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모드/기반 모드

 


1. 개요
2. 모드 매니저
2.1. Nexus Mod Manager (LE, SE, VR)
2.2. Mod Organizer (LE, SE, VR)
2.3. Vortex (LE, SE, VR)
3. 세이브 클리너
3.1. Save Game Script Cleaner (LE)
3.2. FallrimTools - Script cleaner and more (LE, SE)
4. 스크립트
4.1. Skyrim Script Extender (SKSE) (LE, SE, VR)
4.1.1. Address Library for SKSE Plugins (SE)
4.2. FileAccess Interface for Skyrim Scripts (FISS) (LE, SE)
4.3. JContainers (LE, SE, VR)
4.4. NetImmerse Override (LE, SE)
4.5. PapyrusUtil (LE, SE)
4.6. Hook Share (SE)
4.7. Grimy Plugin (LE)
4.8. .NET Script Framework (SE)
4.9. Spell Perk Item Distributor xEdit Scripts (LE, SE)
5. 모드 정렬 프로그램
5.1. xEdit (LE, SE)
5.1.1. NPC Visual Transfer Tool (LE, SE)
5.2. wrye bash (LE, SE)
5.3. Mator Smash (LE, SE)
5.4. Merge Plugin (LE, SE)
5.5. LOOT (LE, SE)
6. 뼈대 및 모션
6.1. Fores New Idles in Skyrim (FNIS) (LE, SE)
6.1.1. FNIS PCEA (LE, SE)
6.2. Nemesis Unlimited Behavior Engine (LE, SE)
6.2.1. Nemesis PCEA (LE, SE)
6.3. Dynamic Animation Replacer (LE, SE)
6.4. Nifskope (LE, SE)
7. 사운드
7.1. Yakitori Audio Converter (LE, SE)
7.2. Lazy Voice Finder (LE, SE)
7.3. VA Synth (LE, SE)
8. 최적화 및 포팅
8.1. Optimizer Textures (LE, SE)
8.2. SSE NIF Optimizer (SE)
8.3. Cathedral Assets Optimizer (SE)
8.4. Animation.hkx conversion for Skyrim Special Edition (SE)
9. 기타 프로그램
9.1. Creation Kit (LE, SE)
9.2. xTranslator (LE, SE)
9.3. ENB Organizer (LE, SE)
9.4. BOSS
9.5. TESVSnip


1. 개요


모드 제작용 도구나 다른 모드들의 베이스가 되는 기반 모드들. 이 모드의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서 타 모드를 설치할 때에 요구사항으로 으레 달려있는 모드들이다.
레전더리 에디션을 지원하면 항목명 옆에 (LE)가, 스페셜 에디션을 지원하면 항목명 옆에 (SE)가, VR을 지원하면 항목명 옆에 (VR)이 붙어 있다.

2. 모드 매니저


모드 매니저는 모드가 아닌 별도로 동작하는 모드 설치 관리 프로그램이다.

2.1. Nexus Mod Manager (LE, SE, VR)


넥서스 모드에서 만든 모드 매니저이다. Nexus Mod Manager 문서 참고.


2.2. Mod Organizer (LE, SE, VR)


가상화 기능을 이용한 모드 매니저이다. Mod Organizer 문서 참고.

2.3. Vortex (LE, SE, VR)


2018년 새로 공개된 모드 매니저이다. Vortex 문서 참고.

3. 세이브 클리너



3.1. Save Game Script Cleaner (LE)


이 세이브 클리너가 나오기 이전에는 클린세이브가 없다고 하지만, 이 클리너가 나온 이후는 그런건 잊어라. 기존의 방식들은 작은 공간에 짱박혀서 게임의 리스폰 간격인 1달 이상 침대에서 자기 등 매우 불편한데 효과는 없거나(* 당연히 물체, NPC가 리스폰되더라도 별도로 돌아가는 스크립트가 있기 마련), Skyrim save cleaner처럼 form아이디를 싹 다 지우는 것 때문에 세이브가 맛이갈 확률이 높은데 반해, 이 세이브 클리너는 세이브에서 작동되는 스크립트들을 목록으로 정리를 하고, 그 중에 모드를 삭제해서 남는 찌꺼기 스크립트들은 따로 앞에 '#'으로 표기를 해서 그 찌꺼기들만 솎아내서 정리를 할수있고, 하복 기반 오브젝트도 원 위치로 복귀시켜서 세이브 파일 감량도 할수 있다. 전작인 오블리비언이나 폴아웃3 등에서는 이런 프로그램이 없었기 때문에 세이브 파일을 버리기 일쑤였다. 사용 방법은 한국어 번역 링크 참조.

3.2. FallrimTools - Script cleaner and more (LE, SE)


위의 Save Game Script Cleaner처럼 지저분한 스크립트를 정리해주는 프로그램이다. 실행 파일 이름이 resaver라서 리세이버라 부르기도 한다. Save Game Script Cleaner와 마찬가지로 게임 상에서 불러오기가 안되는 세이브 파일을 살리기 위해 거의 최후로 선택하는 수단이라 보면 된다. 스카이림 레전더리 에디션, 스카이림 스페셜 에디션, 폴아웃4를 모두 지원한다. 스카이림 레전더리 에디션을 하던 사람들은 Save Game Script Cleaner모드를 쓰는지라, 주로 스카이림 스페셜 에디션이나 폴아웃 4를 하는 사람들이 많이 쓰는 편이다.
간단히 사용방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FallrimTools를 실행하면 세이브 파일을 선택하는 창이 열린다. 클리닝하려는 세이브 파일을 선택해 연뒤 보면 상단 메뉴에 File, Clean, Options, Data, Help 항목이 보일 것이다. 그중 Clean 메뉴를 누르면 다운 메뉴에 다음과 같이 뜰 것이다.
=========================================
Show unattached instances
Show undefined instances
Show Formlists containing nullrefs

