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현보

 

禹玄寶
1333년 ~ 1400년
여말선초의 인물. 본관은 단양(丹陽), 자는 원공(原功). 우길생(禹吉生)의 아들.
충청도 단양군 사람으로 공민왕 때 과거에 급제해 춘추검열이 되고 여러 차례 승진해 집의가 되었으며, 좌사의대부를 지낼 때 윤소종이 김흥경, 김사행, 김광대 등의 간신들을 탄핵하자 우현보는 윤소종이 직무를 게을리한다는 핑계로 탄핵해 축출시켰다.
여러 사람들과 함께 여러 차례 내린 법령들을 다시 살펴보고 이를 시행하라는 상소를 올렸지만 시행되지 않았으며, 우왕 초에는 밀직대언, 제학, 동지밀직사사 겸 대사헌 등을 지냈으며, 우왕의 유모 장씨가 제사지낼 때 우왕이 금주령 때문에 산신에 제사지내는 것에 대해 묻자 술을 신에게 바친다는 증명서를 받으면 가능할 것이라 했다.
정당문학 겸 대사헌이 되었다가 옮겨서 문하찬성사, 삼사좌사, 찬성사 등을 역임하고 순충익대좌리공신의 호를 하사받았으며, 1388년에 위화도 회군이 일어나고 우시중에 임명되었다가 며칠 만에 파직되고 단양부원군에 봉해졌다.
공양왕이 즉위한 이후로는 이성계의 반대파에 해당되어 정몽주와 당여를 만들었다는 것으로 인해 옥사가 일어날 때 무고되었는데, 김저의 옥사가 일어날 때 진술 중에 우현보의 이름이 나와 그를 죽이거나 가산을 적몰하라는 상소가 올라왔지만 관직을 그만두는 선에서 끝났다.
윤이, 이초의 옥사 때 체포되어 공양왕이 그를 처벌하지 않으려고 했지만 상소가 계속 올라오자 어쩔 수 없이 공양왕이 우현보를 철원으로 유배보냈는데, 얼마 못 가서 사면되어 단산부원군에 봉해졌다. 정몽주가 살해당하고 김진양 등이 국문당할 때 우현보의 이름이 나왔고 도평의사로부터 체포되어 유배되었으며, 우현보는 '여러 번 죄를 짓고도 지나치게 용서를 받았고 그 죄질이 크다'는 상소가 올라와 계림으로 옮겨져 유배되었다.
그러나 우현보를 죽여야 한다는 상소가 올라오자 먼 곳으로 유배되어 다시는 등용되지 못하는 조치를 받았다. 고려가 멸망하고 1392년에 조선이 세워지자 7월 30일에 우현보는 해양으로 옮겨져 유배되었으며, 10월 12일에는 외부 지역에 아무 때나 살게 하는 조치를 받았다가 1396년 10월 1일에 사면되고 복권되어 재산을 돌려받았다.
1399년에는 단양백에 봉해졌고 1400년 1월 28일에 이방간이 제2차 왕자의 난을 일으키려 하는 것을 아내로부터 듣고 이방원에게 이를 알리면서 2월 13일에 추충 보조 공신의 호를 받았으며, 11월 1일에는 전지 70결을 하사받고 11월 13일에 사망했다.
조선을 설계하고 건국한 정도전과는 사이가 좋지 못한데 사사건건 옛날부터 아무 정당한 이유없이 평소 그의 어머니쪽 혈통을[1] 가지고 먼저 시비를 걸면서 조롱하고 모욕을 해대었기에, 조선이 건국된 후 정도전이 조선개국에 반대한 반 역성혁명파의 유력 인사들을 처리하던 중에 이 원한을 빌미로 앙갚음하는 형식으로 우현보의 다섯 아들들 중에서 세명을 장살[2]시켜 죽여버렸다.
굳이 이렇게 정도전 관련이 아니더라도, 그의 행적을 하나씩 살펴보면 문제가 아예 없지는 않는데, 상술한 윤소종이 간신배들을 탄핵한 것인데, 오히려 그 간신배들 편을 들면서 윤소종을 축출한 것과 심지어 당시 집권층인 '''이인임 일파'''의 권세가 극에 달했을 때엔 국왕인 우왕 대신, 이인임 패거리였던 염흥방이 자기 멋대로 국사를 독단으로 처리하는데 끼어서 함께하였다는 기록도 있다.
그 외에도 최영의 무리한 제2차 요동정벌을 말리지 않았으며, 나중에 시행되는 토지제도 개혁(과전법)을 반대하는데 동참하였다는 기록도 있다
이를 보면 지금 현대적으로 분석해보면 왠지 개인의 능력과는 별개로 본인 자신의 성격이나 아들들 관리 단속도 제대로 하지 않은 등, 성격에 어느 정도 문제가 있는 인물이었던 것으로 사료된다. 어떤 일각에선 정몽주 편이었기에 정몽주를 충신으로 숭배하고 받드는 당시 사회 분위기에 편승하여 우현보도 충신, 군자인 것처럼 묘사된 것이라고 하며 사실 알고 보면 그냥 그저그런 반 역성혁명파 사대부에 더 나아가선 사회배경 같은 데에 얽매여서 사고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한, '''전형적인 당시 기득권층(그러니까 권문세족)일 뿐이다.'''라는 평가도 있다.
더욱이 요즘엔 정도전이 오히려 학계에서 긍정적으로 재평가되고 사극에서도 긍정적으로 묘사되는 분위기에 따라 우현보는 사극에선 등장하더라도 비중은 그리 크지 않지만, 정도전의 반대편에서 상술한 그의 혈통을 가지고 그를 조롱하며 음해하고 모욕하는 식으로 깎아내리고 반대하는 등 부정적인 인상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SBS 드라마 육룡이 나르샤와 KBS의 정도전 모두 다 그랬다. 일례로 정도전에서는 당시 폐단이었던 사전(私田)이 태조 왕건 이래의 아주 거룩한 제도(...)라도 되는 것처럼 발언[3]하는 등 전형적인 수꼴 컨셉으로 나온다.

[1] 정도전의 어머니가 고려말기쯤 우현보의 집안에서 일하던 여종의 피가 섞여있다고 한다.[2] 그러니까 때려죽이는 벌. 정황상으로 보면 '''곤장형.'''[3] 35회에서 조준과 대담을 하는데 전제 개혁안의 수용을 요구하는 그의 요구를 물리치면서 "사전은 태조 대왕 이래로 유지돼 온 고려의 숭고한 가치이자 혼입니다"라고 발언한다. 우현보의 대사를 아무 생각 없이 들으면 사전이 정말 매우 위대한 제도인 것만 같은 착각에 빠져들 지경이다(...). 우현보 역의 배우 심우창이 노련한 연기력으로 해당 대사를 읊으니 괜히 거룩하게 들리는 면도 있다. 참고로 심우창은 과거 '''태조 왕건'''에서 염상 역을 맡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