첩해신어
1. 개요
捷解新語. 조선 중기 1676년에 강우성(康遇聖)이 저술한 일본어 교습서. 총 10권 10책. 서울 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 저자인 강우성은 1581년생으로 임진왜란 당시 2차 진주성 전투에서 포로로 잡혀 일본에 끌려간 후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동군 소속으로 세키가하라 전투에 종군하기까지 하고 돌아온 인물로, 이후 조일 관계 정상화와 포로 쇄환에 힘썼다.출처: 세키가하라의 조선인
2. 내용
중국어나 몽골어, 만주어 교습서는 고려 말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노걸대가 있었으나 왜어노걸대는 전하지 못했다. 때문에 외국어의 번역과 통역 업무를 담당하던 관청인 사역원(司譯院)의 역관(譯官) 강우성이 일본어 학습을 위하여 책을 편찬하기 시작하는데, 1618년(광해군 10년)에 처음 원고가 탈고되었고 1676년(숙종 2년)에 교서관(校書館)에서 활자로 간행되었다.けくて 御さるほとに ゆるさしられ
계군뎨 ᅁᅩᅀᅡ루혼도니 유루사시라례
下口ㅣ오니 마ᄅᆞ쇼셔
술을 잘 못하는 사람[下口]이니 (술을 주지) 마십시오.
つしまにても こなたわ しやうくと ききおよひまるしたほとに しんしやく めさるな
주시마니뎨모 고나다와 쇼웅구또 기기오욤비마루시따혼도니 신샤구 몌사루나
對馬島셔도 자ᄂᆡᄂᆞᆫ 上口ㅣ신 줄 聞及ᄒᆞ엿ᄉᆞ오니 斟酌 마ᄋᆞᆸ소
대마도에서도 그대는 술을 잘 먹는 사람[上口]이라 들었으니 사양하지 마시오.
'''첩해신어 원간본(1676년) <1:18b> 2. 送使船問情 중'''
권1에서 권4까지는 동래와 부산포의 조선 관리와 부산의 왜관(倭館)에 거주하는 일본인과의 대화를 중심으로, 일본인의 내왕과 접대, 무역할 때 사용되는 회화들을 문답체로 엮었다.
권5에서 권8까지는 저자인 강우성이 1617년, 1624년 ∼ 1625년, 1636년 ∼ 1637년 세 차례에 걸쳐 조선통신사로 일본에 다녀왔는데 그 경험을 토대로 대마도, 오사카를 거쳐 에도를 왕복하는 동안에 일어난 일들을 학습하기 쉽게 대화체로 엮어 놓았다.
권9에서는 당시 일본의 8주(州)의 이름과 그에 속한 66군의 내용이 수록되어 있으며, 권10은 당시 대왜 관계에 쓰이던 각종 공문서나 소로문체(候文體)의 서간문 서식을 담았다.
히라가나를 한 문장씩 쓰고 한글 음을 나란히 쓴 다음, 연이어 한글로 뜻을 풀이한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문에는 탁음 부호를 전혀 표기하지 않았으나 정작 한글 발음 표기에는 탁음을 반영했는데, [ɡ][1] 는 'ᅁ', [z][2] 는 'ᅀ', [d][3] 는 'ᄕ', [b][4] 는 'ᄜ'로 표기했다. ('ㅿ'를 제외하면) 표기코자 하는 탁음과 같은 조음 위치의 '''유성''' 비음자(ㅇ, ㄴ, ㅁ)를 먼저 써 준 후, 같은 조음 위치의 무성 '''파열음'''자(ㄱ, ㄷ, ㅂ)를 이어 써서 탁음, 즉 '''유성 파열음'''임을 표기한 것.
그리고 탁음이 어두에 등장할 때는 ('ㅿ'를 제외하고) 상기한 'ᅁ, ᄕ, ᄜ' 등의 합용자를 썼으나, 탁음이 어중에 들어가는 경우엔 합용자 내의 앞 비음자를 앞 음절의 종성으로 당겨 씀으로써 합용자를 도로 나누어 표기한 것도 특징이다. 예를 들어 위 예문 첫머리의 'けくて'는 '계군뎨'로 옮겨져 있는바, 결국 '계구ᄕᅨ'가 되니 (え단의 모음자를 'ㅖ'로 표기했음을 감안하면) 'けくで'를 의도한 표기임을 알 수 있다. 뜻은 부사 '오히려, 차라리'. #
비음자를 먼저 써서 탁음을 표기한 것은 일본어의 역사와도 유관하다. '탁음의 전비음화설' 참고.
3. 목차
장차별 제목은 원간본까지는 없다가 개수본에서 추가되었다.
4. 의의
237건의 학술논문이 있을 정도로 조선 중기 일본어와 한국어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표음문자인 한글의 특성상 과거 일본어가 어떻게 발음되었는지를 알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된다. 예를 들어 일본어 は(하)행 자음의 경우, 처음에는 발음이 /p/였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발음이 무너져 /p > ɸ > h/ 순으로 변화되었다. 일본 문헌상으로는 글자는 그대로이고 발음만 변한 것이기에 이러한 변화를 알기 어려웠으나 "첩해신어"에는 '화(は)' 등으로 적혀 있어서 학자들이 당시 발음을 유추할 수 있게끔 해 준다. #
이후 만들어진 일본어 교습서인 인어대방과 함께 일본어 교육의 주 교재로 자주 사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