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동천체육관

 


[image]
[image]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울산 동천체육관
<colbgcolor=#E20E0E> '''개장'''
2001년 1월
'''첫 경기'''
2001년 11월 4일
울산 모비스 오토몬스 VS 인천 SK 빅스
'''소재지'''
울산광역시 중구 염포로 85 (남외동)
'''홈구단'''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2001년 ~ 현재)
'''좌석규모'''
5,535석
'''관리주체'''
울산광역시 시설관리공단

1. 개요
2. 교통편
3. 시설
4. 여담

[clearfix]

1. 개요


울산광역시 중구 남외동 울산종합운동장 부지에 위치한 체육관. 한국프로농구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의 홈 경기장이다.
프로농구 외에도 울산에서 규모가 좀 되는 각종 실내 스포츠 관련 행사는 대부분 여기서 한다. 울산 태권도 승급 심사장으로도 쓰인다.[1]
울산광역시 시설관리공단에서 운영하며, 체육경기 이외에 취업박람회 같은 크고 작은 행사는 대부분 이 곳에서 열린다.
바로 옆에 울산MBC 컨벤션 웨딩홀이 있어서 주말에 현대모비스의 경기와 웨딩 일정이 겹치면 주차전쟁이 벌어질 수도 있다.

2. 교통편


  • 울산공항에서 472번 버스 승차 후[2] 종합운동장 앞에서 내린다.
  • 태화강역에서 945번 버스 승차 후, 메가마트에서 걸어야 된다. 또는 127, 411번 버스를 타고 종합운동장 앞에서 내린다.
  • KTX를 타고 원정 응원을 왔다면 울산역에서 5002번을 타고 학성초등학교 정류장에서 내리면 동천체육관에 올 수 있다.
  • 그나마 제일 가까운 울산고속버스터미널에서는 직행버스는 없어서[3] 127, 910, 945번 버스를 타고 학성동주민센터 정류장에서 내려 좀 걸어야 된다.
  • 그러므로 이 경기장에 올 때는 KTX 울산역을 제외한 공항이나 역, 터미널 모두 택시를 타고 오는 것이 좋다. 울산역은 할증구간인 데다 거리도 있는 편이라 택시비가 많이 나온다.

3. 시설


체육공원 안에 위치한만큼 주변에 공원과 종합운동장,[4] 그리고 MBC 웨딩홀이 있다. 체육관 내부를 한 바퀴 돌면서 다양한 이벤트와 전시관을 둘러볼 수 있다. 특히 기아 농구단 시절부터 쌓아올린 여러 우승 트로피를 포함, KBL 챔피언결정전 우승 트로피와 우승 반지가 모두 전시되어 있다. 그 외에도 선수들의 핸드 프린팅이나 역대 유니폼도 전시되어 있으며, 현대모비스 피버스 샵에서 선수 유니폼과 각종 기념품을 구입할 수 있다. 기타 편의 시설로 수유실과 매점이 있다. 경기장 내부에는 현대기아자동차의 차량이 전시되어 있다.

4. 여담


  • 현재는 운영과 관리가 잘 되고 있지만, 한때 부실공사로 인해 얼룩졌던 흑역사가 있다.[5][6][7]
  • 2002 부산 아시안게임 탁구 경기가 이곳에서 열렸다.[8]
  • 2006-2007 시즌 KBL 올스타전이 여기서 개최되었다. 프로농구 출범이래 최초로 지방에서 개최했다.
  • 2018년 3월 6일 원주 DB 프로미전에서는 김주성의 현역 마지막 울산 방문이 이루어지고, 그의 마지막 은퇴 투어 장소가 되었다.
  • 울산 현대모비스가 한국프로농구 2018-19 시즌 정규리그 1위를 차지하면서 10년만에 울산에서 정규리그 1위 축포가 터졌다.
  • 2018-19 KBL 챔피언결정전에서 이곳에서 열린 1, 2, 5차전 경기가 모두 매진되어 만석을 이뤘다. 특히 5차전은 입석까지 해서 경기장 수용인원을 훨씬 초과하는 6,052명의 관중이 입장하면서, 개장 이래 최다 관중 기록을 세웠다. 그리고 6년만에 이곳에서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의 우승 축포가 터졌다.
  • 2021년 6월 울산문수축구경기장 부근에 울산제2체육관이 완공될 예정이다. 일각에서는 이 체육관의 완공 이후 현대모비스가 그 곳으로 홈 구장을 옮길 가능성이 있다고 하지만 그렇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우선 새 체육관의 수용규모가 동천체육관보다 적은 4000석 규모인데다 문수경기장이 울산시내 한복판에 있는 동천체육관보다 접근성 측면에서도 떨어지기 때문이다.
  • 2019년 제16회 전국우수시장 박람회가 이곳에서 개최되었다. 6시 내고향 생방송과 함께 각종 부대행사로 최대규모로 성공적으로 치뤘다...고 자평했다.
  • 2019-20시즌 WKBL부산 BNK 썸이 구단 인수 첫 시즌 연고지인 부산뿐 아니라 경남권의 농구팬들에게도 팀을 알리기 위해[9] 일부 홈 경기를 이곳에서 치르려고 했지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사태가 시즌 도중 악화되는 바람에 경기를 하지 못했다.

[1] 겨루기는 남구에 위치한 종합체육관에서 열린다.[2] 472번을 오래 기다려야 한다면 233, 412, 712번 버스 승차하여 132번으로 1회 환승해야 한다.[3] 411번이 있지만 달동을 거쳐 좀 돌아서 간다.[4] 이 곳 앞에 있는 보조구장에서 MBC 쇼! 음악중심이 1년에 1번 촬영된다. 문화 지변이 빈약한 울산에 내리는 단비 같은 행사. 자세한 사항은 울산 서머 페스티벌 항목 참조.[5] 원래 동천체육관의 착공은 1991년 8월에 시작됐지만 전형적인 티스푼 공사에다 공정률 70% 정도의 상황에서 관중석의 옹벽과 옥외 휴게실 지붕 등에서 비가 새고 바닥에 균열 현상이 발생했으며, 오른쪽 출입구의 축대가 기울어지는 증상이 발생해서 1996년 3월에 감사원의 지적에 의해 공사가 중지되고 말았다. 그 이후, 무려 3년 동안 유령성처럼 방치되어 있었으나, 1999년 2월에 공사가 재개되어, 2000년 8월에 가까스로 완공될 수 있었다.[6] 그렇지만 초반 공사시의 부실공사 상황이 워낙 심각했던지라 이후 재시공시 보강을 해서 체육관을 지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물이 새는 등의 하자가 발생해 2005년 초까지 계속 시설 보수를 해야만 했다.[7] 아직도 이 때의 부실 공사 흔적을 발견할 수 있는데, 동천교 부근에서 동천체육관을 봤을 때 중앙과 좌측 출입구쪽 축대에 비해 유독 오른쪽 출입구의 축대 오른쪽이 더 기울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초기 부실 지적과 공사 중단 이후 재시공 시 해당 축대를 바로 세우지 않고 무너지지 않도록 보강만 했기에 부실공사의 흔적이 남은 것. 그래서 멀리서 동천체육관의 모습을 보면 중앙을 중심으로 해서 좌·우측의 축대가 불균형하게 보인다.[8] 개최 도시는 부산이지만, 경기를 분산 개최했다. 축구경기 또한 울산문수축구경기장에서 나눠서 했다.[9] 이 때문에 창원 마산실내체육관에선 코로나19 확산 전 적게나마 경기가 열렸고, 진주 초전체육관에서도 몇몇 경기를 할 예정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