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부치기
1. 소개
아마추어 야구에서 사용되는 일종의 촉진룰. 무승부를 방지하면서 무제한 연장승부의 시간지연을 방지하기 위한 룰이다.
축구의 승부차기나 핸드볼의 승부던지기에서 인용하여 승부치기라고 번역되었다. 원래는 tiebreaker 혹은 tiebreak 인데.. 이건 그냥 동점을 깨고 승부를 결정한다는 일반적 용어.
물론 아이스하키에서의 슛아웃을 번역할 때도 승부치기로 번역한다.
2. 방식
[image]
IBAF 공식 규정(영문)
방법은 10회까지 무승부일 경우 11회 시작에[1] 그전까지의 타순을 무시하고 팀에서 원하는 타순부터 시작한다. 위 그림처럼 무사 1, 2루로 타자 앞 타순의 2명이 주자로 나가 세팅된 상황에서 경기에 돌입하게 된다. 야구는 특유의 페널티 요소가 주루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이렇게 되는 것. 즉 예를 들어 주자가 1, 2번이 나가 있으면 타자는 3번부터 타석에 들어서게 된다.[2] 만약 그 전회의 승부치기에서 승부가 가려지지 않았다면 다음 회의 타자는 기존 룰대로 전회의 마지막 타석에 들어선 타자의 다음 순번 선수가 들어서게 되고, 반대로 주자는 마지막 타석에 들어선 타자와 그 전 타순의 타자가 된다.
예를 들면, 11회에 승부치기를 시작하게 되어 9번과 1번이 각각 2루, 1루 주자로 나간다면 2번 타자부터 타석에 들어서게 된다. 그리고 5번 타자가 아웃이 되면서 11회가 끝났다. 이 때 승부를 가리지 못했다면 12회에는 4번 타자가 2루에, 5번 타자가 1루에 주자로서 나가고 6번 타자부터 타석에 들어서게 된다.
2020시즌 메이저리그에 도입된 승부치기는 조금 다른데 10회부터 9회 마지막 타자가 2루에 선채로 시작하게 된다. 타순변동이 없이 무사 2루에서 이닝이 시작 되는 것.
3. 승부치기의 도입사(史)
정규시즌 대신 토너먼트 대회에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제한시간이 없다는 것이 야구의 매력이지만, 페넌트레이스가 아닌 대회들에서는 일정이 빡빡하기에 무승부 상태로 질질 끌다가 무박 2일 경기라도 나와버리면 일정에 큰 문제를 겪게 되기 때문인데, 특히나 강행군을 해야되는 단기전의 특성상 1박2일 경기가 나오면 웬만해서는 베스트 라인으로 돌려야 되는 단기전의 특성상 이렇게 길어지면 팀 운용이 상당히 힘들어지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연장 끝장 승부대신 승부치기로 당일 경기를 끝낼 확률을 높이는 방식으로 진행하는 것이 선수 보호나 대회 운영에 유리한 측면이 있게 된다.
3.1. 국제대회에서
주로 아마추어 야구를 담당하고 해외 야구 선도에 앞장서는 기구인 국제야구연맹(IBAF)에 의해 주도적으로 도입되고 있다. 공식적으로 이것이 리그에 처음 쓰인 것은 이스라엘 프로리그였다. 다만 지금 방식이 아닌 축구의 승부차기처럼 홈런 더비를 벌여 승부를 정하는 방식의 승부치기였다. 하지만 리그에 너무나도 사람이 없어서[3] 결국 1년(2007~2008)만에 문닫은 통에 그다지 주목을 받지 못했다가, 베이징 올림픽 야구에 사용하기 전 2008 IBAF 세계청소년야구선수권 대회[4] 에서 시범 실시했고 대만과 푸에르토리코의 예선 마지막 경기에 국제대회 처음으로 시행되었다. 승부치기, 이닝 말 공격팀이 유리
본격적으로 승부치기라는 단어가 국내에 알려진건 베이징 올림픽 야구 예선 때였으며 이후에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2회 대회 때 조별리그에 도입된 적이 있다. 월베클은 12회까지도 동점일때, 즉 13회부터 적용한다. 국제야구연맹의 상위 단체에서 시행되는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에서도 승부치기가 적용되었다.
WBSC 프리미어 12에도 승부치기 규정이 적용된다. 승부치기 돌입 시점은 9회말이 동점으로 끝나고 10회 시작할 때부터다. 즉, 연장전에 들어가자마자 승부치기를 한다. 여기에 추가적인 규칙으로 10회 시작하기 전에 양 팀에 타순을 바꿀 기회를 딱 한 번 준다. 다만, 여기서 타순을 바꾼다는 게 라인업의 타순을 통째로 바꾸는 게 아니라 그 라인업에서 몇 번 타자부터 타격을 시작할지를 지정하는 식이다.
3.2. 한국에서
한국에서도 고교야구와 대학야구에 도입되어 있다. 콜드게임과 마찬가지로 결승전에는 적용되지 않으며, 2017년부터 시작한 대학야구 U-리그에서는 9회까지 승패가 결정나지 않으면 승부치기 도입 전 춘계리그와 추계리그 조별 예선과 마찬가지로 그대로 무승부로 끝낸다.
