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랄로피테쿠스 세디바

 


[image]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세디바'''
'''''Australopithecus sediba''''' Berger, 2010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영장목(Primates)
아목
직비원아목(Haplorrhini)
하목
원숭이하목(Simiiformes)
상과
사람상과(Hominoidea)

사람과(Hominidae)

사람족(Hominini)
아족
사람아족(Hominina)

오스트랄로피테쿠스속(''Australopithecus'')
''''''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세디바'''(''A. sediba'')
[image]
[image]
'''이름'''
학명
Australopithecus sediba
의미
(자연) 유인원
이명
-
의미
-
'''번성'''
시대
신생대 제4기 플라이스토세
기간
약 200만 년 전 ~ 178만 년 전
지역
아프리카 대륙 전역
무대
남아프리카, 동아프리카, 사바나 지대
'''기원'''
발생
남아프리카 일대
발견
2008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매튜 버거
'''특징'''
보행
초창기적 직립 보행
도구
초창기적 석기 도구
언어
미사용
식생
초식 기반 잡식
두뇌
약 400 ~ 750 cc[1]
1. 개요
2. 화석


1. 개요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세디바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속(''Australopithecus genus'')에 속하는 멸종된 화석 인류의 한 이다.
세디바(''sediba'')라는 종명은 소토어로 "(자연) 샘"(natural spring or well)이라는 으로, 학명은 (자연) 유인원(원숭이)라는 의미이다. 이명은 없다.
남아프리카 일대에서 발생하여 신생대 제4기 플라이스토세인 약 200만 년 전에서 178만 년 전까지 아프리카 대륙 전역에서 주로 남아프리카, 동아프리카, 사바나 지대무대 삼아 살았다.

2. 화석


은 약 2백만 년 전의 화석 유골들 기반으로, 플라이스토세 초기에 살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2008년 8월 15일, 고인류학자인 리 버거(Lee Berger)의 아들인 매튜 버거(Matthew Berger)에 의해 약 195만 년 전 ~ 178만 년 전인 플라이스토세의 것으로 추정되는 이 종의 화석이 처음으로 발견되었다.
2010년 4월 8일, 결국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학계에 보고서를 새로 발표했다.
[1] 보통 500 cc 이하였으며, 고릴라보다 약 100 cc 정도 크지만 현생인류보다는 약 1000 cc 정도 작아, 3분의 1 크기도 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