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국행진곡
1. 개요
애국행진곡(愛國行進曲)은 일본 제국 당시 국민가요로 보급된 노래이자 일본 육군의 군가(軍歌). 군함행진곡과 더불어 대표적인 일본 군가다.
초연은 1937년 12월 24일 총리 관저에서 이루어졌으며, 이틀 뒤인 26일에 대중적으로 공연되었다. 처음부터 배포용으로 저작권이 설정되어 있지 않아 일본 컬럼비아 레코드, 빅터 레코드를 비롯한 다양한 음반사에서 갖가지 버전이 나왔으며 당시 SP판의 판매고가 100만장을 넘을 정도로 상업적으로는 높은 실적을 거두었다. 하지만 현대에는 쇼지 타로의 히트곡(...) 중 하나로 인식되는 경우도 적지 않은 듯하다.
군함행진곡보다 역사가 짧은 편으로, 이미 중일전쟁 시점이었던 1937년에 일본 군부와 정부가 '국민 정신 총동원' 이라는 군국주의 표어를 대놓고 내걸어 공모했다. 우선 가사 공모가 진행되었고, 채택 주체였던 내각 정보부에 제출된 50000여 점 이상의 가사들 중 돗토리현에 거주하는 인쇄업자 모리카와 유키오(森川幸雄)의 것이 선택되었다. 그리고 사용될 곡조에는 군함행진곡의 작곡자였던 세키구치 토키치(瀨戸口藤吉)의 곡이 선정되었다. 그래서 당시에는 젊은이의 기백으로 써낸 가사와 노익장의 역작인 곡조의 조화 등의 미사여구가 넘쳤지만... 현실은 시궁창
우선 가사가 모리카와의 원안대로 쓰이지 않고 심사위원들이 높으신 분들의 입맛에 맞게 마구 뜯어고쳐 희대의 괴작이 되었다는 데에 문제가 있었다. 심사위원 중 키타하라 하쿠슈(北原白秋)와 사사키 노부츠나(佐佐木信綱)가 가사 개작 과정에서 심각하게 대립하여 1942년 키타하라가 죽을 때까지 전혀 화해하지 않았다.
게다가 이 개작된 가사가 심하게 병맛이었다. 전체주의가 일소된 현대의 시각에서도 그렇지만, 당대 사람들이 볼때조차 심히 오글거릴뿐만 아니라 한문을 많이 사용하는 당대의 일본어 환경에서조차도 알아듣기 어려운 한문어투가 난무하는 가사 때문에 판매고는 높았지만 당시 일본인들의 마음 속에 파고들지는 못한 것이다. 애국행진곡 뿐만 아니라 이 시기에 새로 만든 군가중에서는 기껏 노영의 노래 정도의 극소수의 곡만 애창되었을 따름이고 대부분은 메이지, 다이쇼 시대에 만들어진 군가를 열창하는 분위기여서 일본 본토 사람들도 이 노래를 등한시했다. 게다가 노래가 보급된 식민지 조선에서도 당시 조선인들이 일제를 까는 내용으로 가사를 바꿔불러 총독부가 골머리를 앓았다고 한다.[1] 심지어는 ''''보라, 도조의 대머리''''(...) 같은 작자미상의 조롱성 개사가 돌기도 할 정도였다.[2]
한편 일본 본국민들에게는 인기가 미적지근 했던것과는 별개로 당시 조선 등 일본의 점령지나 전선에 송출되는 선전 라디오등에서는 친숙한 노래였던것으로 보인다. 이는 '만세일계'니 '팔굉일우[3] '니 하는 노래 가사에서 알 수 있듯 이 노래가 단순한 사기진작용의 군가로서 제작되었다기 보다는 중일전쟁을 일으키고 전 세계를 상대로 한 싸움을 걸던 시기에 일본정부가 국민들에게 제국주의, 군국주의 사상을 세뇌시키기 위하여 제작한 일종의 체제선전가이기 때문이다. 이리하여 도쿄 로즈같은 일본의 선전방송을 많이 듣던 연합군 병사들중에는 이 노래가 하도 많이 방송되는 통에 일본의 국가인줄로 알던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2차대전 당시 일본군이 점령지에도 열심히 배포했으므로 노래를 아직도 기억하고 부르는 주민들이 있어 나중에 일본언론들이 취재를 가기도 했다는 모양.
2. 가사
2.1. 개사 버전
3. 영상
아래의 영상은 1943년에 제작된 선전 영화 '음악대진군(音楽大進軍)'에 수록된 가창 영상이다. 추축국 일원이었으니 당연한 것이겠지만, 나치 독일의 선전 영화와 비슷한 구도와 연출을 사용하고 있다. 독창을 맡은 가수들은 타키타 키쿠에(소프라노)와 후지와라 요시에(테너)로, 선전 영화 답게 당시 일본에서 날리던 1급 성악가들을 섭외했다. 하지만 관현악단의 연주 퀄리티는 시망.
1941년 3월 독일 주간 전시뉴스. 일본제국 외무상 마츠오카 요스케가 베를린을 방문했을때.
4. 관련 문서
[1] 이런 식의 저항은 해방 후에도 이어져 유행가나 군가에 독재정권을 비판하는 가사를 붙여 부르곤 했는데 한국에 민주화가 실현되는 90년대까지 노가바라는 이름으로 계속되었다. 오월의 노래가 대표적. 이런 소극적인 저항은 노래 외에도 창씨개명에서도 사례를 찾을 수 있다.[2] 이 '도조의 대머리' 패러디는 일본 본토에서 시작되었는지 조선에서 시작되었는지는 불분명하나 일본과 조선에서 모두 인지도가 있던 듯 하다.[3] 2차대전시기 일본 군국주의 표어로 쉽게 말해서 전세계를 모두 천황의 지배 하에 두자는 뜻이다. [4] 한국 동해가 아니라 일본측의 동해. 즉 태평양이다.[5] 여덟개의 큰 섬으로 이루어진 나라. 일본의 옛 이름[6] 흠이 없는 황금단지라는 뜻으로, 한번도 침략당한적이 없는 나라를 일컬음[7] 팔굉일우를 풀어 쓴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