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달문

 

'''수원화성 일주'''
남수문

'''팔달문'''[1][2]

남치
'''종로 종주'''
장안문

종로/화성행궁

'''팔달문'''
[image]
[image]
[image] '''대한민국 보물 제402호'''
'''수원 팔달문'''
水原 八達門


'''소재지'''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팔달로2가 138번지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궁궐
'''수량/면적'''
1동
'''지정연도'''
1964년 9월 3일
'''제작시기'''
조선 정조 20년(1796)
1. 개요
2. 주변 시설
3. 바깥고리
4. 보물 제402호
5. 둘러보기


1. 개요


八達門/Paldal Gate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정조로 780 (팔달로2가) 소재. 1964년 보물 제402호로 지정됐다.
수원화성의 남문. 그래서 이 일대를(팔달로, 교동 등) 칭할 때 '''남문'''이라고도 하고 있는데 정식 명칭은 팔달문이다.[3] 또한 수원성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수원성 역시 수원화성이 정식 명칭이다. 보통 젊은 사람들은 수원 화성이라 그러고, 나이 좀 있으신 분들이 수원성이라고 자주 부른다. 정식 명칭이 따로 있는 성문을 방향의 이름으로 부르는 건(서울 숭례문을 남대문이라 한다던지..) 대단히 흔한 일이다. 간혹 이것이 일제의 잔재라는 주장도 있으나, 사실이 아니다.
조선의 22대 임금인 정조 18년(1794년)에 정조의 부친되는 사도세자의 원을 양주에서 수원으로 이장할때 다른 수원 화성 성곽과 함께 건립되었다. 이름은 수원 서쪽에 위치한 팔달산에서 따 왔다.
문루는 앞면 5칸, 옆면 2칸의 2층 건물이며, 지붕은 앞면에서 볼 때 사다리꼴을 한 우진각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기둥 윗부분에 짠 구조가 기둥 위뿐만 아니라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으로 꾸몄다. 문의 바깥쪽에는 문을 보호하고 방비를 단단히 하기 위해 반원 모양으로 옹성을 쌓았다. 이 옹성은 정조 당시의 것을 1975년 복원 공사 때 고증하여 본래의 모습으로 복원한 것이다.
[image]
원래는 문의 좌우로 성벽이 연결되어 있어 남공심돈과 암문, 그리고 남서/동 적대가 있었지만 도로를 만들면서 헐어버려 지금은 성문만 덩그러니 남아 있다. 수원화성 복원 당시 성곽을 연결 시키지 못한 몇 안 되는 지역. 성곽을 연결하여 완전 복원을 하려면 남문시장(팔달문시장) 일부를 부숴야 한다(...)[4]서쪽의 팔달산을 통해 성곽이 연결된다. 그리고 서장대화서문으로 갈 수 있다.
팔달문 2층 누상에는 경기도 유형 문화재 제69호로 지정된 팔달문 동종(八達門銅鐘)이 달려 있다. 종걸이는 음통이 없는 용두 뿐이고 상대에는 내부에 글씨를 넣은 수십 개의 문양을 두 줄로 나란히 돌렸으며 종신에는 이 종을 주조한 장소와 연대 유래, 주조자들의 명문이 주자 혹은 각자되어 있다. 하대에는 보상당초화문을 양주하여 돌린 고려의 전형적인 양식을 계승한 조선종의 형식을 하고 있다.
또한 팔달문은 도성의 문루처럼 우진각 형태의 지붕과 잡상 장식을 갖춘 문루로서 규모와 형식에서 조선 후기 문루 건축을 대표한다. 또, 발달된 조선 후기의 성문 건축 형태를 고루 갖추고 있는 문화재이다.
그러나 팔달문 덕분에 주변이 너무나 개발이 잘되었는지 사람들이 팔달문 자체를 보러 여기로 오기보다는 대부분 이곳의 주변시설을 목적으로 오는 경우가 많으며, 팔달문을 조금이라도 알고있더라고 그저 '''남문''' 이라는 뜻밖에 모르는 경우가 많을 정도로 팔달문이란 문화재 자체의 인기는 저조한 편이다.
그래도 가끔 대포 카메라로 팔달문을 찍는 사람들이 존재한다. 팔달문의 인기가 없는 게 당연한 것이, 팔달문 주변으로 가는 것조차 힘들고, 출입이 통제되어 있다. [5] 사람들이 들어가거나, 직접 그 문을 이용하거나, 아예 휴식까지 취할 수도 있는 화서문, 장안문, 창룡문과는 대비된다.
또한 2019년 12월 기준 팔달문의 편액[6]이 없는데, 편액의 재복원을 위해서 없애고 흰 바탕에 검은색 글씨를 다시 걸기 위해 철거된 것이다. 2020년 5월 기준, 흰 바탕에 검은색 글씨의 편액이 다시 걸렸다.

