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포시

 



新浦市 / Sinpho City
신포시
新浦市 / Sinpho City
국가
북한
광역시도
함경남도
행정구역
16동 6리
인구
15만 2759명
면적
43km²
시간대
UTC+9

1. 개요
2. 상세
3. 역사
4. 행정구역
5. 교통
6. 기타


1. 개요


함경남도 중동부에 위치한 시.

2. 상세


동쪽은 금호지구, 서쪽은 홍원군, 북쪽은 북청군과 접해 있고 남쪽은 동해에 면해 있다. [1] 인구는 약 15만 명이다.(2008) 북한 행정구역상 신포시의 면적은 시급도시 중에서 제일 작다.
항구 남쪽을 마양도(馬養島)[2]가 막고 있다. 신포시가 항구도시라는 점과 마양도가 바로 앞에 위치하는 지리적 입지을 갖고 있다. 그리고 마양도에는 북한 해군 4전대 및 북한 최대 규모의 잠수함기지가 있다. 즉 군사도시로서 어느 정도 역할을 하는 동네이다. 그리고 신포시는 북한 굴지의 수산업 중심지인 곳이다.
특이 사항으로 흐린 날이 초월적으로 많다.(...) 기상청 백서##에 따르면 2016년에 운량[3]이 7.5 이상인 날이 서울 지역은 연 82일, 울릉도는 146일이었는데, 신포는 무려 303일이었다. 다른 함경도 해안 도시들도 그 정도는 아닌데 청진 127일, 성진 139일, 원산 114일. 연 평균 기온 10℃, 1월 평균 기온 -3.2℃, 8월 평균 기온 22.8℃로 연교차가 작고 겨울은 비교적 따뜻하며[4] 여름은 시원하다. -3℃ 기준으로는 온난 습윤 기후의 한반도 최북단에 속한다. 한반도 내에서 서안 해양성 기후에 가장 근접한 곳이다.[5]
남한 주도의 흡수통일이 되더라도 신포시는 북청군이나 홍원군에 흡수되지 않고 그대로 존치될 가능성이 높다. 이미 굉장한 규모의 도시로 성장한 데다 생활권마저 분리되어버렸기 때문이다. 평라선 철로를 재부설할 때에도, 동해고속도로를 만들 때에도 신포시를 지날 가능성은 매우 높다.
도시 형성 과정이 대한민국강원도 동해시와 가장 비슷하다. 북청군과 홍원군에서 떨어져나온 신포시처럼 동해시도 원래 명주(강릉)군과 삼척군에서 떨어져나온 도시이기 때문이다. 통일되면 국내 자매결연 도시로 동해시 - 신포시가 묶일 가능성이 높다.

3. 역사


광복 당시 북청군홍원군의 일부였다. 행정구역 개편 이전의 역사는 각 군 문서 참조. 1952년 북한 행정구역 개편 때 북청군 신포읍, 양화면, 홍원군 용원면, 용포면을 분리 통합하여 신포군을 신설했다. 신포라는 이름은 북청군 신포읍에서 따온 것이다. 새롭게 번창하는 항구라는 뜻도 있다.
1960년에 시로 승격되면서 외곽 지역을 홍원군신창군에 넘겨주었다.
1974년 신창군이 폐지되면서 신창군 서부 지역 8개 리를 흡수하였으나, 1995년에 신설된 금호지구에 돌려주었고 리 1개(호남리)도 금호지구에 넘겨주어 면적이 축소되었다. 그래서 신포시는 북한에서 가장 면적이 작은 시가 되었다.

4. 행정구역


16동 6리로 이루어져있다.
  • 관할 동: 광복1동, 광복2동, 동호1동, 동호2동, 연호동, 육대1동, 육대2동, 마양동, 신흥동, 양지동, 어항동, 포항동, 풍어동, 해산동, 해암1동, 해암2동
  • 관할 리: 용중리, 보주리, 부창리, 신풍리, 신호리, 양화리

5. 교통


철도는 평라선(함경선)이 지나간다. 풍어역, 륙대동역, 신포역, 양화역이 있다. 7번 국도가 지나가기도 한다.

6. 기타



[1] 실제로 신포 사람들은 동해를 남해로 부르기도 한다.(...)#[2] 울릉도에 이어 동해에서 두번째로 넓은 섬이다. 면적 7.1㎢[3] 0은 쾌청, 10은 구름이 잔뜩 낌[4] 신포와 비슷한 위도에 있는 희천의 1월 평균 기온은 -9.1℃[5] 서안 해양성 기후는 최난월 평균기온이 22℃ 이하이다. 흐린 날 많은 것도 서안 해양성 기후와 비슷하고 말이지... 다만 당연히 유럽과 달리 맑은 날은 겨울에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