Show long srings (512 or more)

Show empty REFR
Change filter %s
=========================================
Remove unattached instances | Ctrl+1
Remove undefined elements | Ctrl+2
Reset Havok | Ctrl+3
Purify FormLists | Ctrl+4
Remove non-existent-form instances | Ctrl+5
=========================================
Batch Clean | Ctrl+6
Kill Listed
=========================================
세이브 파일 게임에 따라 Show cell(-1) changeforms, Show empty REFR, Change filter %s 등은 안뜰 수도 있다. 간편하게 정리해주고 싶다면 그냥 Ctrl+1과 Ctrl+2만 눌러주고 Ctrl+S로 저장해주면 된다. Remove unattached instances와 Remove undefined elements만 실행하는 방법이다. 좀 더 자세히 하고 싶으면 Show unattached instances, Show undefined instances, Show Formlists containing nullrefs, Show long srings (512 or more), Show empty REFR를 체크한 뒤 맨 밑의 Kill Listed를 눌러준다.
다 끝났으면 저장만 하면 된다. 자동으로 백업 파일도 생성되니 백업을 걱정할 필요는 없다. 게임 안에서 세이브 파일 불러오기 메뉴에서 보면 위쪽에 있는 파일이 클리닝된 세이브 파일이고 아래쪽에 있는 파일이 문제가 있던 원본 세이브 파일이다. 만약 백업 파일이 생성되지 않길 바란다면 File 메뉴에서 Save As (Ctrl+A) 를 선택해 지우면 된다.
참고로 취소선 처리한 Show non-existent-form instances와 Show cell(-1) changeforms은 사용시 오류가 생길 수 있다고 한다.
Save Game Script Cleaner와 다르게 총 문자열 개수도 보여준다. FallrimTools에 ReStringer 기능이 있어서 65,535개의 문자열 제한를 넘기지 않게 정리하려는 목적으로 쓰기도 한다고 하는데 정확히 얼마나 줄여주는지는 알 수 없다. 문자열 제한 관련 문제에 대해서는 베데스다 크리에이션 킷 항목 참조.

4. 스크립트



4.1. Skyrim Script Extender (SKSE) (LE, SE, VR)


Skyrim Script Extender는 게임 상에서 각종 스크립트를 사용할수 있도록 해주는 도구들이다. 스크립트를 사용하는 모드라면 SKSE를 이용하지않는 모드를 찾기가 거의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에 어떠한 모드던지 일반적으로는 필수이다.
'''레전더리 에디션용, 스페셜 에디션용, VR 에디션용 SKSE가 다 다르니 잘 구분해서 다운받아 설치해야 한다.''' 공식 홈페이지에서 'Current 뭐뭐 build' 옆의 링크에서 파일을 다운받아 설치하면 된다. 뭐뭐 부분에 들어가는 단어가 classic이면 레전더리 에디션, SE면 스페셜 에디션, VR이면 VR 에디션 용이다. 압축파일 포멧이 7z이기 때문에 알집 같은 프로그램으로 풀면 오류가 날 수 있다. 반디집을 쓰기 바란다.
공식적인 설치법은 다운로드한 파일안의 readme파일에 적혀있다. 압축을 해제한 후 src파일을 제외한 모든 파일들을 스카이림 폴더에 붙여 넣는 것이지만 아예 모든 파일들을 통째로 옮겨넣는 것이 더 안전하고 간편하기도 하며 제작자 또한 추천하고 있다. 게임을 실행할때는 skse_loader로 실행해야 해당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유의할 점으로, 오프라인 상태 등의 이유로 스팀에 정상적으로 로그인하지 않았을 경우 안정성 보완기능이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제작에 베데스다가 미약하게나마 협력하기 때문에 정품유저를 위한 혜택으로 넣은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추가 메모리 할당 지원 기능이 있어 SKSE 설치 후 ini 파일을 만져주면 게임 시작시 엔진 기본 메모리가 2배로 늘어난다. readme에도 적혀있지만, skse의 ini 파일은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녀석이 없으므로 새로 만들기 - 텍스트 문서로 skse.txt를 만든 뒤 확장자를 ini로 고쳐줘서 ini 파일을 만들어주면 된다. 자세한 사항은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모드/기본 시스템 변경 및 개선 참고.
초창기 스페셜 에디션에서는 SKSE 미지원으로 SKSE를 이용한 모드들을 사용할 수 없어 스페셜 에디션 활성화가 더뎌졌었다. 현재 이 부분은 해결됐지만 게임 업데이트로 인해 SKSE가 먹통이 되는 일이 잦다.
네이버 N 스토어 등을 사용하면 "파수 DRM(Fasoo DRM)"이라는 프로그램이 깔리는데 여기서 차단하는 프로그램 중 SKSE와 겹치는 스크립트가 있어서 차단해 버린다. 스카이림을 할 때는 삭제해주자. 혹은 이 방법대로 해결 가능하다.
과거에는 Script Dragon이라는 비슷한 스크립트 확장을 지원하는 모드가 있었지만 사장되었다.

