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멸

 

1. 개요
2. 군사용어
3. 여담


1. 개요


  • 영어: Annihilation
  • 일본어: 全滅(ぜんめつ)
. 모두 (죽거나 망해서) 사라짐. 비슷한 말로 궤멸(潰滅), 괴멸(壞滅), 절멸(絶滅) 등이 있고, 뜻도 다들 비슷비슷하다.

2. 군사용어


사전적인 의미로는 '모조리 쓸려나갔을 때'를 전멸이라고 하나, '''군사 용어로의 전멸 개념은 약간 다르다.'''
군사적으로 이 전멸을 판단하는 기준은 '''전투 속행 불가능'''.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단위 제대의 '전투능력 상실 상태' 이다. 즉, 부대원이 전부 죽거나 다쳐야 전멸이 아니라는 말. 예를 들어 총병력이 1000명인 부대가 있다고 했을 때 이 부대가 교전 등으로 200명이 죽거나 큰 부상을 입어, 전투를 지속할 능력을 상실했다면 그 부대는 전멸했다고 평가한다.[1]
보통 전병력의 20%가 전투능력을 상실했다면 전사자-부상자 비율 등을 고려했을 때 나머지 인원들도 상당한 전투력을 상실했으므로 실질적 전투능력은 매우 급감한다. 물론 엄청난 손실을 감수하면서 방어전을 수행하는 부대도 있긴 하지만 이런 경우는 대부분 부득이하게[2] 전투를 강요당하는 상황이라 그런 것이고, 대부분의 군대에서 이런 경우의 교리는 무조건 철수하여 재편성에 들어가는 것이다. 작전상 그 지역을 포기하고 철수할 수 없다면 지속적인 증원과 보급, 인원교대와 휴식을 통해 전투력을 계속 보충하면서 싸우는 게 원칙이다.
일반적인 보병부대에서도 전상자 및 이를 간호. 후송하기 위한 인원 포함 20% 이상이 손실되면[3] 전멸로 간주하고 그 즉시 후방으로 철수시켜 재편성에 들어간다. '''심한 경우는 병력의 10%만 손실되어도 패배에서 전멸로 치기도 한다.''' 전상자의 숫자 자체보다는 단위부대의 전투 능력을 유지할 수 있느냐의 조건을 더 크게 치는 것이다. 보통 서방권 군사교리는 20% 손실을 전멸로 보고 있고, 한국군도 이 점은 크게 다르지 않다. 한국군이 현역 DMZ 철책부대의 희생을 사실상 개전 초 필연으로 보던 2000년대 초까지 예비군이 주력이라는 말을 한 것도, 실제로 그 쪽에서의 기습으로 발생하는 전사상자 1~2만으로 이미 철책사단들은 붕괴되고 전선이 신나게 밀리고 있어 예비군을 갈아넣어야만 유지가 가능하다고 봐도 무방하기 때문이다.
또한 부대의 '전투능력 상실'이란 개념 자체도 통념보다 범위가 더 넓은 편이다. 꼭 죽거나 중상을 입지 않더라도 전투력을 상실하는 경우는 흔하기 때문이다. 가령 치명적인 부상이나 중병이 아니더라도 집단 식중독이나 독감 등의 '잔병'으로 인해 부대원들이 제대로 활동하기 힘든 상태 또한 엄연히 '전투능력의 상실'에 속한다. 혹은 기갑부대의 전차, 장갑차와 같은 장비들이 고장이 나거나 연료가 모두 떨어져서 작동할 수 없다면, 그 기갑부대의 장병 개개인은 멀쩡해도 '기갑 부대'로서 작전을 수행할 수 없으므로 이 역시 '전투 능력 상실'에 속한다. 병사들이 전투를 벌이다 말고 도망쳐서 없어지는 일 또한 전근대부터 유구하게 있어 왔으며 충분히 전멸의 이유가 된다.
이 전멸의 개념이 중요하게 쓰일 때는 작전 입안 때인데, 전멸 판정난 제대는 전투에서 신속히 제외해야 전투지역의 재편성이 가능하므로, 부대의 손실이 20%선을 넘으면 지체없이 후퇴시켜 재편성하거나, 여의치 않더라도 가급적 병력 추가 손실을 최소화하고 적은 병력으로도 가능한 임무를 부여 받는다. 이러한 전멸/재편성이 전투의 승, 패까지 좌우하게 된다. 그렇기에 이 전멸 개념과 전멸 가능성에 대한 대처가 지휘권을 가진 자의 중요한 선택 중 하나이며 또한 능력이다. 그래서 정상적인 지휘관이 있는 군대는 처음부터 작전을 입안할 때 '''작전 종료까지 최소 80% 이상 전투력 유지가 되느냐'''의 가능성 부터 따진 후 대다수 지역의 투입 여부를 결정한다.
작전상 20% 이상의 손실이 예상되어도 포기할 수 없는 핵심지역은 처음부터 병력손실에 따른 증원과 후속부대 투입,인원교대,보급선의 확보를 염두에 두고, 병력은 항상 80% 이상 전투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정상적인 작전이다. 물론 저 '80%' / ' 20%'란 기준은 상황에 따라 수치가 조금씩 다를 수는 있으나, 중요한 건 이러한 전투력의 유지, 손실, 회복의 범위 및 여부 자체를 사전에 판단하는 것이다. 치열한 전장에서 교대, 증원, 보급이 불가능한 경우도 많지만 처음부터 대단위 병력을 사지에 몰아넣고 일부러 다 죽거나 붙잡히게 만들려는 지휘관은 최소한 정상적인 사고를 가진 사람 중에는 없다. 이게 잘 안 되는 작전은 '''시작할 때 부터 졌다는 것.'''
그런데 영화나 대중매체 등에서는 극적 과장이 심하고, 전쟁영화 상당수가 이렇게 손실을 무릅쓰고 고립되어 싸우는 극단적인 전투나, 후퇴금지 하에 막대한 인명피해를 내는 진흙탕 싸움만 보여주고 이런 극단적인 상황에서의 특수한 전투사례를 바탕으로 작업물을 생산하기에 사람들이 왜곡된 생각을 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현실에서 이런 막장 전투는 비효율성으로 인한 대량의 인명피해와 함께 장기적인 전쟁수행 능력을 크게 깎아먹는 행위이므로, 가능하면 후퇴시켜 재편성을 하지 이런 대치상황 자체를 피한다. 괜히 무리해서 병력을 소모시키는 것보다, 재정비한 후 고지나 지역을 다시 탈환하는게 훨씬 적은 손실로 작전을 달성할 수 있으니까.[4]
물론 현실의 전쟁은 치열한 두뇌 싸움의 연속이기에 영웅적이고 극단적인 상황들이 실제로도 많이 나타난다. 대표적으로 독소전쟁레닌그라드 공방전, 모스크바 공방전, 스탈린그라드 전투, 쿠르스크 전투 같은 서로의 모든 것을 걸고 싸웠던 전투들.

