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버스 4
[image]
1. 노선 정보
2. 개요
삼환교통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68.3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1990년대까지는 '가좌주공 - 인천교 - 동인천역 - 신포시장 - 숭의로터리 - 제물포역 - 용일사거리 - 학익시장 - 문학정보고입구 - 문학경기장 - 인명여자고등학교 - 인천종합터미널 - 남촌동 - 도림동' 구간으로 운행되었다.[2]
- 인천시내버스조합에서 노선을 반납하자 2000년 8월부터 인천여객이 운행을 담당하였다. 이후 송현동 삼두아파트로 기점이 연장되었다.
- 2001~2002년 경 일자미상으로 동인천(화평동) 회차로 변경되었다.
- 2014년 4월 28일에 2대가 감차되었으며 첫차가 10분, 막차가 35분 빨라졌다.
- 2014년 11월 10일에 기점이 가좌동차고지로 연장되었다. 기점 연장으로 29번을 대체하게 되었고 동시에 삼두아파트에 정차하지 않는다.
- 2015년 8월부터 배차간격이 30분 이상 벌어지는 등 불규칙한 운행을 시작하였다. 시청의 조사에 따르면 파업은 아니고 고의적으로 배차간격을 어기는 것이며, 인천여객의 경영권을 두고 도영운수와 신흥교통이 분쟁한 것이 원인이었다. 관련 기사
- 2015년 10월 12일에 시청에서 직권으로 인천여객의 면허를 취소하였다. 다음날부터 다른 회사들이 공동 배차로 운행하였다. 당시 공동 배차에 참여한 업체는 삼환교통, 선진여객, 송도버스, 시영운수, 인천스마트, 부성여객, 동화운수이다.
- 2016년 2월 1일에 삼환교통으로 공식 이관되었으나 차량 출고가 지연되어 2월 21일까지 타사 차량을 운행하였다. 2월 22일에 차량 출고가 완료되었다.
- 2016년 2월 29일에 기종점이 교환되고, 가좌동차고지 막차가 23시에서 22시 20분으로 빨라졌다.
- 2016년 7월 30일에 3대가 증차되었다. 함박마을 구간을 변경할 예정이었으나 대체 방안을 찾지 못해 유지되었다.
- 함박마을 도로기반 공사 실시로 인하여 2017년 6월 3일부터 함박마을 구간은 일방으로 운행한다. 가좌동 방면 차량은 변경없이 운행하지만, 동춘동 방면 차량은 연수4단지입구에서 함박마을로 바로 들어가지 않고, 동인천 방면 차량과 같이 부동산입구 정류장을 거쳐서 들어가 회생당약국, 희망슈퍼를 돌아 태경아파트로 간다. 원래 7월 31일까지만 실시할 예정이었지만 별도의 공지 없이 현재까지도 유지되는 중이다.
4. 특징
- 전 차량 중형버스로 운행한다. 함박마을 구간을 비롯한 일부 구간이 대형차량으로 운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고, 인천광역시에서 인천여객 인수분의 차량은 전부 중형 차량 보조금만 지원하기 때문에 중형버스로만 운행한다.
- 노선의 선형이 불량하고, 굴곡이 매우 심하다. 그러나 이 굴곡으로 생긴 구간 대부분이 교통소외지역이거나 단독구간[3] 이기 때문에 예로부터 굴곡 완화 시도 없이 현행 유지 된 노선이다. 기종점 연장 외에는 노선의 변화가 없다. 이러한 특성때문에 신규수요보다는 고정수요가 많다. 또한 지나는 학교가 많아 통학 수요 역시 상당히 많다.
- 부동산입구, 함박마을도서관, 희망슈퍼에서는 편도로 운행하기 때문에 가좌동 방향인지 송도동 방향인지 확인하고 탑승해야 한다. 차량 전면에 행선판을 걸어둬 혼동하지 않도록 도와준다. 또는 LED전광판을 확인하고 이용 할 것.
5. 연계 철도역
- [image] 수도권 전철 1호선: 도화역[4] , 제물포역, 동인천역
- [image] 인천 도시철도 1호선: 테크노파크역, 캠퍼스타운역, 동막역[5] , 신연수역, 인천터미널역
- [image]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연수역[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