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기와
궁 후원에 연못을 팠다.
그 곳에 정자를 세우고 그 이름을 양이정(養怡亭)이라 했는데,
양이정에 청자를 덮었다.
- 《고려사》 의종 세가 11년(1157년) 봄 4월 중.
1. 개요
청자를 이용해 만든 기와. 혹은 청색을 띠는 기와.
고려시대 만월대 전각 중에는 청자기와를 얹은 '양이정(養怡亭)'이 있었다는 기록이 전해진다.[1]
조선시대에는 임진왜란 이전, 조선 전기 경복궁의 주요전각, 사찰들에 청기와를 덮었다는 기록이 전해지며 보통 용이나 봉황이 새겨져 있었다.
그러나 조선의 청기와까지 고려시대처럼 기와 하나하나 도자기 그 자체로 제작하였다기보다는 보통의 기와에 청색 안료와 염초 등을 이용하여 푸른 발색을 내고, 도자기를 굽듯이 구워 보통의 기와를 굽는 것보다 더 공들여 제작하였다고 추측된다.
[image]이렇게 생겼다.
실제로, 경복궁의 침전 영역 발굴시, 임진왜란 이전에 사용된 걸로 보여지는 다량의 청기와가 발굴된 적이 있다. *
임진왜란 이후에는 광해군이 각종 궁궐을 중창할 때, 청기와를 재현하기 위해 무던히 애썼으나 전쟁통에 장인들의 명맥이 끊겨 청기와를 제작하는데에 애를 먹었다고... 그러나 결국에는 제작을 하게 되어 인경궁을 중건할 때 정문과 정전, 침전 등 주요 건물에 청기와를 얹게 된다.
이 시기 외에는 정치/군사/경제적인 다각적 이유로 널리 사용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광해군이 인경궁 중건 시에도 조정 대신들의 반대가 심했는데, 이유는 조선시대 사용한 청기와는 파란 색깔을 내는데 당시 사용하던 흑색화약의 재료 중 하나인 염초[2] 가 상당량 들어갔기 때문. 염초란 게 원래 귀한 물건이었는데다 당시 명청 교체기+임란 직후라 국제 정세와 경제 모두가 피폐한 상황에서 국방용으로 투자해도 모자랄 염초를 왕궁 지붕 올리는 데 허비했으니... 사치도 그런 사치를 부린다고 신하들의 반대와 비판이 줄을 이었다.
현존하는 궁궐 전각 중에는 창덕궁 선정전이 유일하게 청기와를 덮고 있다.[3] 현대에는 청와대가 청기와를 얹은 대표적인 건축물이고, 일부 사찰에서도 청기와를 사용하고 있다. 청와대를 낮추어 부르는 속어로 쓰이기도 한다.[4] 일반 기와와 달리 겨울에 눈이 잘 안 쌓이고, 쌓여도 금방 미끄러지듯이 빠져서 쌓이지 않아서 좋다고.
현재도 주택건축 등에 건축재료로 사용된다. 단가가 꽤 비싸다고.
2. 청기와 찾아 삼만리
일제강점기 시절 개성국립박물관장으로 취임한 미술사학자 고유섭 등은 고려청자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해 청기와를 애타게 찾았다.
고유섭은 전설처럼 내려오던 청기와의 흔적을 찾아 고려시대 고분이 밀집된 개성을 집중 수색하다 1944년 세상을 떠나게 되고, 제자인 최순우가 그의 유지를 받들어 청기와 찾기 프로젝트를 이어나간다.
1963년 최순우 팀은 고려청자의 흔적을 찾아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에 도착하게 되었는데 어디서 소문을 들었는지 조사를 하던 최순우와 정양모 앞에 소쿠리를 든 아줌마가 나타나 자기 집 마당 앞에서 아들이 주운 '''청기와 파편'''을 발굴단에게 팔았고 그것이 단초가 되어 그 아주머니가 살던 초가집 마당에서 청기와 발굴 작업을 시행하게 되었다.
그곳에서 수십년 간 청자의 신비를 찾아 헤맸던 발굴단 앞에 마치 기다리기라도 한 것 처럼 500편 이상의 청자기 파편, 완전한 형태에 가까운 청기와 10여 개와 함께 '''거대한 고려청자 가마터가 발견되었다.''' 실전되었던 청기와가 그 실체를 드러내는 순간이였다."당시 역사 기록에 나오는 청자기와의 실물을 보고 가슴이 뛰어 말이 안 나왔습니다...
우현[5]
선생님, 이제야 선생님이 주신 숙제를 했습니다."
- 미술사학자 최순우 인터뷰 내용
이후 강진을 중심으로 188개에 이르는 고려청자 가마터가 발견되었다.
3. 관련 속담
청기와에 얽힌 속담으로 '청기와 장수'라는 말이 있다. 어떤 기와 장인이 각고의 노력을 들여 청기와를 구워내는 데 성공하고 큰 돈을 벌었는데, 청기와 만드는 비결을 자식에게까지도 알려주지 않고 혼자만 알고 있으려고 하는 바람에 대가 끊겨 비결이 실전되었고 여기에서 무엇인가 중요한 정보를 저 혼자만 알고 아무에게도 알려주지 않는 사람을 '청기와 장수'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설화. 채만식의 소설 태평천하에서도 윤 직원 영감이 어린 기생첩 춘심이에게 버스 무임승차하는 법(...)을 가르쳐주는 장면에서 "그런 걸 보니 청기와 장수는 아닌 모양이다"라고 돌려까며 이 속담을 인용한다.
[1] 국립중앙박물관에는 이 기록을 토대로 박물관 앞 연못에 청자기와를 얹은 정자를 재현하듯이 건축하였다.[2] 질산 칼륨.[3] 그 이유는 선정전이 바로 인경궁에서 옮겨온 건물이기 때문인데, 자세한 설명은 창덕궁 이나 인경궁 항목을 참고하자.[4] 그냥 청기와 또는 청기와집이라고도 한다[5] 고유섭의 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