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준형의 생활사투리
생활사투리 다시보기
2002년 10월 13일부터 2004년 2월 15일까지 방영한 개그 콘서트의 인기 코너. 출연진은 박준형, 김시덕, 이재훈, 정종철. 과거 KBS 라디오에서 아침이면 송출되었던 생활 영어 프로그램을 패러디해 박준형이 사투리 교사로 나오고 김시덕[1] , 이재훈이 각각 동남 방언과 서남 방언을 표현한다[2] . 그리고 정종철이 각종 음악과 효과음을 넣어준다.
박준형이 어린이 프로그램을 찍기 위해 대전에 가던 중 회덕분기점에서 호남고속도로와 경부고속도로가 갈라지는 것을 보고 광주와 부산이 이렇게 가까운데 왜 지역감정이 심할까 생각했던 적이 있었다고 한다. 그때 바벨탑 설화와 어릴 때 소년 잡지에서 본 사투리 유머[3] 가 떠올라 ‘말이 서로 안 통해서 그런 거 아닌가?’하고 생각한 것이 코너의 시발점이라고 한다. 그리고 박준형이 알고있던 경상도 출신 김시덕에게 전화로 "경상도말로 사랑합니다가 뭐냐"고 묻자 "내 아를 낳아도" 라고 답해 짜게 되었다고.[4]
코너가 시작할 때 정종철이 입으로 부르는 음악은 엔니오 모리코네가 작곡한, 유명 서부극이자 스파게티 웨스턴 영화인 <무숙자(My Name is Nobody)>의 OST Il Mio Nome E`Nessuno라는 곡이다. 마성의 BGM 항목에도 있지만 교양 프로그램 오프닝 및 듣기 교재 삽입곡 혹은 몇몇 프로그램 예고편 배경음악이나 지역 캠페인 배경음악으로 자주 쓰이던 BGM 중 하나.[5]
강조형은 보통 전라도 사투리는 "으미-야!"가 들어가고 후에 "아따야!", "월래?!"로 흥분하는 형[6] . 반면 경상도 사투리는 똑같은 이야기가 점점 목소리가 커진다. 사람들이 환호하는데도 절대로 웃지 않는 김시덕과 이재훈의 표정이 소소한 포인트.
이 둘만 드립을 치는 게 아니라 중간 중간에 박준형의 "네이티브 스피커의 정확한 발음으로 들어보시죠"라는 멘트와 함께 정종철이 대사를 치는데, 초반에는 느린 재생처럼 말을 늘어뜨렸다가, 후반에는 개드립으로 마무리했다.
초기엔 뒷부분에 사투리로 영화 등 상황극을 하기도 했고, 인기 코너로 자리 잡은 이후로는 뒷부분에 역대 나온 대사를 요약해서 메들리로 보여주기도 했다.
개콘 레전드가 되었지만, 지금 시점에선 논란의 여지가 다소 있다. 다시 생각해 보면 그때까지만 해도 일부 기성세대의 구시대 유물로 여겨진 게 지역감정이었지만[7] , 어째서인지 2010년대에 온라인상에서 다시 유행되고 있는 특이한 사례인 셈이다. 게다가 여성의 성적 매력 등을 주제로 삼은 편도 여럿 되어서 최근에 방영되었다면 바로 비난이 폭주하고 공식 사과문을 게재했을 만한 경우도 꽤 있다.[8] 단, 후술할 후속 코너가 별다른 논란이 없었기 때문에 단순한 기우라고 생각하는 시청자도 있다.
2019년 5월 26일 1000회 특집 2부에 오랜만에 방영되었다. 그것도 종영된 지 15년이 넘었음에도 불구하고 최고의 코너 Best 5 자격으로...
2019년 8월 11일 대개편과 함께 현재 2020 생활사투리라는 코너명으로 17년 만에 부활하여 방송되었고, 김시덕은 인스타그램에 박준형, 이재훈, 김성원, 배정근과 함께 찍은 사진을 올렸는데, 김성원은 영어 회화와 효과음에 능통하니 정종철의 대타를 맡았고, 배정근은 대전광역시 출신이니 앞서 예고된 충청도 스피커 역할이다.
정종철은 효과음 및 음악만 담당하지 않고 간간히 틈새 개그를 치기도 한다. 일단 삑사리가 나서 NG가 터지자 겨우 편집으로 마무리한 상황까지 간 적도 있다. 박준형이 애드립으로 효과음이 너무 약하다며 이태선밴드에게 부탁하고 이태선밴드가 멋지게 연주하자 열 받은 정종철이 애드립으로 과장해서 효과음을 부른 적도 있다. 그런가 하면 박준형이 시작 멘트를 안 하고 모른 척하자 얼굴이 빨개지도록 음악을 연주하다가 뒤늦게 시작하자 "Chapter 1. Listen and Repeat."을 화가 나서 '''"췝퉈 원! 듣고 말하기!"'''라고 대놓고 우리말로 해서 반항한 적도 있다. 마지막 장인 "관용어구"는 그에 해당하는 단어를 몰라서 "...과뇽어구우~"라며 발음을 굴려 어찌저찌 넘어가다가, 나중에 정답(…)[11] 을 알고 제대로 발음하기도 했다.