4.1.1. Address Library for SKSE Plugins (SE)


스카이림 스페셜 에디션은 크리에이션 클럽 업데이트 때마다 SKSE를 사용하는 일부 모드[1]가 먹통이 된다. 때문에 매 업데이트 때마다 SKSE를 사용하는 모드들이 업데이트 됐는지 찾아서 일일히 업데이트 해줘야 하는데, 이게 엄청나게 스트레스를 준다. 그나마 자기가 쓰던 모드의 제작자들이 크리에이션 클럽 업데이트가 된지 일주일 내에 모드를 업데이트해주면 문제가 없지만, 모드 제작자가 부재중이거나 모드 제작을 그만두었다면 그 모드는 못쓰게 된다. 이런 점 때문에 아예 유저들은 스팀 업데이트를 막아두거나 롤백하는 방법을 써서 플레이를 해왔다.
Address Library for SKSE Plugins는 이런 문제를 해결해주는 라이브러리다. 이 어드레스 라이브러리를 만든 meh321에 따르면, 모드 제작자가 이 라이브러리를 이용해 만든 모드는 크리에이션 클럽 업데이트가 돼도 업데이트를 해줄 필요가 없다고 한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Address Library for SKSE Plugins은 그냥 모드가 아니라 라이브러리다. 때문에 일단 이 라이브러리를 쓰려면 모드 제작자가 어느 정도 코딩 지식이 있어야 한다. 애초에 SKSE를 쓰는 모드를 만들 정도면 DLL 컴파일을 할 줄 알테니 meh321이 설명란에 설명한 대로 하면 된다. 일반 유저는 일단 다른 모드처럼 설치만 해두면 되지만, 문제는 해당 모드를 만든 모더가 이 Address Library for SKSE Plugins을 적용할 수 없으면 (적용할 생각이 없거나 부재중일 경우) 무용지물이다. 그래도 어쨌든 크리에이션 클럽 업데이트에 대응할 수단이 생겼기 때문에 향후 이를 적용한 모드가 많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4.2. FileAccess Interface for Skyrim Scripts (FISS) (LE, SE)


UI나 HUD의 MCM 설정을 저장할 수 있게 해준다. 당연히 해당 모드들이 선행 모드로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4.3. JContainers (LE, SE, VR)


JSON 기반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게 해주는 모드. VioLens 등의 모드가 선행으로 요구한다.

4.4. NetImmerse Override (LE, SE)


신체 정보 값을 저장해주는 기능을 추가해주는 모드. RaceMenu나 ECE같은 성형 모드, XPMSE 같은 뼈대 모드들이 선행 모드로 요구한다.
스페셜 에디션의 경우 RaceMenu에 포함되어있는 것을 따로 뽑아서 써야 한다. 이 문서도 참고
NPC 목을 자르거나(참수, Decapitation) 목이 잘린 NPC 근처에 가면 팅긴다면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버그의 그래픽 항목에 적힌 해결방법을 참고하자.

4.5. PapyrusUtil (LE, SE)


SKSE용 스크립트들을 추가시켜준다.

4.6. Hook Share (SE)


스페셜 에디션
1.5.97 버전 dll 파일
스페셜 에디션에서 Quick Loot RE와 Skyrim Souls RE의 선행모드. 원 제작자가 1.5.97 버전 업데이트를 그만 두었으나, 한 유저가 버전에 맞게 dll 파일을 포팅했다. 다만 2020년 초 현재 Address Library 가 등장해 속속 모드들이 이에 맞춰 변경 되고 있고, 앞으로 이런 식으로 업데이트가 얼마나 유지될지도 알 수 없다.

4.7. Grimy Plugin (LE)


SkyTweak 선행 모드. 횃불 범위/지속시간 조절 기능을 구현할 때 필요하다고 한다.

4.8. .NET Script Framework (SE)


.NET 언어를 이용해 만든 스크립트 기능 확장 프레임워크. Actor Limit Fix, Better Stealing, Better Telekinesis,, Bug Fixes SSE, Free Look, Immersive First Person View, Main Menu Randomizer SE, No Grass In Objects, Uninterrupted Ethereal Form, Uninterrupted Invisibility 등 여러 모드들의 선행 모드이다. 선행모드로 SSE Engine Fixes가 필요하다.

4.9. Spell Perk Item Distributor xEdit Scripts (LE, SE)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모드/NPC 밸런스 참고.

5. 모드 정렬 프로그램



5.1. xEdit (LE, SE)


오블리비언 시절부터 폴아웃 3폴아웃: 뉴 베가스를 거쳐 스카이림까지 온 유서깊은 유틸로, 스카이림의 esm, esl, esp 파일 내용을 수정할 수 있다. 이 유틸을 요구하는 애드온들도 많다. 총칭은 xEdit이나 유저들은 레전더리 에디션 버전을 TES5edit, 스페셜 에디션은 SSE Edit로 구분해서 부른다.
기존 TesVSnip이 폼과 아이디를 일일이 변경해서 통합하는데 반해, 이 스크립트를 이용하면 아이디 등을 자동적으로 변경을 해준다. TESVSnip의 상위호환 모드기 때문에 TESVSnip은 쓰지 말고 이 모드를 쓰자.
LOOT나 BOSS로 모드를 정렬시키고 보고서를 보면 정크 파일이 있다면서 이걸 이용해 클린하라는 메시지를 볼 수 있는데 그런 정크 파일을 청소하는 유틸리티이다. 단. 여기서 정크 파일이라고 하는 것도 정작 그 모드에 필요한 파일 일수도 있고 웬만한 메이저 모드는 대부분 모더가 해당 유틸을 사용하여 청소후 올리거나 그러한 모드들이 계속 업데이트되면서 그런 부분들을 수정해가기 때문에 '정크파일 클린 할 필요 없음' 이런식으로 명시해주는 경우는 물론이고 일반적으로도 청소하지않는것을 추천한다. 어떤 모드들은 모드들간의 충돌을 막기 위해 의도적으로 정크 파일이나 중복 데이터를 남기는 경우도 있다.
위의 이유로 모드들은 건드리지 않는 게 속이 편하지만, 스카이림 update.esm과 DLC들은 클린해서 손해볼 것이 없으니 꼭 해주는게 좋다.
스카이림은 모드들간의 충돌 해결이 게이머의 상당한 과제인데 모드의 세팅을 완료하고 TES5Edit 을 실행시켜보면 실제로 게임을 실행시키는것처럼 시뮬레이트하기때문에 어떤 모드의 로딩 도중 튕김 현상이 발생하는지 알 수 있다.
또한 통합 플러그인을 추가로 설치하면 모드 통합을 지원한다.
한국어 번역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모드 오거나이저에서 프로그램 등록창의 Arguments 항목에 -cp:utf-8를 입력해야 한다.
xEdit를 사용하여 Wrye Bash Tag를 생성하는 방법도 있다.#

