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찬

 

迊湌

신라 때에 둔 17관등 가운데 셋째 등급으로 이찬의 아래고 파진찬의 위다. 다른 이름으로:
  • 잡판(迊判) [1]
  • 소판(蘇判)
  • 잡간(迊干)
  • 제한지(齊旱支)
등으로 부르기도 했다. 소(蘇)가 주로 "쇠"를 음차하는데 쓰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쇠"라는 뜻의 고유어를 비슷한 음의 한자로 표기한 것인 듯. 한편 김알지가 금궤짝에서 나왔다는 설화 때문에 초창기에는 '''김씨 족단의 대표자'''가 임명됐을 것이라 추측된다. 삼국사기에는 유리 이사금 시대에 잡찬이 처음 제정됐다고 나오지만 이후 이 관등에 추봉되는 기사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벌찬, 이찬, 파진찬보다 늦게 도입됐을 가능성이 높다. 진흥왕 시기에 처음으로 등장하는 점을 보아 법흥왕이 율령을 반포하면서 새로 만든 것으로 보인다.
자색 관복을 입었으며 신라에서는 진골만이 오를 수 있었다. 골품제 참조.
고구려 왕족 안승에게 내린 관등이 이 것이다.
나중에 태봉, 후백제도 신라 17관등 체계를 받아들여서 예를 들면 태조 왕건 드라마로 유명해진 궁예의 수하 종간이 태봉국의 소판(=잡찬)이었다는 등의 기록이 있다. 고려 초기에도 잠깐 쓰였다.

[1] 간(干)과 잡(迊)의 말음이 합쳐져 판(判)이 된것으로 추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