후반부에 들어서는 장수 코너로 진행되면서 변화를 주려고, 정종철이 영어로 필라델피아에서 왔고 협조해줘서 고맙다는 등의 자기소개로 스타트를 끊을 때 이상하게 자기소개를 하거나 한 번은 로보캅을 패러디해 박준형에게 총을 겨누는 시늉을 하며 카운트다운을 했는데 박준형은 이를 무시하고 코너를 진행해서 정종철을 벙찌게 만든적이 있었다. 심지어 정종철이 고양이귀를 쓰고 진행했던 적도 있다. 본인 왈, "디스 이즈 컨셉"이라고...
후반에는 정종철과 박준형이 서로 포지션을 바꾸거나, 김시덕이 박준형의 포지션을 낚아채서 이재훈과 함께 진행을 시도한 적도 있었다.
요즘에선 절대 할 수 없는 드립을 많이 했다.[12]
코너의 배경으로는 박준형이 경상도와 전라도의 경계를 지나치다가 문득 떠올라서 김시덕에게 전화를 걸어 경상도 사투리를 몇 마디 해보라고 한 뒤 이걸로 코너를 짜자고 제안한 것에서 시작된 것이다. 원래 전라도 역할은 박준형의 동기인 이승환[13] 이 맡을 예정이었지만 PD가 다른 개그맨으로 교체하라고 하면서 김시덕이 자기 동기 이재훈을 추천했다고 한다. 이승환은 불만없이 김시덕과 이재훈을 격려했다고 한다.
개콘이 코로나 19 때문에 정규 방송을 못 하고 스페셜 방송을 하고 있던 2020년 상반기, 개콘 코너 베스트 50을 선정하는 방송을 하였는데, 거기서 2위를 차지하였다. 1위는 대화가 필요해.
여러 곳에서 변형된 모습으로 자주 등장했었는데 2002년 KBS 연예대상에서 공연된 '생활사투리 스페셜'에서 등장하는 사람이 김시덕, 이재훈이 아니라 '''설운도, 송대관'''. 거기에 '''충청도 사투리 버전도 추가된 적이 있다.''' 충청도는 '''태진아'''.[14] 나중에 웰컴 투 동막골이 유행하면서는 강원도 사투리가 추가된 경우도 있다. 하지만 강원도 사투리는 '뭐드래요?'로 대표되는 잘못된 사투리로 재현되기도 했다.[15]
2004년 1월 25일에는 북한 평안도 사투리 역으로 박성호가, 강원도 사투리 역으로 김기수가 각각 출연했다[16] .
2018년에는 보물섬이 슈개맨과 함께 이 코너를 진행했던 원조 개그맨들 앞에서 새로운 생활사투리를 진행했다. #
1. 개요
2002년 10월 13일부터 2004년 2월 15일까지 방영한 개그 콘서트의 인기 코너. 출연진은 박준형, 김시덕, 이재훈, 정종철. 과거 KBS 라디오에서 아침이면 송출되었던 생활 영어 프로그램을 패러디해 박준형이 사투리 교사로 나오고 김시덕[1] , 이재훈이 각각 동남 방언과 서남 방언을 표현한다[2] . 그리고 정종철이 각종 음악과 효과음을 넣어준다.
박준형이 어린이 프로그램을 찍기 위해 대전에 가던 중 회덕분기점에서 호남고속도로와 경부고속도로가 갈라지는 것을 보고 광주와 부산이 이렇게 가까운데 왜 지역감정이 심할까 생각했던 적이 있었다고 한다. 그때 바벨탑 설화와 어릴 때 소년 잡지에서 본 사투리 유머[3] 가 떠올라 ‘말이 서로 안 통해서 그런 거 아닌가?’하고 생각한 것이 코너의 시발점이라고 한다. 그리고 박준형이 알고있던 경상도 출신 김시덕에게 전화로 "경상도말로 사랑합니다가 뭐냐"고 묻자 "내 아를 낳아도" 라고 답해 짜게 되었다고.[4]
코너가 시작할 때 정종철이 입으로 부르는 음악은 엔니오 모리코네가 작곡한, 유명 서부극이자 스파게티 웨스턴 영화인 <무숙자(My Name is Nobody)>의 OST Il Mio Nome E`Nessuno라는 곡이다. 마성의 BGM 항목에도 있지만 교양 프로그램 오프닝 및 듣기 교재 삽입곡 혹은 몇몇 프로그램 예고편 배경음악이나 지역 캠페인 배경음악으로 자주 쓰이던 BGM 중 하나.[5]
강조형은 보통 전라도 사투리는 "으미-야!"가 들어가고 후에 "아따야!", "월래?!"로 흥분하는 형[6] . 반면 경상도 사투리는 똑같은 이야기가 점점 목소리가 커진다. 사람들이 환호하는데도 절대로 웃지 않는 김시덕과 이재훈의 표정이 소소한 포인트.