5.1.1. NPC Visual Transfer Tool (LE, SE)


번거로운 Creation Kit을 사용하지 않고 NPC 외형을 바꿔줄 수 있는 애드온 유틸. TES5edit 설치 폴더에 있는 script 폴더에 넣고 TES5edit를 실행시켜 apply script 항목에서 해당 스크립트를 선택해 돌리면 된다.

5.2. wrye bash (LE, SE)


플러그인 통합툴. 동일한 부분을 건드리는 모드들의 중복코드를 합쳐서 맨 마지막에 로드함으로서 충돌을 최대한 막아주는 유틸리티다. 모드 정렬 및 충돌 방지용 유틸의 마지막 단계에 사용된다. 원래는 모드 오거나이저처럼 모드 매니저 프로그램으로 만들어져 세이브 파일 관리, INI(게임 세팅 설정 파일) 등 자잘한 기능이 많이 들어가 있으나 유저들은 플러그인 통합 기능만 사용한다. 이 모드 또한 오블리비언 시절부터 나왔던 툴이다. 여담이지만 개발 언어가 Python이다.

5.3. Mator Smash (LE, SE)


롸이 배쉬와 비슷한 플러그인 통합 툴. 스페셜 에디션의 경우 업데이트를 추가로 설치해야 한다고 한다. 롸이 배쉬보다 좀 더 관련 태그들이 세분화되어 있어 통합 작업이 편하다고 한다. 다만 스페셜 에디션에 추가된 ESL도 지원하고 255개 이상 플러그인을 불러올 수 있는 롸이 배쉬와 달리, 레전더리 에디션때 만들어진 툴이라 ESM과 ESL만 지원하고 254개 이하 플러그인만 불러와야 한다.[2] 때문인지 국내에서 인지도는 롸이 배쉬보다 못해 관련 사용법이나 정보도 별로 없어 사용하기가 힘들다.
  • 매이터 스매쉬 사용 방법을 잘 아는 분이 계시다면 내용을 보완해 주시기 바랍니다. 혹은 업데이트로 ESL 포함 2000개 이상 플러그인을 불러올 수 있도록 개선되었다면 이 내용을 수정 바랍니다.

5.4. Merge Plugin (LE, SE)


esp 파일들을 합쳐주는 유틸. esl 포멧 추가로 4천여개 파일을 추가로 이용할 수 있게 되었지만, 여전히 스카이림의 esp 파일 개수는 255개로 제한되어 있다. Merge Plugin은 이 esp 파일을 합쳐 esp가 포함된 다른 모드를 더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헤비 모더들에게는 거의 필수 유틸이다.
주로 의상 모드나 지형 변경 모드가 합쳐도 탈이 별로 없다. 반면 스크립트를 사용하는 대형 모드나 팔로워 관리 모드 같은 것들은 합치면 오류가 나니 합치면 안된다.
기존에는 TES5Edit의 애드온이였으나, 스탠드 얼론으로 독립하고 폴아웃 4와 스페셜 에디션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다만 여전히 TES5Edit를 쓰는게 편하다는 평이 많다.

5.5. LOOT (LE, SE)


원본 모드인 BOSS 제작자들이 BOSS 3번째 버전부터 LOOT(Load Order Optimizing Tool)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 다운로드 페이지의 설명에 따르면 BOSS의 정신적 후속작을 자처하고 있다. 원래는 BOSS v3의 베타버전이었으나, 구동 방식이 기존과는 너무 달라서 그냥 별개의 소프트웨어로 만들기로 했다고. BOSS v2는 별도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LOOT를 사용하기 영 꺼려지는 사람들은 쓰던대로 BOSS를 사용해도 된다.
BOSS와의 가장 큰 차이점이라면, LOOT는 자체 알고리즘에 따라 플러그인 하나 하나를 정말로 분석해서 배치한다. 그 덕에 정렬 시간이 기존의 BOSS보다 좀 더 걸릴 수 있지만, BOSS 때 처럼 인식이 안 되는 플러그인 같은 것들은 없어졌다. 인터페이스도 일신해서 BOSS보다는 사용하기 편리해졌다. GitHub를 통해 타국어 번역도 받고 있다. 번역하고 싶은 사람들은 ReadMe에서 Translating LOOT 단락을 참고하자.

다만 알고리즘 분석에 의해 배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내용물이 별거 없다 싶으면 죄다 위로 올려버리는 문제가 있다. 때문에 영어권에서 제작되지 않은 모드들은 되려 배열이 엉망이 되어버린다. 유저가 어느정도 자신이 설치한 모드와 적절한 배치 순서를 기억하고 수작업으로 배열하는 것만 못하다.
Mod Organizer에는 LOOT의 라이트 버전이 기본으로 내장되어 있다. 우측에서 Plugins 탭으로 들어가서 Sort를 눌러주면 자동으로 LOOT가 실행된다. 웬만하면 누르지 말자. 차라리 수동으로 맞추는게 훨씬 낫다. 제대로 기능을 활용하고 싶다면 따로 관련파일을 다운받아야 한다.

