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난 습윤 기후

 




[image]
Cfa 기후
[image]
도쿄
[image]
베네치아
[image]
뉴욕 브루클린
1. 개요
2. 지역
3. 특징
4. 관련 문서


1. 개요


온대 기후 중 하나. 비가 많이 내리는 고온 다습한 날씨가 특징이다.
한국에서 해양성 기후라고 말하는 기후가 이 기후이다.

2. 지역


홋카이도도호쿠 북부 및 간토 내륙 지방을 제외한 오키나와 이북의 일본 대부분[1], 대한민국 속초시 이남[2] 동해안[3], 군산시 이남[4] 서해안,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제주도 지역, 미국뉴욕 이남[5] 동해안과 중남부, 중국의 화남, 화중과 화둥 일부, 남아메리카의 팜파스, 오스트레일리아 동부가 꼽힌다.
유럽에서도 제한적으로나마 나타나는데, 아드리아해 연안, 흑해 연안, 카스피해 근처이다. 이 지역에서는 겨울 강수량으로 쌀을 재배하기도 한다.
남북 위도상 3~40도의 좁은 지역에, '''모두 동쪽에 바다를 두고 있다'''는 것 또한 공통적인 특징.[6] 조건이 생각보다 굉장히 한정된다.

3. 특징


기후가 양극화된 것이 특징으로 여름엔 엄청나게 덥고 습하다가 겨울엔 또 엄청 추워져서[7] 사계절이 비교적 뚜렷한 편. 그러나 온난화 현상으로 인해 여름이 길어지는 반면[8] 겨울은 강추위가 오되 전반적으로 짧아지며, 봄과 가을도 점차 짧아지는 추세.[9]
'''이 잘 자란다.'''[10] 이 작물 하나가 지역의 모든 생태와 역사를 만들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기후대에 속하는 동아시아 지역의 경우 쌀이 잘 자라니 쌀을 키우고, 쌀을 재배하기 위해 노동집약적인 사회구조를 갖게 되며, 토지 중심의 문화권이 발달했다. 신대륙인 미국, 남미, 호주는 쌀이 전파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런 특징은 띠지 않는다. 이 지역에서는 쌀 대신 옥수수를 키웠다. 고구마도 이 기후에서 제일 잘 자란다.
좁은 면적에 많은 사람들을 부양하는데 가장 적합한 지역 중 하나로 꼽힌다.[11] 기후 변화가 극심하지만 그래도 전반적으로는 살만한 기후인지라, 그 과정에서 문명이 발달하였다. 호주의 그 넓은 땅에는 이 기후 지역에 인구가 집중되어 있다.
남미의 팜파스는 브라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에 걸쳐 있는데 국가의 인구가 모조리 이 지역에 몰려 살며, 특히 많은 지역을 차지하는 아르헨티나의 식량은 질과 양에 있어서 남미의 여타 국가에 비해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마다가스카르의 중부 고원지대가 한정적으로 Cfa 기후에 속하는데, 마다가스카르의 첫 통일왕국인 메리나 왕국도 이 지역에서 시작했다. 주식회사 대우가 괜히 마다가스카르를 사들인 것[12]이 아니다.
다만 습한 환경 때문에 건축물이 오래 버티지 못한다. 분명 문명이 발달한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대형 건축물을 많이 남기지 못했다. 한국의 경우 기후 영향도 있지만 신라 후기부터 고려 전기의 건축물이 증발한 건 병자호란임진왜란, 6.25 전쟁을 비롯한 여러 대전쟁때문에 여러 번 국토가 통째로 리셋된 탓이 더 크다.
산업시대 이전까지는 식량 보존에 큰 어려움을 겪었던 지역이기도 하며,[13] 이 지역 주민들은 있을 때 먹는 대식가들이 많다고 한다. 다른 지역에서는 아예 대죄로까지 몰리는 대식가 속성이 이 지역에서는 영웅의 속성이 되기도 한다. 이런 특징 때문에 생식과 발효기술 또한 발전했다. 전라도 및 남해안에서 젓갈 문화가 발달한 것도 이와 관련있다.
열대지방만큼은 아니지만 은근히 태풍에 많이 시달리는 지역이기도 하다. 또한 지방에 따라서는 때때로 겨울 기온이 낮아 눈이 많이 오는 지방들도 있는데(특히 한국영동 지방, 울릉도일본호쿠리쿠 지방) 이러한 지역의 강설량은 냉대기후권을 능가한다.
여름에는 높은 습도와 폭염의 콤보 탓에 예로부터 현대까지 여름나기가 힘든 기후에 속하며,[14] 에어컨으로 인한 전력 소비가 기하급수적으로 높아진다.[15] 이런 지역이 도시화되면서 발생하는 열섬 현상이 온난 습윤 기후의 여름철마다 찾아오는 습도 + 폭염의 위력을 일부 지역에서 더 강화시킨다.[16] 폭염 전후로 장마나 태풍이 찾아오는 것도 특징. 이러한 특징은 온대하우기후와도 공유된다.

