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닉 프리 라이더즈

 


'''소닉 프리 라이더즈
ソニック フリーライダーズ
SONIC FREE RIDERS'''

[image]
'''개발'''
소닉 팀
'''유통'''
세가
'''플랫폼'''
엑스박스 360 '''(키넥트 필수)'''
'''출시일'''
2010년 11월 4일
[image]
2010년 11월 10일
[image]
2010년 11월 20일
[image]
'''장르'''
체감 액션 레이스
'''웹사이트'''
공식 홈페이지
1. 개요
2. 스토리
3. 플레이어블 캐릭터
4. 시스템
4.1. 익스트림 기어
4.2. 기어 파츠와 레벨업
4.3. 트랙
4.4. 아이템
4.5. 랭크
5. 평가
5.1. 게임성
5.2. 트로피
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의 스핀오프작. 소닉 라이더즈 슈팅 스타 스토리의 후속작으로, 소닉 라이더즈 시리즈의 세번째 작품이다. 최초 발매 지역인 북미 기준으로 2010년 11월 4일에 발매되었으며, 전작들과 달리 엑스박스 360 키넥트용이다. 이후 5년이 넘도록 '''소닉 시리즈 유일무이의 키넥트 대응 게임'''이라는 자리를 지키고 있다.
여담으로 대만판의 명칭인 '''음속소자 자유활판경속(音速小子 自由滑板競速)'''은 직역체 수준의 네이밍 덕에 한국의 소닉팬들에게 다소 폭소를 선사하기도 했다(...).

2. 스토리


닥터 에그맨'킹 닥(King Doc)'으로 분장하여 두 번째로 월드 그랑프리를 개최하고, 소닉을 비롯한 주요 인물들이 4개의 팀을 이루어 여기에 참가하고 실력을 겨룬다. 에그맨의 목적은 여기에 참석하는 선수들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팀 다크에 꼽사리 낀 E-10000B를 이용한다. 그리고 데이터를 넘겨받은 뒤 선수들에게 마지막으로 승부를 신청하지만, E-10000B로부터 받은 데이터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하고 에그맨은 패배한다.
사실 E-10000B의 정체는 다름아닌 '''메탈 소닉'''으로, 그가 에그맨에게 넘겨준 선수 데이터는 '''페이크'''였으며 진품은 자신이 먹튀했다. 그리고 소닉에게 일대일 승부를 요청하지만 늘 그래왔듯이 또 발린다. 에그맨은 기회를 틈타 도주하고, 월드 그랑프리는 우승 상품이고 뭐고 죄다 물거품이 된 채로 마무리된다.
스토리를 모두 클리어하면 소닉 라이더즈 1의 첫번째 코스인 메탈시티 STANDARD, EXPERT를, 메탈소닉, 닥터 에그맨 캐릭터를 플레이 할 수 있게 되고 상점에서 구입 가능한 기어파츠가 늘어난다.

3. 플레이어블 캐릭터


'''소속 팀'''
'''캐릭터'''
'''전용 익스트림 기어'''
'''비고'''
히어로즈
소닉 더 헤지혹
블루 스타
기어 선택 시에 카오스 에메랄드를 고를 경우 레이스 도중에 슈퍼화할 수 있다.
슈퍼화 중에 조건을 만족하면 파워 타입 스킬을 사용할 수 있다.[1]
마일즈 테일즈 프로워
옐로 테일

너클즈 디 에키드나
레드 록

바빌론
젯 더 호크
타입-J

웨이브 더 스왈로
타입-W

스톰 디 앨버트로스
타입-S

로즈
에이미 로즈
핑크 로즈

크림 더 래빗
스마일

벡터 더 크로커다일
하드보일드
바이크 형태의 기어만 사용할 수 있다.
다크
섀도우 더 헤지혹
블랙 샷

루즈 더 뱃
템프테이션

'''E-10000B'''
E-기어

없음
닥터 에그맨
E-라이더
바이크 형태의 기어만 사용할 수 있다.
'''메탈 소닉'''
메탈 스타

E-10000G
E-기어

실버 더 헤지혹
사이킥 웨이브

블레이즈 더 캣
플레임 랜스

엑스박스 라이브 아바타
아바타-M (남성)