6. 뼈대 및 모션



6.1. Fores New Idles in Skyrim (FNIS) (LE, SE)


모션을 추가해주는 모드 간의 충돌을 방지해주고 바닐라에 없는 모션을 추가해주는 모드의 모션들을 스카이림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모드다. 모든 포즈 모드들의 선행이 되며 모션 관련 모드나 킬무브 모드들도 필수로 요구하는 모드이다. 스카이림의 모딩툴은 기본적으로 '''새로운 모션을 넣을 수가 없다'''. 따라서 이 모드가 나오기전엔 기존 모션을 대체하는 식으로만 다른 모션을 넣는게 가능했었다. 단점이라면 원래 안되는걸 되게 하다 보니 일반적인 모드와 근본이 달라서 약간 귀찮은 일이 생길 수 있다.
간략하게 설치법을 소개하자면 다음과 같다.
* 넥서스 모드에서 첫번째 파일을 다운받는다.
* 먼저 첫번째 파일의 압축을 풀고 여타 모드들처럼 DATA 폴더에 덮어씌운다. 물론 모드 매니저을 써서 적용해도 상관은 없다.
* DATA → tools → GenerateFNIS_For_Users → GenerateFNISForUsers.exe를 실행한다.
* FNIS Behavior 업데이트 버튼을 클릭한다.

이후 모션 관련 모드를 설치할 때마다 한 번쯤은 꼭 다시 GenerateFNISForUsers.exe를 실행하여 Update FNIS Behavior 버튼 눌러줘야만 한다. 그래야 제대로 모드들이 적용된다.
스카이림 구버젼을 쓰다가 1.8 이상으로 업데이트 했을 경우 꼭 FNIS 깔끔히 제거한 뒤에 최신 버젼으로 다시 설치해줘야 한다. 그러지 않을 경우, 전투 모션에서 문제가 생긴다.[3]
단순히 갖다 붙이거나 모드 매니저로 적용하면 끝나는 여타 모드와는 다르게 설치법이 조금 독특해 검색 창에다가 FNIS를 치면 FNIS 오류! 라든가 적용이 안돼요! 라든가 캐릭터의 자세가 막대기처럼 뻣뻣해서 움직이지 않아요! 라든가 하는 일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그러나 정작 조금 독특하다고 해도 다른 모드들에 비해 마지막 단계가 하나 더 추가된 것 뿐인데 이 부분은 디스크립션이나 배포되는 메뉴얼에서도 필히 강조하고 있는 부분이다. 그리 어렵지 않은 영어이니 신경써보자.
모르겠더라도, 혹시 당신의 캐릭터가 차렷 자세로 움직인다면 그냥 일단 한 번 FNIS를 돌려보는 것이 좋다. 보통, 모션 문제로 에러나면 인물들이 죄다 차렷자세로 움직이는 사태가 벌어진다.
다른 오류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데, 너무 많은 모션을 추가한 상태에서, NPC들이 존재하는 구역에서 저장한 세이브 파일을 불러오면 로딩 중에 CTD를 일으키는 현상이다, 근본적인 해결은 추가된 모션을 적게하는 것이지만. 임시적인 해결책으로 NPC가 아예 없는 공간(바닐라의 콘솔명령으로만 갈수있는 Editor Smoke Test Cell(Qasmoke) 같은 곳이나, 1인만 들어갈수 있는 이동형 집에서 주인공 혼자만 있는 상태로 저장하면되고, 게임을 하려면 주인공 혼자만 있는 상태로 저장된 파일을 불러오고 다시 일반 지역으로 들어가면 문제없이 불러오기가 가능하다.
7.51 버전의 경우 한국어 번역에 문제가 있는데, 내가 선택한 패치와 실제 실행되는 패치가 다르다고 한다. 이를 수정하는 방법은 다음 글 참고.#
2020년 3월을 기준으로 FNIS 제작자가 나이 문제(69세)[4]로 은퇴를 하게 됨으로서 업데이트는 넥서스에서 관리할 예정이다.

6.1.1. FNIS PCEA (LE, SE)


레전더리 에디션
스페셜 에디션
PCEA는 Player Character Exclusive Animations의 약자로, 주인공 캐릭터에게만 별도의 모션을 적용할 수 있게 해주는 모드다.

