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직 공무원

 

1. 개요
2.1. 9급
2.1.1. 일반수산
2.1.2. 어로
3. 지방직[1]
3.1.1. 9급
3.1.2. 7급
3.2.1. 9급
3.2.2.1. 수산양식
3.2.2.2. 수산가공
3.2.2.3. 수산자원
3.2.3. 지도사[2]


1. 개요


수산업과 관련된 행정, 연구, 지도 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 직렬

2. 국가직



2.1. 9급


  • 시험 과목 : 영어(80분, G-TELP 2급 유형으로 출제) + 전공(100분, 과목당 3문제, 주관식)

2.1.1. 일반수산


수산물 질병검사(검역·방역) 및 수산행정 업무
  • 응시자격[3]
  • 근무처 : 국립수산과학원[4],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5], 지방해양수산청에서 근무
  • 시험과목 : 영어, 수산일반, 수산생물

2.1.2. 어로


어류탐색, 어로행위, 어구·어법 등 어업관리 업무
  • 응시자격[6]
  • 근무처 : 동·서·남해 어업관리단
  • 시험과목 : 영어, 수산일반, 어업

2.2. 연구사


추후 추가 요망

2.3. 기술고시


추후 추가 요망

3. 지방직[7]



3.1. 공개경쟁채용



3.1.1. 9급


'''일반수산'''
수산행정 업무 담당

3.1.2. 7급


  • 경기도에서 2011, 2013년도에 시행
  • 시험과목[8] : 국어(한문포함), 영어, 한국사, 생물학개론, 수산해양학, 수산자원학, 수산경영학

3.2. 경력경쟁채용


일정 자격을 가진 자에 한해 시험 응시 가능

3.2.1. 9급


일부 지자체에서 실시
  • 자격 : 부산광역시[9], 전라남도[10][11], 충청북도[12]
  • 시험 : 60분 / 과목당 20문제 / 수산일반, 수산경영, 수산생물

3.2.2. 연구사


'''해양수산연구사'''

3.2.2.1. 수산양식

  • 자격 : 강원도[13] / 경기도, 경상남도, 부산광역시, 인천광역시[14] / 전라남도, 전라북도, 충청남도[15]
  • 과목
강원도 - 수산학개론, 수산양식학, 수산자원학
경기도, 경상남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 수산학개론, 수산양식학, 수산생물학
부산광역시 - 수산학개론, 수산양식학, 어병학 or 수산생물학
충청남도 - 수산학개론, 수산양식학, 어병학

3.2.2.2. 수산가공

  • 자격 : 경상북도[16], 충청북도[17]
  • 과목 : 수산학개론, 수산가공학, 수산화학

3.2.2.3. 수산자원

  • 자격 : 경상남도[18], 제주도[19]
  • 과목 : 수산학개론, 수산생물학, 수산자원학

3.2.3. 지도사[20]


'''어촌지도사'''[21]
수산업 기술 개발 및 보급, 어민 정착 지원 등 담당
  • 자격 : 인천광역시[22], 전라남도[23], 충청남도[24]
  • 근무처 : 광역자치단체 수산사업소, 수산기술센터 등
  • 시험 : 60분 / 과목당 20문제 / 수산학개론, 수산생물학, 수산양식학

[1] 지자체[2] 본래 독립된 직급이지만 편의상 7급으로 분류[3] 해양·수산양식·어로·수산제조·수질관리·식품기술사 자격증 소지자 해양환경·해양자원개발·해양공학·어업생산관리·수산양식·수산제조·수질환경·식품기사 및 수산질병관리사·수의사 자격증 소지자 해양조사·수산양식·어로·수질환경·식품산업기사자격증 소지자 수산양식·식품가공기능사 자격증 취득 후 관련분야 2년 이상 경력자(관련분야 : 수산물 검역·검사, 수산물 품질관리,수산양식, 수산식품가공, 해양환경·조사, 수질환경, 수산질병관리)[4] 방역·연구 보조 및 행정[5] 검역[6] 어로기술사, 어업생산관리기사, 어로산업기사 자격증 중 1개 이상 소지자[7] 지자체[8] 2013년 기준[9] 산업기사 이상(해양조사, 수산양식, 어로, 수산제조, 수질환경, 식품)[10] 기사(수산양식, 수산제조, 식품), 산업기사(수산양식, 어로, 식품), 기능사(수산양식, 식품가공)[11] 완도군, 장흥군 거주[12] 기술사(해양, 수산양식, 어로, 수산제조, 수질관리, 식품), 기사(해양환경, 해양자원개발, 해양공학, 어업생산관리, 수산양식, 수산제조, 수질환경, 식품), 산업기사(해양조사, 수산양식, 어로, 수산제조, 수질환경, 식품)[13] 수산양식기사[14] 관련 전공 석사 이상[15] 관련 전공 학사 이상[16] 관련 전공 석사 이상[17] 관련 전공 학사 이상[18] 관련 전공 석사 이상[19] 관련학과 전공 및 학교장 추천[20] 본래 독립된 직급이지만 편의상 7급으로 분류[21] 매우 소수 직렬[22] 관련 전공 학사 이상[23] 기사(해양자원개발, 어업생산관리, 수산양식, 수산제조), 수산질병관리사[24] 관련 전공 전문학사 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