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버스 66-4
1. 노선 정보
2. 개요
경남여객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 노선. 에버랜드에서 용인시내와 동백지구를 거쳐 수원역까지 운행한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66번의 지선노선으로 어정방향으로 빠지던 노선이었다. 지금은 상전벽해가 된 동백지구-어정 일대는 당시에는 완전 촌이었기 때문에 많은 버스가 다니던 노선은 아니었다. 그러다가 동백지구가 개발되면서 노선은 완전히 달라지게 되었다. 그리고 어정을 경유했으며 장안문으로 갈라지던 66-1번이 2009년과 폐선되고 이 노선으로 흡수되면서 66-4번의 배차간격이 상당히 줄었다.
- 또한 동백지구에서 출발하여 수원역까지 거의 같은 구간을 운행했던 10-3번이[2] 폐선되면서 66-4번이 동백지구에서 수원으로 가는 유일한 노선이 되었다.
- 2011년 2월부터 2020년 4월 13일까지 에버랜드 5주차장 노선버스터미널까지 운행했었다. 그러다가 2020년 4월 14일에 에버랜드 노선버스터미널이 정문 근처로 이전되면서 그곳으로 연장되었다. 따라서 전대.에버랜드역 바로 앞까지는 가지 않는다. [3]
4. 특징
- 동백지구 자체가 수지 일대와는 달리 설계가 잘 되어 있어서 이 노선 하나로도 모두 커버가 가능하다. 그래서 경남여객이 통합을 선택한 듯.
- 예전 동백지구가 개발되기 전에는 66번 본선과 소요시간이 별로 차이나지 않았으나 동백지구가 개발되면서 소요시간 차이가 어마어마하게 난다. 처인구 쪽에서 대충 보고 66번인 줄 착각해 탔다가 낭패를 보는 사람들도 종종 있으며, 거기에 동백지구에서 승하차량이 많아 더 오래걸리기 때문에 수원에서 에버랜드 간다고 하면 66번을 타라고 유도한다.
- 66번과는 에버랜드~삼가역, 강남대역~수원역 구간이 동일하다.[4]
- 에버랜드에서 동백을 갈 때는 670번을 타는 것을 추천한다. 670번은 에버랜드-마성을 거쳐 바로 동백으로 간다.[5] 다만, 용인시내에서 동백으로 갈때는 이 노선이 배차가 좋다.
- 용인시내에서 동백지구로 가는 노선 중 가장 자주 다니는 노선이다. 용인시내에서 동백으로 가는 다른 노선으로는 5번 마을버스, 65번, 68번 시내버스 등이 있다. 66-4번은 이 노선들과 달리 용인행정타운 안과 용인터미널로는 가지 않으며, 배차간격이 상대적으로 짧다.
- 배차간격은 출퇴근은 10분, 평일은 15분으로 되어있지만 더 자주 다닐 때가 많다. 2021년 1월 현재는 코로나 19로 인해 버스 배차간격이 길어져서 경기버스정보에 나와 있는 배차간격과는 다를 수 있다.
- 운행종료 시 에버랜드에서 더 내려가서 처인구 남동에 있는 경남여객 남동공영차고지에서 차량을 주박한다. 첫막차 양방향 출발이다보니 수원역 종착 차량들은 우만동 차고지에서 주박했다가 다음날 새벽 및 아침에 나온다.
- 에버랜드 노선버스터미널 2번 승강장에서 탑승하며, 매표는 따로 하지 않는다. 정문에서 도보로 감성교복, 오렌지주차장 쪽으로 걸어가다 보면 에버랜드 노선버스터미널이 나온다. 2020년 4월 14일 부로 전대.에버랜드역 부근에서 이전되었다.
- 수원역에서 탑승 시, 역사 반대편 로데오거리 입구 쪽 4번 승강장에서 승차한다. (노보텔수원 앞에서는 승차할 수 없다.)
- 거리비례제 적용 노선이므로 현금으로 승차 시 목적지를 말해야 한다.
4.1. 수요
- 용인 경전철과 겹치는 구간이 많지만 수요는 엄청 많다. 동백 구간 및 강남대학교, 아주대학교, 용인대학교, 명지대학교 학생들 외에도 용인 내에 있는 중고등학생들도 많이 탄다.
- 동백 내부에서의 통학 수요는 이 노선 때문에 높지는 않지만, 하교시간에는 터질대로 터져나간다. 810번과 경로가 겹치는데다, 와이파이가 지원이 되기에 게임하는 학생들이 100원 더 내고 이 노선으로 등하교하는 경우가 많다.
4.2. 차량
- 66번의 팬더시티들이 대차 후 이 노선에서 운행 중이다.
- 유로6 대응 뉴 슈퍼 에어로시티 천연가스버스 차량으로만 운행하며, 총 27대 중 20대가 2017년식이다.[6] 물론 4가지 색깔이 들어간 컬러손잡이 옵션이 적용되었다.
5. 연계 철도역
- [image] 수도권 전철 1호선 : 수원역
- [image]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기흥역, 수원역
- [image] 용인 경전철 : 기흥역, 강남대역, 지석역, 어정역, 동백역[성산마을] 초당역, 삼가역, 시청·용인대역, 운동장·송담대역, 고진역, 둔전역, 전대·에버랜드역[7]
- 일반 철도역: 수원역(KTX, ITX-새마을, 새마을호, 무궁화호)
6. 둘러보기
[1] 오전 5시 15분부터 오전 5시 45분 즈음까지 약 13~15분 간격으로 출발한다.[2] 참고로 이 노선은 측면 행선판에 초당역을 기재하고 다녔는데 10-3번이 폐선된 건 2008년, 그리고 초당역을 위시한 용인 경전철 노선은 2005년 착공, 2010년 완공, 2013년 4월(...) 개통된 역이다. 당시는 착공 전~공사 중이었던 시기였는데 행선판에 버젓이 초당역이라고 기재한 것.[3] 대신 포곡농협전대지점에서 내려 조금 걸어가면 전대.에버랜드역을 갈 수 있다.[4] 삼가역~강남대역까지 비교하면 66번은 5정류소 통과하고 가는 반면, 66-4번은 위에서 말한 대로 동백지구를 경유하느라 20개가 넘는 정류소를 통과하고 나서야 강남대역을 간다.[5] 그러나 배차간격이 길기 때문에 670번을 타려면 운행시각표를 숙지하는 편이 좋다.[6] 개선형이 한대도 없다.[성산마을] [7] 전대리/포곡농협전대지점 하차 후 도보 3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