6.2. Nemesis Unlimited Behavior Engine (LE, SE)




Github 페이지
Ultimate Dodge 모드 제작자가 만든 모션 통합툴. Ultimate Dodge 모드가 FNIS와 호환이 되지 않아 사용자 확보에 실패하자 이를 만회할 목적으로 만든 모드이다. 여담으로 네메시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복수를 관장하는 여신이다.[5]
사용방법은 FNIS와 비슷하다. 모드 오거나이저로 설치하고, 오른쪽 유틸리티 목록에 등록한 후, 실행해 호환시키길 원하는 모드를 선택한 후 네메시스를 돌려준다. Combat Gameplay Overhaul, 360 Movement, Ultimate Dodge Mod 등을 적용시키는 방법은 이 영상목록을 확인하라.
아직은 외국어나 UTF-8 지원이 미흡하다. 폴더명에 한글이 포함되지 않게 없애고 시스템 로케일을 영어로 바꿔 컴퓨터를 재부팅한 뒤 사용해야 오류 없이 작동한다고 한다.
FNIS와 달리 몇몇 모드는 호환되지 않으며, 모션 갯수 제한도 현재는 FNIS보다 적다고 한다. 그래서 모드 오거나이저를 사용하는 유저의 경우 FNIS 한번 돌리고 오버라이트 폴더에 생성된 파일들 따로 모드를 생성해 빼고, 다시 네메시스를 돌리고 오버라이트 폴더에 생성된 파일을 따로 모드 생성해 빼는 식으로 적용해 사용한다고 한다. (자세한 방법을 아시는 분 내용 추가바랍니다.) 아직까진 상당히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말이다. FNIS 제작자가 은퇴했고 네메시스 기반 모드가 많이 나오는 상황이라 향후 네메시스가 모션 통합툴의 표준이 될 것으로 보이나, 당분간은 이 언어와 모드 호환 문제 때문에 그대로 FNIS를 쓰는 사람이 많을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왼쪽 목록을 우클릭한 뒤 '모든 모드 > 빈 모드 생성'을 눌러 FNIS Output이란 이름으로 모드 폴더를 만들고, 모드 오거나이저에서 Ctrl키+E키를 눌러 뜨는 창에서 FNIS를 선택해 '새 파일을 overwrite 대신 모드 폴더에 생성'을 선택한 뒤 만들어둔 FNIS Output 모드 폴더를 선택하고 확인을 누르면, 이후 따로 FNIS를 돌릴 따마다 오버라이트 폴더에 생성된 파일을 옮겨줄 필요 없이 자동으로 모드 오거나이저가 FNIS Output 모드 폴더에 생성된 파일을 넣어준다. 같은 방식으로 네메시스도 Nemesis Output 모드 폴더에 생성된 파일이 자동으로 들어가게 만들 수 있다.

6.2.1. Nemesis PCEA (LE, SE)


레전더리 에디션
스페셜 에디션
FNIS PCEA의 네메시스판. 주인공 캐릭터에게만 별도의 모션을 적용할 수 있게 해주는 모드다.

6.3. Dynamic Animation Replacer (LE, SE)


각 NPC별로 모션을 별도로 지정해 줄수 있는 모드. 선행으로 Address Library for SKSE Plugins이 필요하다.

6.4. Nifskope (LE, SE)


게임브리오 전용 그래픽 포멧인 nif 확장자 파일들을 열어보고 간단하게나마 수정할 수 있는 프로그램. nif 파일을 볼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레전더리 에디션이나 스페셜 에디션 따로 버전이 나뉘어 있지 않다. 노말맵 등 기초적인 그래픽 파일 구조에 대한 정보는 텍스쳐 리터칭을 위한 스카이림 텍스쳐 & 쉐이더 세팅 가이드를 참고하기 바란다.

7. 사운드



7.1. Yakitori Audio Converter (LE, SE)


스카이림의 사운드 관련 파일 포맷으로는 fuz 파일과 xwm 파일이 있다. fuz는 음성, xwm은 음향 이펙트 파일 포맷이라 생각하면 된다. 이 도구는 wav 파일등 우리가 보통 쓰는 포맷의 파일을 fuz나 xwm으로 변환할 수 있게 해준다.

7.2. Lazy Voice Finder (LE, SE)


대사 텍스트로 원하는 fuz 파일을 찾을 수 있는 모드이다. 보통 스카이림 기존 대사를 짜깁기해 새 대사를 만들때 쓰인다. 레전더리 에디션용으로 나왔지만 fuz 파일은 스페셜 에디션에서도 쓰기 때문에 그대로 쓸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7.3. VA Synth (LE, SE)



