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시 결과
'''때문에 이 문서는 물론 학교 관련 문서에서 대학 간의 서열을 표현하는 것은 금지된다.'''
1. 개요
입시 결과는 '''입학시험(입시) 결과'''의 줄임말로, 흔히 '''입결'''이라고 불린다. 주로 입시가 끝난 뒤, 누적백분위를 바탕으로 형성된 합격생들의 성적대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오늘날에는 주로 '''대학교의 특정 학과에 입학하기 위한 커트라인'''으로서의 의미가 크다. 한마디로 해당 대학교의 해당 학과에 '''꼴등'''으로 입학한 학생의 성적을 의미한다. 대한민국 건국 이래 아직 중고등학교 입시가 살아있던 시절에는, 주요 일간지에 이른바 '명문'으로 불리던 중고등학교의 입결을 뉴스로 싣는 경우도 많았다. 하지만 1970년대를 기점으로 중고교 평준화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런 용례는 드물어졌다.
과거의 입결 자료는 대입 수험생[3] 이 입시전략을 짜는 데 도움이 된다. 매년 변화하는 수능의 난이도 및 여러 변수를 바탕으로, '특정 학교의 특정 학과에서 올해의 지원 추세는 어떨지'를 대강이나마 짐작해볼 수 있기 때문이다.
2. 부작용
일부 수험생은 입결 조작을 시도하기도 한다. 이러한 학생들은 입시 커뮤니티[4] 에서 자기 점수를 허위로 부풀려서 공개하거나, 특정 학교의 특정 학과에 대한 악성 루머를 퍼뜨리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거짓 여론을 조장한다. 때문에 원래대로라면 해당 학과에 지원했을 수험생들이 지원을 망설이거나 포기하는 사태가 발생하는 경우가 생긴다. 이러한 이유로 해당 학과에 지원자가 적어지는 경우를 '''빵꾸(펑크)'''라는 은어로 부르기도 한다.[5]
한편, 대학 서열화를 조장하는 용도로 입결 자료를 오용하는 일부 수험생이나 대학생[6] 도 존재한다. 이들은 대학 평가에 적용될 수 있는 여러 기준들보다는 입결을 가장 공신력있거나 현실적인 자료로 평가하는 경우가 많다. 이들이 이렇게 주장하는 논리는 대략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입결이 높은 대학/학과일수록 더 유능한(성적이 높은) 인재가 몰린다.
- 유능한 인재가 모집될수록, 결과적으로 해당 대학/학과에서 내놓는 졸업생, 즉 연구자/전문인력의 질도 높아질 것이다.
- 이러한 고급 인력들은 사회에 큰 기여를 할 것이고, 결과적으로 학교의 가치 역시 드높이게 될 것이다.
- 반면 특정 대학/학과의 입결이 내려간다면, 해당 대학 졸업생의 수준도 떨어지게 될 것이다.
- 해당 대학 졸업생의 수준이 낮아질수록, 해당 학교에 대해 사회가 품는 기대치도 줄어들 것이다.
- 사회에서 성과를 내지 못하는 대학은 결국 가치와 경쟁력이 하락하게 될 것이다.
덧붙여서, 입학성적(즉 수능성적)을 과연 입학생의 수준을 재단하는 절대적인 기준으로 삼을 수 있을지, 혹은 해당 학교에 대한 사회 전반의 기대치를 가늠하는 절대적이고도 통합적인 기준으로 삼을 수 있을지도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대학의 경쟁력은 단순히 들어오는 인력의 질에 좌우되는 것이 아니다. '''들어온 인재들을 훌륭하게 교육시켜 좋은 연구자/인력으로 양성할 의무를 갖춘 곳이 대학이다.'''
3. 관련 사이트 / 어플
[1] SKY(대학교) 문서는 유일하게 작성이 허용되는 문서입니다. 다만 이 경우에도 해당 항목 내의 학교간의 우열, 서열 비교는 불허합니다.[2] 예시: 대학 서열화에 대한 비판의견이나 긍정 의견을 소개하는 내용의 문서.[3] 특히 정시 전형을 공략하는 수험생.[4] 오르비스 옵티무스, 수만휘, 점공카페 등.[5] 특히 2010 수능에서 모 수갤러가 연세대 경제학과 입학을 위해 오르비 등 입시사이트에서 조작질을 해 당해 연세대 경제학과 정시에 기적적인 추가합격을 달성한 사례가 있다.[6] 특히 이러한 학생들을 '''훌리(훌리건)'''라는 은어로 지칭하기도 한다.[7] 예: 해당 학과 졸업시 취업 가능성이 어떨 것이라든지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