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읍국가
[clearfix]
1. 개요
성읍국가(城邑國家)는 기존에 제시된 '부족국가' 개념을 대체하고, 한국사의 발전과정을 도식화하기 위해 천관우가 제안한 용어이다. 천관우는 이를 삼한의 소국에만 적용하였으나, 이후 이기백이 체계화하면서 청동기시대의 정치체(주로 고조선)부터 성읍국가로 볼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후 성읍국가가 한국사의 발전도식을 설명하기 위해 일부 학자들이 사용했으나, 80년대 간헐적인 비판을 시작으로, 90년대에 이 용어 자체가 한국사의 발전도식에 적용할 수 없다는 강력한 비판이 제기되면서(강봉원 1992) 현재는 사용되고 있지 않다.[1]
성읍국가론이 폐지될 수 밖게 없었던 것은 이를 제창한 이기백이 '성읍국가'를 명확한 고고학적, 역사학적 분석에 의거한 것이 아니라 '어림짐작'에 가까운 상상에 기반하였기 때문이다.
2. 상세
부족 사회(씨족공동체 내지는 촌락)의 다음 발전 단계. 도시 국가에 한반도 특수성을 반영한 개념이기도 하다.
엄밀히 말해선 성읍 국가 역시 부족 국가로 볼 수 있지만 부족 국가라는 단어의 개념이 분명하지 않다.
1987년 이후 공식적으로는 성읍 국가보다는 군장 국가라는 단어를 사용하며 이는 세계적으로 영미권 학자들이 사용하는 'chiefdom'이라는 용어를 번역하기 위해 삼국지 위서 동이전에 나오는 단어를 차용한 것이다.
성읍국가에서 고조선으로 발전해온것으로 생각할수 있지만 고조선이 제일 빨리 성읍국가에서 벗어났다해도 한반도 전역을 복속한것은 아니었기 때문에 한반도 내에 여러 성읍국가들이 있었다는것을 암시하는 기록이 있으며 실제로 고고학적인 연구결과로도 만주 및 한반도 남부 와 동부 일대에 고조선과 별개의 성읍국가들이 존속해있었던것으로 보인다. 이를 군장 국가 단계로 부른다.
삼국사기에는 성읍 국가 형태를 갖춰 국가로 발전해나가는 부분이 기록되어 있으며, 고구려, 백제, 신라는 건국 후 초기에 여러 국가들을 합병 및 통합 등을 하면서 국가의 개념을 갖추고 발전했는데 이때 합병된 세력을 성읍(城邑)으로 삼았다고 기록되어 있어 성읍이 국가의 하부단위로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다만 이 용어의 근간이되는 국가 발전단계도식의 원 주장자인 엘만 서비스가 자신의 이론을 폐기한 바 있으며, 군장국가 또는 성읍국가라는 것도 저마다의 정확한 개념용어로서 부족한 면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성읍의 실질적 존부와 관계없이 면적 지배가 아닌 점적 지배를 한 점, 그럼에도 하나의 국가 내지는 집단으로써 문헌에 표기되고 있는 점 등의 연구자마다 공감대를 형성하는 몇가지 전제들을 모두 충족시킬 표현이 현재로써는 딱히 대세론적으로 있는게 없다보니 성읍국가라는 용어가 통용되는 편이며, 대체로 사학계 연구에서의 용례가 뚜렷한 편이다.[2]
한편으로는 "부체제"와 관련된 이론, 주장이 정치구조를 바탕으로 원삼국시대, 초기 삼국시대를 설명할 수 있는 또 다른 국가단계 차원의 용어이기도 하다. 다만 문헌기록의 영세하다보니 완벽하게 모든 국가, 집단을 포함하지는 않고 고구려, 부여, 신라 정도의 주요한 국가들에만 십분 적용이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