이 둘만 드립을 치는 게 아니라 중간 중간에 박준형의 "네이티브 스피커의 정확한 발음으로 들어보시죠"라는 멘트와 함께 정종철이 대사를 치는데, 초반에는 느린 재생처럼 말을 늘어뜨렸다가, 후반에는 개드립으로 마무리했다.
초기엔 뒷부분에 사투리로 영화 등 상황극을 하기도 했고, 인기 코너로 자리 잡은 이후로는 뒷부분에 역대 나온 대사를 요약해서 메들리로 보여주기도 했다.
개콘 레전드가 되었지만, 지금 시점에선 논란의 여지가 다소 있다. 다시 생각해 보면 그때까지만 해도 일부 기성세대의 구시대 유물로 여겨진 게 지역감정이었지만[7] , 어째서인지 2010년대에 온라인상에서 다시 유행되고 있는 특이한 사례인 셈이다. 게다가 여성의 성적 매력 등을 주제로 삼은 편도 여럿 되어서 최근에 방영되었다면 바로 비난이 폭주하고 공식 사과문을 게재했을 만한 경우도 꽤 있다.[8] 단, 후술할 후속 코너가 별다른 논란이 없었기 때문에 단순한 기우라고 생각하는 시청자도 있다.
2019년 5월 26일 1000회 특집 2부에 오랜만에 방영되었다. 그것도 종영된 지 15년이 넘었음에도 불구하고 최고의 코너 Best 5 자격으로...
2019년 8월 11일 대개편과 함께 현재 2020 생활사투리라는 코너명으로 17년 만에 부활하여 방송되었고, 김시덕은 인스타그램에 박준형, 이재훈, 김성원, 배정근과 함께 찍은 사진을 올렸는데, 김성원은 영어 회화와 효과음에 능통하니 정종철의 대타를 맡았고, 배정근은 대전광역시 출신이니 앞서 예고된 충청도 스피커 역할이다.
2. 대사
- 2003년 1월 5일
- 2003년 1월 12일
- 2003년 3월 9일
- 2003년 3월 16일
- 2003년 3월 23일
- 2003년 5월 4일
- 2003년 5월 18일
- 2003년 6월 22일
- 2003년 6월 29일
- 2003년 7월 13일
- 2003년 6월 15일
- 2003년 7월 20일
- 2003년 7월 27일
- 2003년 8월 3일
- 2003년 8월 17일
- 2003년 9월 7일
- 2019년 5월 26일 1000회 특집편[10]
3. 여담
정종철은 효과음 및 음악만 담당하지 않고 간간히 틈새 개그를 치기도 한다. 일단 삑사리가 나서 NG가 터지자 겨우 편집으로 마무리한 상황까지 간 적도 있다. 박준형이 애드립으로 효과음이 너무 약하다며 이태선밴드에게 부탁하고 이태선밴드가 멋지게 연주하자 열 받은 정종철이 애드립으로 과장해서 효과음을 부른 적도 있다. 그런가 하면 박준형이 시작 멘트를 안 하고 모른 척하자 얼굴이 빨개지도록 음악을 연주하다가 뒤늦게 시작하자 "Chapter 1. Listen and Repeat."을 화가 나서 '''"췝퉈 원! 듣고 말하기!"'''라고 대놓고 우리말로 해서 반항한 적도 있다. 마지막 장인 "관용어구"는 그에 해당하는 단어를 몰라서 "...과뇽어구우~"라며 발음을 굴려 어찌저찌 넘어가다가, 나중에 정답(…)[11] 을 알고 제대로 발음하기도 했다.
후반부에 들어서는 장수 코너로 진행되면서 변화를 주려고, 정종철이 영어로 필라델피아에서 왔고 협조해줘서 고맙다는 등의 자기소개로 스타트를 끊을 때 이상하게 자기소개를 하거나 한 번은 로보캅을 패러디해 박준형에게 총을 겨누는 시늉을 하며 카운트다운을 했는데 박준형은 이를 무시하고 코너를 진행해서 정종철을 벙찌게 만든적이 있었다. 심지어 정종철이 고양이귀를 쓰고 진행했던 적도 있다. 본인 왈, "디스 이즈 컨셉"이라고...