신스라는 이름처럼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해 원하는 음성 대사를 합성할 수 있는 혁신적인 도구다. 모드 이름은 '''V'''oice '''A'''cting '''Synth'''esis에서 따온 듯하다. 말 그대로 목소리 연기 합성 도구라는 뜻. 통칭 VASynt또는 xVASynth라고 부르며 지원하는 게임에 따라 MWVASynth(모로윈드), OBVASynth(오블리비언), SKVASynth(스카이림), F3VASynth(폴아웃 3), NVVASynth(폴아웃 뉴 베가스), F4VASynth(폴아웃 4) 등이 있다. 향후 스타필드를 지원하는 SFVASynth도 나올 예정이라고 한다.
당연히 나오자마자 스카이림 모딩계에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모더들 뿐만 아니라 일반 유저들도 이게 정말 가능한 거냐고 놀라워했다. 당장 소개 페이지에서 모더가 밝힌 이 도구의 활용도만 해도 다음과 같이 엄청나다.
  • 새로운 퀘스트 모드를 위한 음성 대사 만들기
  • 머시니마 만들기
  • 커스텀 팔로워 모드에 목소리를 추가하거나 기존 팔로워에 더 많은 대사 추가비용을
  • 기존 퀘스트의 스토리 / 대화 선택지 확장 / 편집 / 수정
  • 다른 게임 음성팩을 추가하여 게임 내 음성에 다양성 추가 (예 : 스카아림 음성 목록에 폴아웃 / 오블리비언 음성 추가)
  • 스크립트에서 찾을 수 없는 음성 어휘 새로 추가 (오디오를 자르고 붙이는 기존 방식으로는 쉽게 할 수 없는 일임)
  • 폴아웃 4) 코즈워스 등이 불러주는 이름 목록에 새 플레이어 이름 추가
  • 대화에 더 많은 로어 정보 / 설명을 추가하여 바닐라 퀘스트 향상
  • 다른 언어 음성을 사용하는 모드에 대한 영어 번역 만들기
  • 모로윈드) 성우 녹음이 없는 대사에 음성 추가[6]
  • 캐릭터가 사용하는 음성 변경 (다른 음성이 더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경우)
  • 아마 더 ...
공개된 영상을 보면 여성 음성의 경우 정말 성우가 더빙한 것처럼 꽤 자연스러운 발음과 억양을 보여준다. 그동안 퀘스트 모드를 만들려는 모더들은 음성 없이 대사만 나오게 만들거나, 기존 음성을 짜깁기해 새 대사를 만들어 내거나, 별도로 엄청난 비용을 들여 아마추어 성우를 고용해 녹음해야 했다. 때문에 풀 더빙된 모드는 많지 않았으며 대부분 엘더스크롤 3: 모로윈드처럼 일부 음성만 녹음하거나 아예 무녹음으로 대사만 나오는 경우가 많았다. 이제 VA Synth가 나오면서 그런 무음성 모드들에 음성을 추가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다만 남성 음성과 데이드라 같이 변조된 음성은 아직 약간 기계음이 섞인 듯이 들린다. 그리고 영어 외의 언어도 지원가능할지는 불분명하다.[7]
다만 법적인 문제가 없는지는 아직 불확실하다. 예를 들면 이런 질문을 할 수 있다. 베데스다 쪽에서 성우를 고용해 녹음한 저작물을 바탕으로 인공지능으로 새 음성대사를 합성한다면 누가 누군가에게 추가 비용을 지불해야 할까? 지불해야 한다면 누가 누구에게 추가비용을 지불해야 할까? 모더가 베데스다에게? 모더가 성우에게? 베데스다가 성우에게? 사실 베데스다 쪽에서는 성우에게 특정 대사를 녹음해달라 의뢰한 것이고, 그 녹음분 외의 다른 내용을 임의로 생성하거나 추가할 수 있다는 조항은 넣지 않았을 가능성이 크다. 이렇게 기존 성우 목소리를 인공지능으로 분석해 합성할 수 있을 거라고는 과거엔 생각조자 못했을 테니까. 성우 입장에서는 자기 목소리 데이터를 허락없이 추가 사용했으면 그와 관련된 추가 비용을 지불하라고 요구할 지도 모르는 일이다. 이 부분은 베데스다 쪽에서 정리해줄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8. 최적화 및 포팅



8.1. Optimizer Textures (LE, SE)


이 모드는 게임 실행시 같이 작동하는 프로그램이 아니다. 게임에서 모든 텍스처를 2048 픽셀 크기로 써버리면 당연히 메모리와 그래픽카드에 부담이 가게 된다. 이 옵티마이저는 원하는 텍스처를 자동으로 1024, 512 해상도로 줄여 용량은 줄이고 성능은 높이는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당연히 해상도가 줄어들면 오브젝트가 찰흙처럼 변하기 때문에 캐릭터는 고해상도로 놔두고 눈에 안띄는 땅 텍스처 같은 것만 저해상도로 낮추는게 좋다. 스페셜 에디션에도 되긴 하지만 스페셜 에디션에서는 dds 파일 압축 형식이 bc5가 아니라 bc7이라서 상대적으로 텍스처 파일의 최적화가 안될 수 있다고 한다.

8.2. SSE NIF Optimizer (SE)


스카이림의 메쉬, 뼈대 파일 포멧인 NIF 파일을 레전더리 에디션에서 스페셜 에디션으로 포팅해주는 프로그램이다. 레전더리 에디션의 파일들이 스페셜 에디션에서 작동하도록 조정해준다.

8.3. Cathedral Assets Optimizer (SE)


스카이림의 BSA 파일, 메쉬 파일, 텍스쳐 파일, 애니메이션 파일을 레전더리 에디션에서 스페셜 에디션으로 포팅해주는 프로그램이다. 과거에는 SSE Assets Optimizer라는 이름을 달고 있었는데 업데이트 되고 나서 Cathedral Assets Optimizer로 이름이 바뀌었다.
참고로 각 파일 포멧 별로 포팅 가능 여부를 살펴 보면, 텍스처나 사운드 파일은 그냥 레전더리 에디션 것을 그대로 써도 되는 경우가 많고, 애니메이션 파일은 간단한 bat 파일로 쉽게 포팅이 된다. 간단한 esp 파일이나 스크립트 파일 한두개 달린 모드도 그냥 Creation Kit 으로 한번 열었다가 저장해주면 잘 작동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 메쉬 파일, 특히 npc 얼굴 메쉬는 충돌이 좀 있는 편이며, 복잡한 스크립트 파일이나 SKSE 관련 dll 파일은 포팅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8.4. Animation.hkx conversion for Skyrim Special Edition (SE)


레전더리 에디션 애니메이션 파일을 스페셜 에디션으로 포팅할 때 쓰였다. Creation Kit SE 버전이 필요하다. Creation Kit 설치가 다 되었으면, Creation Kit 폴더에 있는 HavokBehaviorPostProcess.exe 파일과 위의 링크에 있는 converttoskyrimSE.bat 파일을 묶어 포팅하기 원하는 파일이 있는 폴더에 넣고 bat 파일을 돌려주면 몇초도 안돼 전환이 끝난다. Cathedral Assets Optimizer가 나오고 나서는 잘 쓰이진 않는다.