4. 관련 문서


[1] 위의 지도에선 오키나와 제도 전체가 Cfa기후로 되어있지만 야에야마 제도부터는 영락없는 열대우림 기후다.[2] 0℃ 기준. -3℃ 기준으로는 대략 흥남, 신포(북위 40º) 일대까지 올라간다.[3] 울릉도, 독도 포함[4] 0℃ 기준, -3℃ 기준으로는 인천광역시의 해안까지 올라간다.[5] 0℃ 기준, -3℃ 기준으로는 보스턴 일대까지 올라간다.[6] 반대로 서안 해양성 기후와 지중해성 기후는 대부분 서쪽에 바다를 두고 있다.[7] 그 와중에 내륙이 건조하고 해안이 습하다. 해안지역에선 많이 오는 눈이 내륙에선 보기 힘든 이유. 이는 지형 탓도 큰데 눈구름이나 비구름이 바다에서 접근하다가 산맥을 만나면 거기서 일단 상당량의 비나 눈을 소모하고 건너가기 때문. 특히 다설지로 유명한 강원도는 산맥을 등진 해안 지형이 포함되어있으며, 울릉도는 아예 사방이 바다인 이다.[8] 그래서 상대적으로 한랭하고 건조한 곳에서 자라는 작물들의 재배지가 북상하고, 반대로 아열대~열대과일들이나 온난기후에서 자라는 작물들을 기를 수 있는 범위가 넓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과거만 해도 수입하기만 했었던 아열대산 과일들 중 일부는 2019년 기준으로 대한민국 남단에서 현재 재배되어 판매되기까지 한다.[9] 온난화가 더 심해질수록 4계절의 구분이 희미해져서 아예 2계절 시대가 올 수도 있다는 말도 있다. 상대적으로 여름과 가을 사이에 낑겨 중간의 특성을 보유한 봄가을이 여름과 겨울의 영역에 편입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10] 한국에서 가장 쌀 생산량이 많은 호남평야 지역도 온난 습윤 기후에 속한다.[11] 다른 하나는 산업 혁명 발상지이자 서양 문명의 근간 중 하나가 된 서안 해양성 기후 지역.[12] 마다가스카르 혁명으로 없던 일이 되었지만. 대한민국의 흑역사 중 한 페이지로 꼽힌다.[13] 다른 계절들이라면 또 몰라도 여름이 습하고 더워 너무 빨리 음식물이 부패해버린다.[14] 온난 습윤 기후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불쾌지수가 타 계절들에 비해 급등하는 시기가 바로 이 시기이다.[15] 상대적으로 여름이 시원한 서안 해양성 기후나 한랭기후 등과 달리 온난 습윤 기후는 같은 기온이라 해도 습도 때문에 체감온도가 더 높아, 습도를 한정된 구역 안에서라도 제거해주는 에어컨이 필수다.[16] 주로 발달되었으나 목초지가 별로 없는 도심지가 이에 해당.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