후반에는 정종철과 박준형이 서로 포지션을 바꾸거나, 김시덕이 박준형의 포지션을 낚아채서 이재훈과 함께 진행을 시도한 적도 있었다.
요즘에선 절대 할 수 없는 드립을 많이 했다.[12]
코너의 배경으로는 박준형이 경상도와 전라도의 경계를 지나치다가 문득 떠올라서 김시덕에게 전화를 걸어 경상도 사투리를 몇 마디 해보라고 한 뒤 이걸로 코너를 짜자고 제안한 것에서 시작된 것이다. 원래 전라도 역할은 박준형의 동기인 이승환[13] 이 맡을 예정이었지만 PD가 다른 개그맨으로 교체하라고 하면서 김시덕이 자기 동기 이재훈을 추천했다고 한다. 이승환은 불만없이 김시덕과 이재훈을 격려했다고 한다.
개콘이 코로나 19 때문에 정규 방송을 못 하고 스페셜 방송을 하고 있던 2020년 상반기, 개콘 코너 베스트 50을 선정하는 방송을 하였는데, 거기서 2위를 차지하였다. 1위는 대화가 필요해.
4. 패러디
여러 곳에서 변형된 모습으로 자주 등장했었는데 2002년 KBS 연예대상에서 공연된 '생활사투리 스페셜'에서 등장하는 사람이 김시덕, 이재훈이 아니라 '''설운도, 송대관'''. 거기에 '''충청도 사투리 버전도 추가된 적이 있다.''' 충청도는 '''태진아'''.[14] 나중에 웰컴 투 동막골이 유행하면서는 강원도 사투리가 추가된 경우도 있다. 하지만 강원도 사투리는 '뭐드래요?'로 대표되는 잘못된 사투리로 재현되기도 했다.[15]
2004년 1월 25일에는 북한 평안도 사투리 역으로 박성호가, 강원도 사투리 역으로 김기수가 각각 출연했다[16] .
2018년에는 보물섬이 슈개맨과 함께 이 코너를 진행했던 원조 개그맨들 앞에서 새로운 생활사투리를 진행했다. #
[1] 아는 개그맨 중에 경상도 사람이 김시덕뿐이었다고 한다. 박성호는 이 말을 듣고 나도 부산 사람인데 나를 넣지 그랬냐고...[2] 실제로 두 사람은 각각 경상북도 안동시(김시덕), 전라북도 전주시(이재훈) 출신들이다. 그리고 사회자 역할인 박준형과 정종철은 서울특별시 출신. 단, 정종철은 원래는 충청북도 제천시 출신이나, 유년 시절은 서울특별시에서 보냈다.[3] 경상도 사람과 함경도 사람이 서로 ‘머꼬가 무시기?’ ‘무시기가 머꼬?’하고 계속 되물었다는 이야기. 머꼬와 무시기 모두 무엇이냐는 뜻이다.[4] 이때가 아침 일찍이라 김시덕이 자고있었는데 박준형이 갑자기 전화해서 사랑이란 단어를 빼고 사랑한다고 표현을 해보라고 했는데 김시덕이 즉흥적으로 이 대사를 치고 끊었다고 한다.[5] 평소에는 정종철이 직접 입으로 연주했지만 개콘 1000회 때는 원곡을 틀어줬다.[6] 맨날 똑같은 감탄사가 들어가는데도 상황이 정확히 맞는다.[7] 한편으로 정치적으로는 여전히 지역감정에 기반한 체제가 확고히 자리잡고 있었다.[8] 다만, 현 시점에서는 '''이 코너에 밀려 No.2가 되었다'''. 적어도 이건 참작의 여지라도 있지 그 코너는 그야말로 병림픽이니...[9] 전설적인 드립 '''와 하필 옥동자고!!!'''가 이날 방송분에 있다.[10] 생활 사투리가 처음 시작했을 당시에는 주로 이성 간의 연애나 소개팅 등을 소재로 삼았는데, 시간이 많이 흐른 지금은 이 커플들이 중장년층 부부가 되었을 시기다.[11] idiom. 발음은 '이디엄'.[12] 예로 "가슴이 축구공이가?!" 등등[13] 이 코너에서 이재훈이 보인 모습과는 정 반대로 유들유들하고 차분한 역할을 주로 맡았다.[14] 실제로 설운도는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대관은 전라북도 정읍시, 태진아는 충청북도 보은군 출신.[15] 예로 2004년 설날 특집의 김기수, 2005년 봉숭아학당의 봉구 친구 한구.[16] 둘 다 실제 출생지는 다르다. 박성호는 부산광역시 출신이고, 김기수는 전라남도 목포시 출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