KBO 리그에서는 무승부 = 패배였던 2009년 시즌부터 처음 언급되었다. 다만 그 당시나 지금이나 문제점이 확연하게 존재했기 때문에 무산되었다. 다만 시범경기때는 승패가 크게 중요하지 않고, 주로 실전 경기를 통해 선수의 컨디션을 정확히 확인해야 되며, 또한 일정이 빡빡하게 짜여져 있다는 조건이 달려 있었기 때문에 승부치기 도입이 검토되었고 결국 2010년 시즌에 정규시즌이 아닌 KBO 시범경기에 한해서였는데에만 도입되고 이후로도 시범경기에서는 승부치기가 적용되고 있다.
또한 KBO 올스타전의 경우에 연장전에 들어가면 승부치기를 하도록 되어 있으며 실제로 2011시즌 올스타전에 승부치기로 승부가 갈렸다.
3.3. 해외에서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는 이딴 거 절대 없다. 무조건 정석대로 끝장승부. 다만 COVID-19와 노사분쟁의 여파로 60경기 단축시즌으로 치르는 2020년 시즌에 한정해서 연장 이닝에서는 주자를 2루에 배치시키고 시작하는 승부치기를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단, 포스트시즌에서는 승부치기 없이 종전의 연장전 방식을 그대로 시행한다.
그리고 2020년 7월 24일 링센트럴 콜리세움에서 열린 LA 에인절스와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경기에서 9회말 양팀 3:3으로 9회말 종료되어 MLB 최초로 승부치기가 시행되었다. 최초로 나간 주자는 규정상 이전 회 마지막 아웃카운트 타자였던 오타니 쇼헤이. 경기는 10회말 맷 올슨의 끝내기 만루홈런으로 오클랜드가 7:3 승리했다.
일본프로야구의 경우에는 승부치기 도입 자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
고시엔에서는 2018년 춘계대회부터 13회부터 시작되는 것으로 적용되고 있다.
4. 승부치기에 대한 반대 의견들
도입된 이후로도 승부치기에는 큰 반대의견이 존재하고 있다.
가장 큰 이유는 '''시간 초과가 없는 경기라는 야구의 특성을 무시한 것이라는 의견'''이 대다수이지만 다른 복합적인 문제도 상당히 많다. 타순은 1회에 들어온 순서대로가 아닌, 중간부터 들어오게 된다는 문제점. 가장 큰 문제인 승부치기에서 일어나는 피칭 및 타격행위는 기록에 특수상황을 만들어놓고 이뤄지는 상황이므로 작성할 수 없지만, 기록에 넣지 않는다면 '''승자는 있지만 승리투수나 패전투수가 없는 해괴한 경기가 되어버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도 기록의 경우는 베이징 올림픽 야구 때 1, 2루에 기출루해 있는 주자들의 득점은 투수의 자책점으로 취급하지 않지만 타자들의 타점으로는 인정하는 등의 기록방식을 취했으며, 그나마 이쪽이 가장 현실성이 있는지라 아마 이 방식으로 쭉 이어질듯 보인다.
5. 승부치기 때 투수의 기록은?
승부치기에서 타자의 기록과는 별개로 승부치기로 자동 진루한 주자가 득점했을 때 투수의 기록은 모두 비자책으로 처리된다.
'''승부치기로 인한 무사 1, 2루 세팅이 퍼펙트 게임 기록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는[5]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27 up 27 down''' 또는 '''30 up 30 down'''의 완벽한 상황에 점수가 안 나서 연장에 들어갈 경우 주자가 임의로 베이스에 나가 있는 것이 과연 옳은가의 문제는, 반드시 해결되어야 하는 숙제다.
누가 베이스에 나가도록 임의로 설정한다는 것 자체가 야구의 규칙을 확 뒤집어버리는 문제다. DH처럼 라인업에 투수 대신 누구 한 명을 내보내면서 평소대로 하는 지경이 아니라 이건 '''타순을 임의로 갈아엎는 제도'''이기 때문이다. 이래저래 골때리는 문제다. 이것이 진정 야구 저변을 넓히는 데에 좋은지도 생각해봐야 할 문제. 천만다행히도 승부치기 도입 후 아직까지 이런 문제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앞으로도 안 일어날 것인지에 대한 보장은 없다.
[1]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 기준으로는 9회까지 무승부일 경우 10회부터.[2] 당연하지만 이미 교체로 나간 선수는 투입될 수 없다.[3] 평균 관중이 200명 남짓이었다. 이스라엘 프로 농구의 1만 1500명 평균 관중, 축구의 22,500명(2007) 관중과 극과 극이다.[4] 에드먼턴 키즈가 나온 그 대회 맞다. 에이스 성영훈을 앞세워 세계대회 2연패를 달성한 팀으로 유명하다.[5] 노히트 노런은 거론 안 되는 이유는, 노히트노런 자체가 국제 비공인 기록이라서 그렇다. 원본격인 노히터가 있으며, 노히터에서는 실점 여부는 따지지 않으므로 영향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