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랑말

 


[image]
조선시대 조랑말
pony
1. 개요
2. 종류
3. 기타


1. 개요


보통 중에서 체격이 작은 조그만 말로 대부분 각 지역의 재래종이다.
중국의 고문헌에는 한국 북부 산악지대의 조랑말을 과하마(果下馬)라고 적은 기록이 있다. 올라탄 채로 과일나무 아래를 지나갈 수 있을 정도로 작다 해서 果下馬이다. "동예의 과하마"라고 고등학교 국사 시간에 배운 기억이 있을 것이다.
몸집이 작고 귀엽기(?)때문에 현재는 어린이들이 승마할때 사용하며, 과거에는 덩치가 작지만 덩치에 비해 지구력이 좋고 먹이를 적게 먹어 짐말로 많이 사용하였다.[1]
다만 생긴 것과 달리 성질이 엄청 더러워서(...) 편자를 갈때는 다리 넷을 묶어서 포박한 뒤에야 작업을 할 수 있었다고 한다. 구한말 조선에 들어온 외국 선교사들이 남긴 기록을 봐도 사악하다는 둥, 악마같은 짐승, 말 모습을 한 맹수 운운하는 내용이 있는 걸 봐서 성질이 참 더티한 모양.
대한민국에는 제주마가 있으며, 현재 제주마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다만 제주마는 조랑말이면서 중(中)형마에 속한다.
크기가 작기때문에 군마로 어울리지 않아보이지만 사용되긴 했다. 크기가 작아 중무장한 기병은 탑승이 불가능해 가볍게 무장한 경기병들이 탑승했다. 고려시대에는 원간섭기 제주도에서 몽골이나 서역의 대형마들을 풀어놓고 길렀으나 점차 토착 조랑말과 교잡이 진행되어 조선 초기에 이미 조랑말이 되어버렸다. 조선시대에는 국초부터 여진과 교역해 서역이나 몽골의 대형 품종을 들여와 어떻게든 토착, 개량해보려고 노력했으나 근대적인 유전학 지식이 부재해 여의치 않았다.
대신 전국에 양마장을 설치하고 질좋은 여진족의 말을 수입해서 제법 효과를 보았지만 임진왜란이 터지면서 제주도를 제외한 본토의 양마장 대부분이 파괴되었고 광해군 재임기엔 양마장 말들을 관리하던 감목관 직책이 사라지며 사실상 방기되었다. 인조시기 청의 위협에 맞서 육성을 지속적으로 시도했으나 계속된 기근으로 중앙군 급료도 챙겨주기 힘들 지경이라 여의치 못했다. 병자호란 이후 청의 지배질서 아래 편입된 이후에는 청에서 체격 좋은 중마(中馬)를 대량 수입하였다. 대신 조총이 널리 쓰이게 되면서 갑옷을 두껍게 껴입고 느리게 전진해 적 방진에 압력을 가하는 중기병은 사라지고 편곤이나 협도곤이 주무장에 여차하면 갑옷을 완전히 탈착하고 최대한 빠르게 적진을 찌르는 경기병으로 개편되었다.출처
참고로 무관들이 선비 따라한다고 너도나도 당나귀를 타고 다니는게 문제였다는 낭설이 오래도록 떠도는데 그거 출처가 사료가 아니라 이성주의 엽기조선왕조실록이라는 가십서다.
[image]
[image]
조선시대 안장
[image]
청나라 안장
사족으로 조선 후기 조랑말이 넘처나 조선의 안장이 더 높았다는 낭설이 종종 출처불명의 자료로 떠도는데, 한국 안장이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앞뒤의 턱이 높을 뿐, 실제 앉는 부분에 높이는 별 차이가 없다.
1970년대 군에서 박격포나 무반동포 수송을 위해 조랑말을 사용해 보려 한 적이 있었다. 덩치에 비해 힘도 쎄고, 폭음에도 덤덤한 편이었기에 좋은 평가를 받았지만, 사료를 따로 제공해야 한다는 번거로운 점과 그놈의 더러운 성질머리 때문에... 거기다 이 시기 경제개발로 식단이 개선되면서 입대자들의 체격도 커지면서 그냥 병사들이 뺑이치는 걸로 종결되었다.
외국의 포니도 결국은 조랑말의 한 품종이기에 학명은 말과 같은 ''Equus ferus caballus''. 몸이 작고 튼튼하며 성격이 온순하며 인내심이 강하다. 셔틀랜드 포니 등의 종이 존재하며, 제주마도 같은 품종으로 친다. 또한 이 말의 꼬리는 굉장히 예쁘며 모양이 좋아서, 머리를 이 말의 꼬리처럼 묶어서 올리는 형태는 포니테일이라 칭한다.

2. 종류



3. 기타


영미권 어린이, 특히 북미권 여아들은 조랑말(포니)을 좋아한다는 스테레오타입이 유명하다. 토이스토리의 악역 시드는 잠꼬대로 조랑말을 사달라고하고, 심슨 가족리사 심슨은 아에 정신줄을 놓는다. 자신만의 조랑말을 받고 조랑말의 갈기를 땋아주며 보살피는 것이 일종의 이상클리셰로써 자리잡은 듯. 이 성향을 보고 노린 마이 리틀 포니라는 유아용 장난감/캐릭터 상품/애니메이션도 있다.
버스 기사들 사이에서 '''중형버스'''를 조랑말이라 부르기도 한다(...).
[1] 물론 대량의 짐을 나르는 큰 달구지를 끌 때는 소를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