9. 기타 프로그램



9.1. Creation Kit (LE, SE)


Creation Kit은 베데스다 공식 배포 게임 제작 툴이다. 스카이림을 만들 때 사용된 제작 툴과 거의 같다. 모드를 만들려면 거의 필수적으로 다뤄야 하는 툴이다. 모드를 만들지 않더라도 NPC나 아이템 수치 조정을 할 때 쓰기도 한다.[8]
스페셜 에디션 버전의 경우 설치할 때 베데스다넷을 설치하고 베데스다넷 계정을 만들어 로그인 할 것을 요구하는 점이 흠이다. 그리고 모드 포팅할 때도 온갖 오류창이 계속 뜨는 단점이 있다.

9.2. xTranslator (LE, SE)


한국어 번역에 꼭 필요한 프로그램이다. xTranslator 문서 참고.

9.3. ENB Organizer (LE, SE)


말그대로 ENB를 관리해주는 관리 프로그램이다. 특히 설치하고나면 삭제나 변경하기 어려운 ENB를 쉽게 삭제 혹은 변경해줄수있다.

9.4. BOSS


LOOT가 나오고 시간이 지나면서 BOSS는 사장된 모드가 됐다. LOOT를 쓰길 바란다.
BOSS란 간단히 말해서 모드를 불러오는 순서를 정렬해주는 프로그램이다. 오블리비언 때부터 사랑받은 프로그램으로, 사람들의 참여로 웹 상에 만들어진 모드 정렬 순서를 적용하여 사용자의 모드 로드 순서를 최적화해주는 물건. '킬무브 100%를 깔았는데 킬무브가 안터진다'/'동료모드를 깔았는데 실행이 안되고 튕긴다'같이 모드 정렬이 문제를 일으킬 경우에, BOSS로 모드 정렬 순서를 만져주면 대부분의 경우 해결된다. 단, 마이너하거나 특정 사이트에서만 배포되는 모드의 경우에는 올라가있지 않을 수 있다.[9] 이때는 수동으로 만져주거나, User Rule을 추가해주면 해결된다.
한편, 순서를 체크하는 것과 별개로 중복된 오브젝트를 검색하는 능력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모드 제작자가 게임 본체 모듈의 물건을 가져다 썼지만 작업하다 실수로 이걸 제거하는 것을 잊었을 경우, 중복된 코드가 들어가 추후에 다른 모드에 영향을 끼치거나 게임이 충돌하는 문제가 생기는데, 이러한 상황이 일어날 것임을 경고하는 역할도 해 준다. 재미있는 사실은 BOSS로 Dawnguard나 Dragonborn DLC의 모듈 파일을 돌려보면 엄청난 숫자의 중복 오브젝트가 검출된다는 것(...). 모드 없이 게임을 돌리면 별 문제 없지만 모드를 사용할 것이라면 필히 이 확장팩들의 모듈 파일을 TES5Edit으로 청소해 주자. 다만, 스팀의 경우, 청소된 모듈 파일을 깨진 것으로 인식하므로 게임 파일 무결성을 사용하지 말자.

9.5. TESVSnip


  • (2017년 1월 현재 파일 잠김)
이 모드는 오래되어 더이상 사용되지 않는 모드이다.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하자. 그러나 종종 TES5edit 등과 혼동하는 사람이 있어 관련 기록을 보존 처리했다.
TES5edit 같은 모드파일 편집용 툴. 굉장히 간단한 툴이지만 기능이 강력하고 로딩이 매우 빨라서 이름 변경, 수치 변경, 경로 변경이나 NPC 성형정보 복사 등 쉽고 간단한 에디트를 하기에 좋았다. CK툴이나 TESV에딧이 모드파일을 열 때 마스터 파일을 함께 열어보는데 비해 이 물건은 그냥 에디트하고자 하는 모드파일만을 간단하게 열어서 보여준다. 덕분에 로딩이 거의 없다시피하고 CK툴에서 따라오는 귀찮은 에러메세지들을 스킵할 수 있었다.
지금은 TES5edit 가 나오면서 사장되었다. 그 이유는 치명적인 단점이 많았기 때문인데, 파일을 불러올 때 마스터파일을 함께 열지 않는다는 것 때문에 모드 파일 안에 존재하는 수많은 Form 넘버들이 무엇을 뜻하는 것인지 이것만으로는 도저히 알 수 없는 경우가 대다수인데다가, 모든 작업을 아무런 경고나 디버그 없이 사용자의 매뉴얼대로 진행해버리므로 마스터 파일과의 연계가 필수인 모드들은 에디트에 엄청난 위험부담이 생기는 점이 대표적인 문제점이었다. 즉, 스크립트 등을 이것으로 에디트하는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TESV넥서스에서도 이런 위험성 때문에 지탄받아 파일이 내려간 상태. 구글로 검색하면 쉽게 찾을 수는 있다.


[1] 정확히 말하면 dll 파일이 포함되어 있고 실행파일 내용을 참조하는 스크립트 함수를 사용하는 모드.[2] 255번째 플러그인은 스매시 패치 통합 플러그인 자리라 비워둬야 한다.[3] 스펠 모션은 문제없다.[4] 넥서스 최초 등록이 2012년이다. 61세라는 적지 않은 나이에 많은 사람들이 필수로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만든 것.[5] 레딧에 따르면 FNIS 제작자 Fore와 The Ultimate Dodge Mod 모더 shikyokira 사이에 갈등이 있었다고 한다.# # [6] 모로윈드는 일부 대사에만 음성이 있고 대부분의 대사는 텍스트만 나온다.[7] 다른 언어 음성을 사용하는 모드에 대한 영어 번역 만들기가 가능하다는 걸 보면 일단 영어만 되는 듯하다.[8] 다만 이 경우 TES5EDIT를 쓰는게 더 편하다.[9] 대표적으로 한국어 번역 패치는 가장 밑으로 보내기 때문에 위로 올려줘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