2. 주변 시설


수원시/상권에도 관련 내용이 적혀 있다.
팔달문 주변은 수원의 대표적인 구시가지이다. 옛날에는 사람들이 많이 다니는 수원의 중심지라 할 수 있었다. 당시 남문 일대는 수원 근방의 용인시, 안산시, 평택시 등지에서 죄다 몰려와서 지금 수원역에 필적할 만큼 사람이 많았다. 그러나 점차 수원역에 밀리게 되었다. 물론 그렇다고 사람들이 별로 없다는 얘기는 아니고, 수원 각지에서 장보러 많이 온다. 근처에 재래시장으로 팔달문 시장(남문 시장), 지동 시장(못골 시장) 등이 인접해있다. 팔달문 시장에서 북쪽 골목으로 가다 보면 진미 통닭, 용성 통닭, 일미 통닭 등의 치킨 전문점들이 밀집되어 있는 치킨거리가 있는데, 팔달문 근처에 살지 않는 사람들도 이곳에 오게 하는 이유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통닭거리에 대한 내용은 이곳을 참고.
또한 이곳에는 병원약국이 많이 있어 아플 때 찾는 사람들도 많이 있었다. 일단 어디가 아프든 이 쪽으로 오면 관련 병원 하나 정도는 찾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팔달문의 쇠퇴에 따라 병원 역시도 점차 쇠락하게 되었고, 약국은 아직 많이 남아 있어 주변에 약국이 영업을 안 하는 주말에는 약국을 가기 위해 방문하는 사람들도 있다. 한편으로 백병원 같은 큰 병원이나 문안과, 이안과 등 유명 병원들은 여전히 건재하다.
이곳에 있던 중앙 극장은 한 때 수원의 대표적인 극장이었으나 팔달문이 쇠퇴함에 따라 인기가 없어졌고, 문을 닫았다. 하지만 2013년 말에 중앙 극장을 계승하여 메가박스가 생겼다. 관련 기사 - 수원 중앙 극장 , 메가박스로 부활(경기일보) 그리고 '''중앙 극장이라는 이름을 도용한 고깃집'''도 존재한다.
인근에 음식점으로 롯데리아, 버거킹이 있으며, 한때 KFC까지도 있었으나 2018년 5월 중에 문을 닫았다. 할인 매장으론 다이소가 있다.

3. 바깥고리



4. 보물 제402호


수원 화성은 조선 정조 18년(1794)에 정조의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을 양주에서 수원으로 옮기면서 짓기 시작하여 정조 20년(1796)에 완성한 성곽이다. 중국성의 모습을 본뜨기는 했지만 과학적인 방법으로 성을 쌓아 훨씬 발달한 모습을 하며 한국 성곽을 대표하는 뛰어난 유적이다.

이 문은 수원 화성의 남쪽문으로 이름은 서쪽에 있는 팔달산에서 따 왔다. 문루는 앞면 5칸·옆면 2칸의 2층 건물이며, 지붕은 앞면에서 볼 때 사다리꼴을 한 우진각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기둥 윗부분에 짠 구조가 기둥 위뿐만 아니라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으로 꾸몄다. 문의 바깥쪽에는 문을 보호하고 튼튼히 지키기 위해 반원 모양으로 옹성을 쌓았다. 이 옹성은 1975년 복원공사 때 고증하여 본래의 모습으로 복원한 것이다. 또한 문의 좌우로 성벽이 연결되어 있었지만 도로를 만들면서 헐어버려 지금은 성문만 남아 있다.

수원 화성 안쪽에 있는 여러 건물 중 가장 크고 화려하며, 발달된 조선 후기의 성문 건축형태를 고루 갖추고 있는 문화재이다.


5. 둘러보기




[1] 원래는 팔달문 남치 방면 사이에는 남서적대가 있었다. 현재는 미복원 상태.[2] 원래는 팔달문 남수문 방면 사이에는 남동적대와, 남암문 그리고 남공심돈이 존재하였지만, 지금은 미복원 상태이다.[3] 주로 젊은 사람들은 팔달문, 나이 든 사람들은 남문이라고 한다.[4] 현재는 성곽.남북공심돈.남암문, 남서/동 적대 복원을 위해 시장주민들과 협의중에 있다 물론 반대하는 주민들도 있다.[5] 팔달문 부지에 들어가려면 반드시 무단횡단을 해야 한다. 어찌 들어가더라도 팔달문 계단에 '올라가지 마시오.'라는 간판이 떡하니 있다.[6] 문의 이름이 적힌 간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