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107공병단

 


'''제1107공병단'''
'''第1107工兵團
The 1107th Engineer Corps'''
[image]
''''''
'''창설일'''
0000년 00월 00일('''제1107공병단''')
'''해체일'''
2018년 12월 31일
'''상징명칭'''

'''소속'''
[image] 대한민국 육군
'''상급부대'''
제1야전군사령부
'''규모'''

'''역할'''
1야전군 공병지원
'''초대 단장'''
대령 000(육사 00기)
'''해체 전 단장'''
대령 000(육사 00기)
'''위치'''
강원도 원주시 판부면

1. 개요
2. 상세
3. 편성
3.1. 단직할대
3.2. 제130환경대대
3.3. 제152공병대대
3.4. 제153공병대대
4. 출신인물
4.2. 장교/부사관
4.3. 병
5. 기타
5.1. 근무환경
5.2. 부대가
6. 사건사고
7. 여담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육군제1야전군사령부 예하 공병단이었다.

2. 상세


강원도 남서부 공병지원을 주 임무로 하는 육군 제1야전군사령부 직할 공병부대.
강원도 원주시 판부면 부근에 2개 공병대대, 2개 직할중대가 위치해있고, 강원도 횡성군 부근에 위치한 1개 환경대대, 2개 직할중대가 위치해 있었다.
(연대)급 공병부대이며, 연대급이다보니 지휘관인 공병단장은 보통 연대장과 같은 대령이 보임 된다.
직할부대이다보니, 부대마크제1야전군사령부 마크와 동일하다.[1]
2018년 12월 31일 제1야전군사령부제3야전군사령부와 통폐합되면서 같은날 해체되었다. 각 부대는 제1101공병단, 제36보병사단 등으로 흡수되거나 부대도 해체되고 각 부대원들이 타 부대로 전출되었다.

3. 편성



3.1. 단직할대


  • 지휘부
  • 정작과
  • 지원과
  • 단 본부중대
  • 장비중대
  • 교량중대[2]
  • 도하중대[3]

3.2. 제130환경대대


  • 본부중대
  • 지원중대
  • 1중대
  • 2중대
2007년 6월 21일 창군 이후 첫 '환경전담부대'를 '제1107공병단 130환경대대'와 '제1101공병단 117환경대대'를 창설 하였다. 전군에 2개 대대[4]만있는 환경대대로 하절기 시즌에 타 부대에 오염토양정화파견[5]을 다니는 부대다. 삼성 1호-허베이 스피릿 호 원유 유출 사고가 났을 당시에도 훈련을 취소하고 장거리/장기간 지원을 나갔다 온 전력이 있다. 물론 일반적인 공병대대의 임무도 수행한다.

3.3. 제152공병대대


  • 본부중대
  • 지원중대
  • 1중대
  • 2중대
주둔지가 단 본부내에 위치해 있다.

3.4. 제153공병대대


  • 본부중대
  • 지원중대
  • 1중대
  • 2중대
153공병대대는 부대해체 후 지상작전사령부 제1101공병단 예하부대로 전속되었다.

4. 출신인물



4.1. 단장


'''볼드체'''는 대장 진급이 된 단장.
'''역대 제1107공병단장'''
'''역대'''
'''이름'''
'''계급'''
'''임관'''
'''비고'''
'''기타'''
초대
000
예) 대령
육사 00기
단장

00대
박병희
예) 소장
육사 31기
국방시설본부장, 육군공병학교장, 제1공병여단

00대
공진식
예) 대령

단장

00대
정종민
예) 소장
학군 20기
육군공병학교장, 제6공병여단

00대
이시천
준장
육사 44기
제3공병여단장, 육군공병학교


4.2. 장교/부사관



4.3. 병



5. 기타



5.1. 근무환경


강원도 남서부에 위치한 원주, 횡성 근방이어서 강원도 부대중에서는 교통 여건이 상당히 좋은 편이다. 다만 단 본부는 제1야전군사령부, 36사단 사령부 등 여타 부대보다는 후미진 곳에위치해있어 마냥 좋지만은 않다. 위치도 위치거니와 연결되는 도로가 산 넘어가는 2차선 도로 하나뿐. 직할대에서 원주터미널까지 택시로 7~8000원 나오고 무실동까지는 딱 7000원 나온다. 그래서 출타 출발, 복귀, 전역 등 외부로 나가야 하는 일이 생기면 원주 혹은 횡성 시내중 가까운 방향으로 버스를 운행한다. 다만 대대중 한 곳은 제36보병사단 사령부와 매우 가까운데, 여기는 부대 위치의 행정구역상 주소가 36사단 사령부랑 같은 리 단위에 있을 정도.

5.2. 부대가


'''조국의 대동맥 태백줄기에 '''

'''통일대 터 잡고 나라 지켰네'''

'''높은 산 깊은 골 험한 산악도 '''

'''한 목숨 바치면 거칠 것 없네'''

'''우리는 싸운다 내 조국 위해'''

'''통일의 선봉장 제1야전군'''

'''민족의 젖줄인 백두대간에 '''

'''통일대 터 잡고 나라 지켰네'''

'''눈보라 비바람 몰아쳐와도 '''

'''나라에 바친몸 두려움 없네'''

'''우리는 싸운다 내 조국 위해'''

'''평화의 수호자 제1야전군'''

'''-제1야전군가[6]

'''


6. 사건사고



7. 여담


  • 제1야전군사령부와 가깝고 직할부대이기 때문에, 군사령부에서 시행하는 각종 감찰, 감사등에 수시로 지목되며, 준장인 공병부장 등 장성급 간부의 방문이 잦다. 대장인 1군 사령관, 중장인 부사령관의 방문도 종종 있다.
  • 장비중대에서는 한 병사가 수술때문에 병가 5일을 받았지만 중대장이 악용할수 있다며 5일을 자르고 외출을 허가했다.
  • 1107공병단 예하 약진대대에서 현역으로 근무하는 병사가 육군3사관학교 47기 사관생도 최종합격자에 이름을 올렸다.#


[1] 다른 직할부대 또한 마찬가지.[2] 주둔지에 중대만 있는 독립중대이다.[3] 주둔지에 중대만 있는 독립중대이다.[4] 1군, 3군 각각 1개 대대씩 존재한다.[5] 주로 유류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한다.[6] 제1군사령부 직할 공병단이기 때문에 제1야전군가가 부대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