 팔을 쭉 드는 제스처까지 취한다.[6] 예를 들어 "서울말을 끝말만 올리면 되는거 모르니?"라고 할 때 "~니?"라고 말하는 순간 팔을 쭉 들면서 손을 반 정도 접는다. 8월 7일부터는 두 번 꺾어서 "~니~이↗?"까지 나왔다.
그러면서 '''완벽한 서울 사람이 되기 위해서 어떠한 짓을 했다'''라고 친구들한테 자랑을 하는데, 그 자랑 내용을 들어보면 좀 황당하다. 서울 사람이 되기 위해서 '''자다가도 꿈에 시골 배경이 나오면 버스를 타고 서울로 가는 꿈'''을 꾸니, '''지하철 타다가도 같은 칸에 사투리 쓰는 사람이 있으면 옆 칸으로''' 옮겼다는 둥(...), '''설날 기차를 타고 가다가 옆에 앉은 사람이 사투리를 쓰면 내려서 고향까지 걸어가 추석때에야 도착했다'''라거나 '''혐의가 생겼는데 죄가 없는데도 경찰관이 사투리 쓴다는 이유로 묵비권만 행사하다가 전과자가 되었다'''는 것이다.
3명이서 서로 대화를 하다가 서울 사람(조연)이 나타나게 되면 어떠어떠하게 되어서 말을 걸게 된다. 처음에는 류정남이 사투리를 그대로 말을 걸자, 양상국이 화를 내며 '''"서울 아가씨잖아. 서울말로 해야지."''' 라고 한다. 그래서 류정남은 다시 어설픈 서울 억양으로 말을 거는데, 사투리 때문에 서울 사람은 류정남의 말을 못 알아듣는다. 결국 양상국이 류정남에게 화내면서 자기가 하는 거 잘 보라고 해놓고는 억양은 서울 말로 하지만 단어를 사투리로 써서 역시나 서울 사람이 못 알아듣는다.
위의 상황에 나온 단어 '''노나주세요, 쪼갈라주세요, 썽글라주세요'''는 각각 '''나눠주세요,[9] 쪼개주세요, 썰어주세요'''라는 의미이다. 그 단어에 대해 허경환이 비슷한 의미지만 상당히 다르다면서 설명을 한다. 서울 말로 설명을 하려...다가 '''바로 사투리로''' 설명해주는 것이 특징이다.상황 : 주문했던 과일이 나온다. 수박이 너무 커서 서빙남(조윤호)에게 수박 잘라달라고 요구를 하려 한다.
류정남 : 이 과일이 크네요. 크니까 반으로 '''노나'''주세요.
조윤호 : 예?
양상국 : (류정남에게 화냄) '''야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7]
내가 서울말로 하라고 했잖아. 이거 '''확 마 궁디를 주~[8] 차삐까?''' 내가 하는 거 잘 봐.양상국 : (서빙남에게) 저기요? 이 과일이 너무 크네요. 그러니까 이걸 반으로 쫌 '''쪼갈라'''주세요.
조윤호 : 예?
양상국 : 반으로 '''썽글라'''달라고요.
청자(聽者)가 단어 때문에 무슨 뜻인지 못 알아먹는 이러한 패턴은 단 한번만 했던 코너 일단뛰어[10] 에서도 나왔던 패턴[11]허경환 : '''노나'''같은 경우에는 작은 과일을 작은 칼로 '''노나'''가지고 니 주고 내 주고 니 주고 내 주고 4명 이상 주는 게 '''노나'''주는 거야.
그리고 또 중간에 류정남이 자기가 시골에서 가지고 온 아이템을 친구들에게 보여주면 양상국이 류정남에게 화내면서 "시골제품이다!"라고 핀잔을 준다. 이때 거의 친구가 세상을 망하게 했을 정도로 분노하는 장면이 이 코너의 백미다. 양상국의 분노 연기가 정말로 끝내준다.
그리고 양상국이 허경환에게양상국: 아이고~ 정남아 정남아~ 내가 너 땜에 못 살겠다, 이거 또 시골 ○○를 들고 오면 어떡하노~ 남사스러워 죽겠다~
라며 뻗대는 패턴이 이어진다. 그리고 양상국은양상국: 경환아 이거 좀 봐라~
허경환: (고개를 반대 방향으로 돌린 채 멘붕하면서 동남 방언 투로) 나 안 볼란다~
라며 한탄한다.양상국: 지는 맨날 착한 역할만 하고 내는 맨날 나쁜 역할만 하고...
그리고 양상국이 서울 제품을 보여주거나 구해오는데, 시골 제품과 완전히 같은 물건이다. 당연히 류정남은 시골 제품이랑 똑같이 생겼는데 뭐가 다르냐고 반문한다. 그러면 허경환이 그것에 대해 설명한다.