아바타-F (여성)


4. 시스템



4.1. 익스트림 기어


키넥트의 특성에 맞춰 기어의 종류는 보드와 바이크로 한정되었으며, 각각의 기어에 맞게 포즈를 잡고 게임을 플레이해야 한다.
보드를 조작할 때는 플레이어의 몸이 모니터가 아닌 측면을 바라봐야 한다. 이때 오른발을 모니터에 가깝게 두는 자세를 '레귤러 스탠스'라고 하며, 그 반대의 경우는 '구피 스탠스'라 부른다. 레이스 도중에 몸을 180도 돌려 바라보는 방향을 바꾸면 스탠스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 동작을 '스위치'라고 한다.
바이크에 탑승한 경우에는 모니터를 정면으로 바라보고 팔을 든 채로 조작해야 한다. 이때는 스탠스의 구분이 따로 없고 스위치도 하지 않는다.

4.2. 기어 파츠와 레벨업


전작의 기어 파츠 시스템을 부분적으로 계승하였다. 차이점이 있다면 자신이 원하는 기어 파츠를 골라서 기어에 장비할 수 있다는 점. 즉 '''기어 파츠의 커스터마이즈'''가 가능해졌다. 예외적으로 카오스 에메랄드처럼 특수한 능력이 있는 일부 기어는 파츠를 하나도 장착할 수 없다.
보드 형태의 기어는 대체로 2개의 기어 파츠를 장착할 수 있으나, 전작과 달리 레이스 중에는 하나만 활성화된다. 스위치로 스탠스를 바꾸면 활성화 중인 기어 파츠를 교체할 수 있다.
바이크 기어는 '파워 스킬' 파츠의 효과가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다. 이 때문에 파워 스킬을 따로 장착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그 외의 기어 파츠도 하나만 장착할 수 있다. 그 대신 장착한 기어 파츠와 파워 스킬의 효과를 동시에 누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시리즈의 첫작인 소닉 라이더즈 때 쓰였던 레벨업 시스템도 부활하여, 링 카운트가 30, 60이 되는 순간 레벨이 각각 2, 3으로 오르고 기본 스테이터스가 증가한다. 슈퍼 소닉의 경우 소닉 라이더즈에서 레벨이 1로 고정되었지만, 본작에서는 레벨 자체가 표시되지 않는다.

4.3. 트랙


GP 시스템이 삭제되어 중력을 이용한 기믹 또한 키넥트에 대응하는 장치들로 대체되었다. 플레이어가 팔을 들면 캐릭터 역시 이에 맞춰 팔을 뻗으며, 이를 이용해 트랙에 설치된 봉을 붙들거나 하는 등의 조작이 가능하다. 돌핀 리조트의 경우, 플레이어가 팔을 저어 수영을 하는 구간도 있다.