3. 여담


한국전 중 백석산 전투 1차전은 안개 및 동쪽에서 병행중인 피의 능선, 단장의 능선 전투로 화력 지원을 충분히 받지 못해 '''전투 가능 인원이 70% 이하로 떨어진 상태에서''' 치룬 전투다.
실제 상황이 아닌 게임에서는 일부러 빠른 전멸을 하기도 하고, 전멸노가다 등을 하기도 한다.
토탈 어나이얼레이션이라는 게임은 제목부터가 '완전 전멸'이다(...).
학교에서 과반수의 애들이 졸 때 전멸이라는 표현을 쓴다 카더라.

[1] 이해하기 쉬운 예로 리그 오브 레전드 게임을 들면, 아군 1~2명만 잘려도 한타를 할 수 있는 전투능력을 상실했다고 평가하여 아군 부활까지 한타를 회피하는 것이 낫다. [2] 후퇴 혹은 교대를 해야 하는데 할 수가 없는 경우. 주로 고지 등에 고립된 케이스가 많다. 아니면 당장 병력을 보충해줄 수 없는데 후퇴해서는 안 되는 전선에 위치한 경우. 이럴 때는 어쩔 도리가 없다.[3] 참고로 여기서 부상 기준은 당연히 전시인 만큼 어디를 삐었다거나 손을 베였다거나 하는 정도로는 응급처치나 해주고, 신체 절단, 과다 출혈, 특정 장기 손상 등 진짜로 전투 능력이 없을 정도여야 손실 처리된다. [4] 문제는 방어해야 하는 곳이 1개 사단의 보급 문제를 좌지우지하거나 수뇌부가 노출되어 지휘체계가 박살날 수 있는 중대한 요충지인 경우는 이야기가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