7월 31일 방영분을 보면 시작할 때 류정남이 케이크 상자를 들고 오고, 양상국 발 밑에 케이크 상자가 있고, 총 2개의 케이크 상자가 등장했는데, 아마도 서울 케이크, 시골 케이크 했다가 편집된 듯하다. 그리고 시작 시에는 탁자 위에 케이크가 없었는데, 중간쯤 부분에서 갑자기 탁자 위에 케이크가 생긴다. 역시 편집된 듯하다.허경환 : 똑같게 보이지만 서울○○과(와) 시골○○은(는) ○○부터가 달라.(서울 물건을 정상적으로 작동시킨다.)'''#$&*)(&^*%@%ㅑ*'''(뭔가 이펙트를 입으로 설명한다.) 서울 ○○은 '''○○있고 ○○가 있잖아.''' 정남이가 가져온 시골 ○○ 봐봐. (시골 물건을 작동시킨다.[12]
)이 봐봐.우산의 예로 들면 - 서울 우산과 시골 우산은 펴지는 소리부터가 달라. (서울 우산을 정상적으로 편다.) '''푸스파피포쉬'''! 뭔가 올라가면서 '''매너있고 약간 절도가 있잖아'''? 정남이가 가져온 시골 우산 봐바.(시골 우산을 편다. 폈는데 정상적으로 안 펴고 뒤집어서 편다.)이 봐봐 - 의 패턴. 쉽게말해 '''서울 물건은 어떻게든 미화, 시골 물건은 어떻게든 추락시키려 애쓴다.''' 이 부분은 들고 오는 물건이 종종 억지일 때가 있는데, 그 예가 수박이다. 참고로 서울에는 수박을 재배하는 농가가 없다.
1주일 뒤, 8월 7일 방영분에서 서울 케이크와 시골 케이크를 써먹었다! 그리고 이미 일단뛰어에서 써먹은 "(물을) 끓여줄게요"라는 의미의 사투리인 '''데피줄께요, 뜨사줄께요, 끼리줄께요'''[13] 이 사투리를 재탕했다(...).
이 코너의 탄생 비화가 써 있는 기사가 떴다. #
9월 18일 방영분에서는 서울 야구장에 갔다고 하고서는 막상 문학 야구장이 배경으로 나왔다. 그것도 08년에 찍은 사진이다.
하지만 실제로 경상도 사투리를 쓰는 사람들, 특히 어른들에게는 그리 대단히 재미있는 코너는 아니라고 한다. 평소 쓰는 말인데다가 개그콘서트만 한정해도 사투리 개그는 계속 나오는 지속적인 소재이기 때문이다. 박준형의 생활사투리라면 지역별 비교도 가능하고, 사투리 단어보다는 같은 상황을 가지고 다르게 말하는 식이었기 때문에 재미있었다고 한다(...). 더군다나 허경환, 그리고 특히 양상국은 사투리를 과거 코너에서 상당히 써먹은 전력들이 있어 비슷비슷해 보일 수밖에 없었다(...). 특히 류정남을 보고 하는 맨 처음 대사인 "정남이 니가 많이 늦었네?"는 봉숭아 학당에서 인기 연예인(윤성호)의 매니저 역할로 나와서 "제가 많이 늦었죠?"라고 한 것과 똑같다. 뜬금뉴스, 9시쯤 뉴스, 9시 언저리뉴스 등도 비슷해 보이는 것과 같은 이치다. 그 외에도 개그 콘서트는 아니지만 웃음을 찾는 사람들에 서울나들이라는 비슷한 코너가 흥했던 적도 있고[14] ...
이처럼 자주 여러 시도를 해 본 코너이며, 시청자들에게는 호불호가 갈리는 코너임에도 롱런하는데는 어린이 시청자들에게 인기가 높다는 것이 가장 큰 이유이다. 특히 허경환의 그 "서울말은 끝말만 올리면 되는거 모르니↗?" 이 말투가 상당한 인기라고 한다. 감사합니다 코너와 마찬가지로 따라하기 쉬우면서도 특색 있고 중독성이 있었던 것이 7개월 간 롱런할 수 있었던 비결이다.
하지만 서울에서 태어나고 자란 사람들은 배꼽잡고 웃는 코너다. 특히 서울 사람들 중에는 자신의 억양이 표준어 억양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꽤 많은데, 이러한 편견을 완전히 깨버리기 때문이다. 서울 억양도 결국에는 그냥 "억양"일 뿐임을 비틀어서 보여주는 코너인 만큼 굉장히 참신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다.
11월 27일에는 로버트 할리가 허경환이 아는 서울 토박이(...)로 출연. 한 뚝배기 하실래예도 언급했고, 양상국이 하는 역할을 할리가 했다(...).
2012년 2월 5일을 끝으로 종영되었지만, 여기서의 사투리 기믹은 네가지에서 양상국이 시골 사람 꼭지를 맡아 출연하면서 계승되고 있었다. 그리고 허경환은 그 전부터 네가지에 출연하는 중이었다.
2015년 서울시 브랜드 후보 중에 I.SEOUL.U, 서울링과 함께 서울메이트가 최종 후보로 선정되어 본의 아닌 예언을 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