4.4. 아이템


새로운 아이템이 무더기로 추가되었는데, 이것마저도 키넥트를 이용한다. 깡통을 흔들거나 물건을 집어던지는 등의 연출이 있으며, 옥토 잉크를 맞아 화면이 검게 가려졌다면 팔을 휘저어 닦아낼 수 있다.
아래의 목록에서 각 아이템의 이름은 일본판을 기준으로 적혀 있다. 북미판 명칭이 다른 경우 따로 표기한다.
  • 스로잉 봄
집어던지는 순간 조준선이 표시된 라이벌을 추적하는 폭탄. 북미판에서는 타깃 토르피도라고 부른다.
  • 볼링 스트라이크
던지는 순간 코스를 따라 굴러가면서 점점 커지는 볼링공. 라이벌을 공격하는 것은 물론, 파워 스킬을 대신해서 장애물을 부수는 용도로 쓸 수 있다. 다만 아이템을 사용한 장본인도 대미지를 입을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 로켓 소다
흔들다 보면 크기가 점점 커지는 깡통. 크기 일정 수준까지 키우면 사용자를 위에 태우고, 뒤로 탄산을 분출하면서 코스를 따라 고속으로 돌진한다. 북미판에서는 소다 로켓이라고 부른다.
  • 링 캔
흔들다 보면 다수의 링이 튀어나오는 깡통. 링을 세 묶음 꺼내면 사라지며, 한 번 빠져나온 링은 누구나 주울 수 있다.
  • 옥토퍼스 트랩
문어의 모습을 본뜬 트랩. 머리를 찍어누르면 라이벌의 시야를 방해하는 먹물 덩어리를 후방에 설치한다. 북미판에서는 옥토 잉크라고 부른다.
  • 옥토퍼스 부스트
문어의 모습을 본뜬 제트 엔진. 머리를 찍어눌러서 작동하면 급가속을 할 수 있다. 북미판에서는 옥토 부스트라고 부른다.
  • 티 샷
보드를 타고 있는 레이서에게만 주어지는 아이템. 아이템을 입수하면 사용자에게 골프채가 주어진다. 이를 휘둘러서 샷을 날리면 선두에 있는 라이벌에게 떨어진다.[주의][트릭대]
  • 바스켓 볼
바이크를 타고 있는 레이서에게만 주어지는 아이템. 아이템을 입수하면 사용자에게 농구공이 주어진다. 공을 던져서 슛을 하면 선두에 있는 라이벌에게 떨어진다.[주의][트릭대]
  • 스페셜 (S)
이 아이템을 가진 상태로 킥 대시를 시전할 경우, 일정 시간 동안 스페셜 부스트 상태로 전환된다. 스페셜 부스트 상태가 지속되는 동안에는 에어 게이지가 줄지 않고, 킥 대시를 반복하여 가속할 수 있다.

4.5. 랭크


소닉 라이더즈처럼 트릭을 구사할 때마다 랭크에 따라 정해진 양의 에어를 회복할 수 있다. 랭크에 따른 회복량도 소닉 라이더즈와 완전히 동일하다. 랭크의 구분은 전작들과 유사하지만 AA와 SS는 각각 A+, S+로 교체되었다.
'''소닉 프리 라이더즈의 랭크 시스템'''
'''트릭의 랭크'''
'''에어 회복량'''
'''X'''
100
'''S+'''
60
'''S'''
50
'''A+'''
45
'''A'''
40
'''B'''
30
'''C'''
20

5. 평가



5.1. 게임성


전반적으로 무난했던 전작들과 달리, 후술할 몇 가지 요소들 때문에 그리 좋은 평가를 받지는 못했다. 스핀오프작이라 그다지 주목받지 못했을 뿐.
우선 거의 모든 조작에 키네틱을 사용하는데 조작감이 영 좋지 않아 '''메뉴 하나 고르는 것조차도 힘들다'''. 이 소위 말하는 ''''거지같은 조작감'''' 하나 때문에 소닉 더 헤지혹(2006)이나 소닉 붐 시리즈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흑역사 내지는 망작 취급을 받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 외에도 '이벤트 컷씬의 연출이 성의없다'는 의견 또한 존재하며[2], 시기적절하게 북미판 성우들이 교체된 것 또한 부정적인 반응을 불러일으키는데 한몫했다.
참고로 이 게임은 앵그리 죠의 리뷰에도 등장하여 수많은 사람에게 멘붕을 선사하며 1/10점, Epic fail(최악) 딱지를 받았다.
그나마 긍정적인 반응을 얻은 것은 OST, 다양한 컨텐츠, 메탈 소닉의 참전 정도.

5.2. 트로피


[image]
사진 출처 : 舊 소닉 채널
이 게임은 키넥트 자체와 거의 같은 시기에 발매되었는데, 이를 통해 '''키넥트의 판매에 공헌했다'''는 이유로 마이크로소프트의 표창 트로피를 수상하였다. 심지어 이 트로피에는 '''Japanese Best Kinect Title'''이라고 당당하게 적혀있다.

6. 둘러보기



[1] 다만 그라인드, 대쉬링은 이용불가[주의] A B 자신이 1등 상태에서 날리면 오히려 자신이 타격을 입게됨으로 절때로 날려서는 안된다.[트릭대] A B 점프 트릭대, 스피드 그라인드, 플라이 에어라이드 트랙들을 이용중에는 타격을 주지 않는다.[2] 영상을 보면 알 수 있지만 연출이 딱 소닉 러시, 소닉 러시 어드벤처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