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진찬
1. 개요
波珍飡
신라 때에 둔 17관등 가운데 넷째 등급으로 잡찬의 아래고 대아찬의 위다. 다른 이름으로:
등으로 부르기도 했다. "바다"라는 뜻의 고유어를 비슷한 음의 한자로 표기한 것이다. 실제 발음은 [patorkan] 내지는 [patolkan]과 비슷했을 가능성이 있는데, 일본서기에는 'ハトリカンキ'로 나와 있다. 이를 고대음 및 당대 말음 표기법을 고려해 따져 보면 'patorkanki/patolkanki', 즉 [바돌간기] 비슷한 발음이 나온다. 이진아시왕이 사서에 따라 내진주지(內珍朱智) 또는 뇌질주일(惱窒朱日)로 쓰이는 것을 생각하면 珍의 말음이 ㄹ임을 더 직접적으로 알 수 있다. 이때 마지막의 [-ki]는 '岐'로, 존칭 접미사이다.
이름으로 미뤄보아 원래 처음에는 바다와 관련된 직책에만 적용되는 이름이었다고 보기도 한다. 삼국사기에는 탈해 이사금 시대에 금관국과 싸워 공을 세운 길문(吉門)에게 파진찬을 내린 기록이 첫 기록이다. 한편 석탈해가 바다를 건너 왔다는 점 때문에 초창기에는 '''석씨 족단의 대표자'''가 임명되지 않았나 추측된다.
자색 관복을 입었으며 신라에서는 진골만이 오를 수 있었다. 골품제 참조.
태봉, 후백제, 극초기 고려 왕조도 신라 17관등 체계를 받아들였다.
2. 파진찬에 오른 인물
- 태봉 왕조
- (후)백제 왕조
3. 기타
KBS 대하드라마 태조 왕건에서 최승우가 파진찬으로 나오는데, 최승우는 본명 최승우보다 오히려 파진찬으로 불리는 경우가 더 많다. 실제로는 최승우도 관등은 당연히 있었겠지만 같이 나오는 능환이 이찬이라고 실제로 기록되어 있는 것과는 달리 최승우가 파진찬이라는 기록은 따로 없다. 사실 이 태조 왕건 드라마 덕분에 아무리 역사에 대해 잘 모르던 사람들도, 특히 신라 벼슬 직급에 대해 다른 관직은 몰라도 당시 이 드라마를 본 사람들은 하나같이 파진찬 하면 견훤의 "아 이보시오 파진찬!" 아니 그게~! 하면서 저절로 머릿속에서 음성지원이 된다 카더라.
태조 왕건의 영향으로 파진찬 하면 최승우가 내원 하면 종간부터 떠오르지만 둘 모두 실제로 그 관직에 오른 기록이 없다는 공통점이 있다. 종간의 본래 관직은 파진찬 바로 위 관등인 소판이었다.
실제 역사에서 후백제의 파진찬이었다고 기록된 사람은 바로 태조 왕건에서 능환과 함께 신검파 조정 대신들의 대표로 나오는 영순이다.
네이버 웹툰 낮에 뜨는 달의 등장인물인 도하의 신분이기도 하다.
[1] 마진량현(麻珍良縣)을 마미량현(麻彌良縣)이라고도 하는걸 보아 진과 미는 서로 상관이 있다. 이체자의 모양(미-弥, 진-珎)이 비슷해 오기한 것이일 가능성이 높은데 왜 5왕중 진(珍)은 미(彌)로도 쓰여있기 때문.[2] 신라의 아진포구(阿珍浦口) 고구려의 아진압현(阿珍押縣) = 窮嶽(궁악) 窮은 끝, 벽지란 뜻으로 끝을 뜻하는 '바닥' 바다의 옛말 바닿과 관련이 있을듯 싶다. 바다와 관련된 직책에만 적용되는 이름이었다고 보기 보단 海는 그저 훈차표기일 가능성이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