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외버스 3003(폐선)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행정구역은 폐선 당시 기준이다.
시외버스 3003번
기점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오정동(부천테크노파크1.2단지)
종점
경기도 광명시 소하2동(광명역)
종점행
첫차
?
기점행
첫차
?
막차
?
막차
?
배차간격
1일 ?회
운수사명
대원고속
인가대수
?대
노선
부천테크노파크 - 약대주공아파트 - 설악마을 - 은하마을 - 은하쌍용아파트 - 부천시청 - 현대백화점중동점 - 상동홈플러스.부천종합터미널 - 삼산체육관 - 부평구청 - 부평시장 - 부평역 - 구.대경여상 - 일신동사무소 - 송내남부역 - 부천남부역 - 소사삼거리 - 소사초교 - 소사고 - 시흥IC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안현JC - 제2경인고속도로 - 일직JC - 광명역IC - 광명역

2. 개요


대원고속에서 운행했던 시외버스 노선.

3. 역사


  • 강화운수에서 2004년 6월 쯤에 신설한 33번 시외버스가 전신이다. '강화터미널 - 김포대학 - 마송 - 지경 - 구.터미널 - 풍무동 - 계양역 - 임학역' 구간을 공유하다가 부천터미널로 가는 노선과 광명역 및 안양역으로 가는 노선이 있었다.
  • 2006년 3월 31일(?)에 안양역 행 노선이 '강화 - 북변동 구.터미널 - 임학역' 구간과 '광명역 - 안양역' 구간이 단축되었다. 그리고 번호가 3003번으로 변경되었다.
  • 2006년 9월 12일에 '북변동 구.터미널 - 임학역' 구간이 연장되었다. 광명시 공지사항
  • 2007년 2월 15일에 3003번은 '북변동 구.터미널 - 부천테크노파크' 구간이 단축되었고, 부천터미널에서 바로 송내역으로 가지 않고 부평구청과 부평역으로 돌아서 가는 걸로 변경되었다. 관련 기사
  • 2007년 4월 1일에 3003번이 대원고속으로 매각되었으며, 요금도 인하되었다. 당시엔 20~50분 간격으로 운행하였다. 관련 기사
  • 2007년 6월 14일에 3003번이 송내남부역에서 송내나들목을 통해 바로 고속도로로 가지 않고, 남부경찰서(현 소사경찰서)와 부천역, 소사본동 경유로 변경되었다. 관련 기사
  • 2010년에 부천터미널 행 노선이 일반시내버스로 전환되었고, 번호도 330번으로 변경되었다. 당시 모습 하지만 몇 달 못 가고 2010년 7월 쯤에 폐선되었다.

4. 특징


  • 시외버스였지만, 수요를 잡기 위해 요금에서 승부수를 띄웠다. '부천테크노파크 - 광명역' 2,100원, '부천시청 - 광명역' 1,900원, '부평구청 - 광명역' 1,500원, '부평역·대경여상 - 광명역' 1,300원, '일신동사무소, 소사본동 - 광명역' 1,100원이었다. 차량 앞과 옆에 시내요금 1000원이라고 붙이고 다녔던 건 덤. 관련 게시물 하지만 부평으로 돌아서 가다보니 수요는 그다지 많지 않았다.
  • 이 노선이 폐선된 뒤 송내남부역과 광명역을 오가는 8808번이 신설되었지만, 이 노선도 수요가 저조해 금방 폐선되었다. 하지만 경기도 공공버스로 2020년 3월 10일부터 소신여객에서 8808번이 다시 신설 운행되었다.

5. 연계 철도역


폐선 당시 기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