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감
1. 靈感
靈感
- 신령스러운 예감이나 느낌. 영혼에 대한 감각이나 초자연적인 감각을 뜻한다.
- 갑자기 떠오른 뭔가 기발한 생각. 뭔가를 창작하는 계기로 이어진다. 밤에 떠오른 영감은 손발을 오그라들게 만들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에디슨 曰, 천재는 1%의 영감과 99%의 노력으로 이루어진다고 한다. 다만 영감이 없으면 그냥 멍청하고 부지런한 사람만이 되니 유의할 것.
1.1. 세타 히나코의 만화
영감! 문서 참조.
2. 令監
나이 많은 남자를 부르는 말. 혹은 나이 든 여성이 자신의 남편을 부르는 말이다. 1번과 달리 '영'을 좀 길게 발음하는 것이 좋다.[1]
令과 監은 명령하다, 살피다 라는 뜻으로 오래 전부터 관직명에 자주 들어가는 한자였기 때문에 예전부터 고관을 칭할 때 쓰인 것으로 추측된다. "영감"이라는 말로 확실히 굳어진 것은 조선시대인데, 종2품/정3품 당상관을 영감이라 불렀다.[2]
참고로 상감(上監) 마마 > 대감(大監) 마님 > 영감(令監) 마님 > 현감(縣監) 나리 순이다.[3]
이런 관습이 일제강점기에도 이어져 법관이나 고위 공무원들을 영감이라 부르던 것이 점차 명망 있는 인사를 가리키는 것으로 변했다. 또한 조선에서는 나이 많은 노인에게는 허함(虛銜)을 주었는데, 쉽게 말해 명예직을 주고, 녹봉 형태로 생계비를 나라에서 지원해 준 것. 환갑이 넘어갈 무렵이면 '첨지'라고 하여 종9품에 해당하는 명예관직을 주었고 70살쯤 넘어가면 정3품 당상관에 해당하는 품계를 주었다고 한다. 백정을 비롯한 천민의 경우에도 규정상으로는 신분을 올려주고 나라에서 녹봉을 주었다. 장수한 노인이 많다는 건 그만큼 임금이 정치를 잘 했기 때문이라는 인식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렇게 나이 많은 남자에 대한 존칭으로도 쓰이다가, 점차 격의 없는 호칭으로 변하여 요즘과 같이 쓰이게 되었다. 지배계급에 대한 호칭이 일반인에 대한 격의 없는 호칭으로 변했다는 점이 양반이나 마누라와 비슷하다.
판사나 검사의 경우, 과거에는 공공연하게 밑에서 일하는 형사들에게 영감님이라고 불렸으나,[4] 법원에서 공식적으로 쓰지 말라는 권고가 내려왔다고 한다. 지금은 뒷세계에서 특정 검사를 높여부르는 은어 비슷한 정도로 남아있다.
군대에서는 아직도 장성급 장교를 보좌하는 당번병이나 운전병들이 자기가 보좌하는 장성들을 가리키는 은어로 자주 쓴다.
한국 사극 중에서 일부는 해괴하게도 동일 관직에 있는 동일인물에게도 옷을 뭘로 입느냐로 호칭이 달라지는데 관복을 입으면 영감, 갑옷을 입으면 장군이다.
국회에 있는 각 국회의원사무실의 보좌관, 비서들이 자기가 수행하는 국회의원을 영감님이라고 부른다.
미국 남부의 몇몇 주에도 대령을 뜻하는 Colonel이라는 단어가 우리말 '영감'의 변천사와 비슷하게 명예관직처럼 쓰이는 경우가 있다.
2.1. 영감님들
[1] 단, 표준국어대사전에는 1, 2번 항목의 '영감' 모두 짧게 발음한다.[2] 문관의 경우 통정대부 이상, 무관의 경우 절충장군 이상을 말한다. 오늘날로 따지면 차관/1~2급이니 상당한 고위 관료다. 복식 및 퇴직 그리고 유배 등과 관련되어서도 엄청난 특권이 주어졌다.[3] 정3품 상계 이상의 당상관은 마님이라 불렸으며, 정3품 하계 이하의 당하관은 나으리(進賜)라고 불렸다. 이 당시만 해도 음독과 훈독이 나뉘어 있었는데, 나아갈 진(進)에 줄 사(賜)를 써서 나으리 라고 훈독했다.[4] 심지어 사법시험을 20살에 패스해서 사법연수원을 마치면 20대 초반이라도 영감님 소리를 들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