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구와 땡칠이 시리즈

 

1. 개요
2. 시리즈


1. 개요


[image]
남기남 감독, 심형래 주연의 개그 영화 시리즈. 대원동화 제작
당시 최고의 개그아이콘이었던 영구 심형래가 출연한 코미디 영화로, 어린이들 사이에서 엄청난 인기를 누렸다. 비유적인 게 아니라 '''진짜로'''. 당시 어린이회관 같은 곳을 가면 반드시 '영구와 땡칠이'가 걸려있었고 어린이 10명중 8명쯤은 이 영화를 봤다고 해도 무방할 정도. 주인공 영구(심형래)와 땡칠이가 주인공이다.
영화 관계자들은 그냥 어린이 영화로 짚고 무시했는지 공식적인 집계는 없고 영화월간지 스크린 1990년 1월호에선 서울 43만 관객으로 1989년 한국영화 흥행 1위로 집계했으며 남기남 감독이 호러존이란 사이트 인터뷰에선 당시 전국 180만 관객이 관람했다고 그 수익을 받았다고 한다.[1] 같은 시기 개봉했던 '인디아나 존스와 최후의 성전'을 눌렀다는 소문도 있다.[2]
영상미나 스토리는 그냥 그런 전형적인 남기남표 B급 영화지만 주연 심형래의 혼신을 담은 개그 연기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한국에서 만화, 애니, 게임 등의 사업을 하고있는 대원미디어의 경우 거의 파산직전이던 상황에서[3] 이 영화의 흥행 덕분에 기적적으로 살아났고, 영구와 땡칠이로 번돈으로 출판사업을 시작하여 코믹 챔프의 창간과 슬램덩크의 대흥행으로 돈을 쓸어다모으면서 만화계에 엄청난 영향을 끼치는 업체이자 중견업체로 성장시켰다. 그래서 대원의 사장님은 지금도 남기남이나 심형래에게 진심으로 고마워하고 있다고 한다.
여담으로 땡칠이는 심형래가 키웠던 다.

2. 시리즈


총 4편까지 나왔는데 유독 3편 영구람보만 감독이 남기남이 아니라 김주희.[4] 남기남이 아니라는 것에다가 왜 하필 '''월남전'''을 주제로 한 스토리에 암울한 엔딩까지 겹쳐서 가장 나쁜 평을 받는 작품.(감독 관련 문제는 해당 항목 참조.)
현재는 이 시리즈는 대원에서 DVD '대원 클래식' 시리즈로 판매하고 있다. 괜히 대원이 이러는 게 아니다. 지금은 대부분 품절됐지만.
참고로 위 4편 이외에도 영구와 황금박쥐 (1991), 영구와 드라큘라 등 영구가 등장하는 영화들이 무더기로 쏟아져 나왔지만 대원에서 제작하지 않은 것들도 많아 같은 시리즈로 분류하기는 애매하다. 일단 영구와 땡칠이라는 타이틀을 단 시리즈는 위 4편이 전부.[5] 심형래가 가족오락관에 출연했을 때 '퀴즈 오인 오답'에서 '제목이 열 글자 이상인 영화'를 주제로 한 답을 낼 때 영구와 땡칠이 시리즈 제목을 하나씩 댔다.[6]


[1] 사실 당시에는 전산화가 이루워지지 않았던 시절이었기 때문에 서울관객수만 집계되었고, 전국관객수는 전체 영화관객수 통계가 나오면 해당 통계를 바탕으로 추정이나 하는 수준이었다. 게다가 영구땡칠이의 경우 공식적으로 영화관에서 개봉한 것보다는 어린이회관등을 중심으로 상영되었다는 점도 감안해야 한다. 즉 영화 관꼐자들이 어린이 영화라고 무시해서 집계하지 않은 것이 아니라 영화 관곅 집계 시스템 자체가 미비했 당시 사정상 신뢰할 수 있는 공식 집계 자체가 나오기 쉽지 않았고, 특히 영구와 땡칠이 시리즈의 경우 상영 형태상 그 당시 영화 치고도 특히 총 관객 집계가 더 어려운 상황이었음을 감안해야 한다는 것. 그리고 집계를 한다 치더라도 극장에서 본 관객 1인과 어린이회관에서 본 관객 1인을 과연 똑같이 관객 1명으로 집계하는게 적절한지도 따져봐야 한다. 이 영화의 문화사적 의미와 파급력에 대해 평가하기 위해서라면 당당히 1:1로 계산해도 되겠지만, 영화의 추정 수익을 따지려는 게 목적이면 저 둘은 도저히 동등한 관객 1인이 아니다.[2] 실제로 네이버 무비를 보면 당시 이 영화를 재미있게 봤던 어린이들은 어른이 되어 이 영화에 만점을 주고 있고, '''점수 너무 높다.'''라는 이유로 장난으로 1점만 주는 사람이 있긴 하지만 대체적으로 이 영화를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이 별로 없다.[3] 사실 이때 대원이 국산TV애니메이션 제작외주를 많이 따내서 엄청나게 흥행시키는데는 성공했지만(떠돌이 까치, 달려라 호돌이, 달려라 하니, 천방지축 하니, 영심이가 대원이 외주맡은 만화영화다.) 3저호황과 민주화가 맞물리던 시절인지라 인건비가 크게 올랐기 때문에 국산 TV애니메이션 외주로 번돈을 까먹을 정도로 해외하청이 줄어들어서로 추정된다(...)[4] 김주희 감독은 영구와 땡칠이 3편 외에도 영구가 나오는 여로, 가보면 알꺼야 - 영구와 땡분이라는 영화를 찍기도 했다.[5] 참고로 영구와 황금박쥐는 하나필름이라는 곳에서 제작했으며 영구와 흡혈귀 드라큐라는 반달가면 시리즈의 제작사인 범 영화 제작소에서 제작했다.[6] '영구와 땡칠이'는 여섯 글자이므로 틀리고 '영구와 땡칠이 4 홍콩할매귀신'은 열 세 글자이니 맞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