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랑

 


1. 개요


議郞
관직 중 하나로, 중국 삼국지 시대의 의랑이 매우 유명하다.
하는 일이라고는 황제가 질문을 하면 의랑은 대답을 하는 그런 보직이었다. 엄청난 꿀보직이긴 했지만 당연히 다른 일반직 공무원들(상국(전설상의 관직이긴 하나 그래도 황제의 신하다.), 승상, 대사마, 태위, 사도, 사마, 사공 등)에 비하면 추가수당 등을 받지 못해 급여를 많이 받지 못했다. 군대로 치면 연구관[1] 이라고나 할까(...)
게다가 고대시대였던 이 당시에는 인권이고 나발이고 없었기 때문에 황제가 질문을 했을 때 제대로 된 대답을 하지 못하면 최소 파면, 최대 사형이라는 무시무시한 벌을 받기도 했다. 당시 서량에서 자사로 근무한 동탁이 당시 황제인 영제가 동탁에게 친히 의랑 보임을 한 것을 괜히 거절하고 서량 자사로 남았다가 이유가후 등 신하들의 조언을 받아 때를 보아 기다리다가, 십상시의 난이 터졌을 때 낙양에 자신의 병력들을 강제 입성시켜 황제를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권력을 잡은 게 아니다.[2]
하지만 대한민국은 중국처럼 이런 잉여 벼슬은 아니었고, 그래도 나름 괜찮은 벼슬이었다. 고려 시대에, 육부(六部)에 둔 정사품 벼슬. 충렬왕 34년(1308)에 시랑을 고친 것으로, 공민왕 5년(1356)에 다시 시랑으로 고쳤다가, 21년(1372) 이후 총랑으로 고쳤다. 조선 초기에, 육조(六曹)에 둔 정사품 벼슬. 태조 1년(1392)에 두었다.

[1] 말년 대령 이상의 고급 장교들이 은퇴하기 직전에 보임받는 직책. 군인은 계급 정년이 존재하기에 은퇴를 앞둔 고위 장교들이라면 무조건 내쫓아내지는 않고 국방부에서 전역 준비를 위해 연구관으로 복무할 수 있도록 배려를 해 주는 것.[2] 비슷하게나마 국내에도 이런 경우가 있는데 바로 홍준표. 홍준표가 정계에 진출했을 때 당시 정치인들은 홍준표에게 고용노동부 장관 직책을 권유했으나 고노부 자체가 한직임을 잘 알았던 홍준표는 분노하고 고노부 장관직을 거절하였고, 대신 대표적인 요직 중 하나인 경상남도지사 직책을 받들어 경상남도지사 시절 때 열심히 근무해 경상남도 부채를 '''0원으로 만든 신화를 이룩한 경험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