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를 폰 클라우제비츠

 

[image]
1780. 6. 1 ~ 1831. 11. 16
Carl Von Clausewitz
1. 생애
2.1. 관련 문서
3. 그 외

프로이센의 군인이자 군사학자. 전쟁론의 저자이며 나폴레옹 시대의 '''탁월한 전략가 중 한 명이자 서양 최초의 군사 사상가이자 철학자라 불리는 인물.'''

1. 생애


프로이센 중류층 집안에서 태어났다. 고조부 증조부는 목사였고 할아버지는 역시 목사이며 유명한 신학교수였다고 한다. 삼촌중에 한 명도 목사였다하고 한다. 훗날 전쟁론 집필때 철학적 사유와 서술 방식엔 신학교수였던 할아버지의 학문적 영향도 있었다고 한다. 목사 집안 이었지만 클라우제비츠의 아버지는 프리드리히 대왕 밑에서 하급장교 중위를 지냈는데 전쟁이 끝나고 프리드리히 대왕의 엄명에 따라 군대에서 쫓겨난다. 원래 프리드리히 대왕은 부르주아들을 경멸해서 장교단에 받아들이지 않았는데 전쟁시엔 귀족수가 크게 모자라서 어쩔 수 없이 받아들였다가 전쟁이 끝나자 귀족 출신이 아닌 자들을 모두 쫓아낸 것... 그의 아버지는 전역 하고 나서도 장교출신임을 들어 '''Von'''를 쓰고 다녔다고 한다. 그런고로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서 신분상승 욕구와 군복무를 갈망했고 그의 형제중 3명이 같이 입대 했다고...
당시 12세에 참전[1]하여(…) 15세에 사관학교에 들어갔으며, 샤른호르스트에게 군사학을 배웠다. 그의 능력이 출중하여, 프로이센 왕실의 아우구스트 왕자 직속 부관이 되어 왕자에게 전쟁에 관한 것을 가르쳤다. 훗날 아우구스트 왕자와의 연줄 덕으로 국왕이 되는 왕세자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와 둘째 왕자 빌헬름(빌헬름 1세)도 가르쳤다고 한다...
그런 그가 살았던 시기가 프랑스 혁명 시기인지라, 인생의 상당부분을 나폴레옹 전쟁에 종군하게 된다. 1806년 예나 전투에서 후위대를 맡아 나폴레옹군을 저지하다가 사로잡혀, 파리에서 포로생활을 하기도 했다. 이후 귀국하여 샤른호르스트를 도와 군 개혁에 몸담았으나 1812년 패전한 프로이센이 프랑스의 요구에 의해 동맹을 맺고[2] 대러시아 원정에 꼬붕으로 끌려가 참전하자, '''탈영을 감행''' 프로이센 출신 탈영병 2만명을 모아 러시아군에 종군한다. 클라우제비츠는 '나폴레옹 군대와 대적하여 이긴 세력이 없으니, 나폴레옹의 군대보단, 나폴레옹의 군대를 유지하는 것을 상대해야 한다'는 게릴라전이나 물자 보급을 약화시키는 지연전을 주장하고, 이것이 먹혀들어 1812년 보로디노 전투 이후 나폴레옹이 몰락하는 한 주축을 담당하였다. 그리고 1813년 프로이센군과 접촉하여 프로이센이 대불동맹에 가담하는 계기가 된 프로이센 - 러시아 협력을 구축하였다. 러시아군 신분으로!
이후 해방전쟁의 결과 나폴레옹이 패배하고 귀양을 떠난 1815년에서야, 지난 군영 무단이탈과 적군에 대한 종군혐의로 찍혀있던 그는 프로이센 왕이 귀국을 허락해 사관학교 교장이 되었다. 이후 육군대학 교장과 포병감 등을 지내고, 이 시기부터 《전쟁론》에 손을 대어, 6-7장을 제외한 장의 초고를 사망하기 전까지 완성한다.
그나이제나우 장군 휘하의 참모장을 역임하다가 유럽 콜레라에 걸려 51세의 비교적 젋은 나이에 사망하고 만다.[3] 사후에 그의 부인이 전쟁론을 출판하였다.

2. 전쟁론


그의 저서 《전쟁론》은 아시아의 《손자병법》과 더불어 시대를 초월한 군사전략서로 꼽힌다. '전쟁은 정치의 연장선상에 있다' 라는 내용은 전쟁의 본질을 꿰뚫는 핵심적인 언급으로, 전쟁론을 읽지 않은 사람들도 많이 아는 말 중 하나다.
사실 꽤 많은 이들이 이 문장 하나만 보고 전쟁론을 접어버린다. 전쟁론은 유명세에 비해 제대로 읽은 사람은 전문가들 중에서도 흔치 않은 책이다. 민간인들은 군사 부문에 대한 배경 지식의 부족으로, 군인들은 클라우제비츠의 철학적 사유 방식에 대한 이해가 없어서 제대로 읽기 쉽지 않다. 거기다 책 자체도 난해하게 쓰였는데, 직접적인 서술보다는 문학적, 철학적 표현들을 많이 사용했다. 가장 결정적인 것은 클라우제비츠 본인이 책을 미처 완성하지 못하고 사망했기 때문에 내용 정리가 완전하지 않다는 것이다. 그런 관계로 전쟁론을 끝까지 읽은 사람도 드물 뿐더러, 그 중에는 오독하고 주화입마한 사람도 흔하다.

2.1. 관련 문서



3. 그 외


  • 히틀러가 마지막으로 내린 초토화 작전명이기도 하다.
  •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군의 클라우제비츠 사단.
  • 간혹 군대에서 정신교육 관련 문제가 나올때 정훈 장교들이 이 사람 이름을 묻는 경우도 있다. 장병들의 정신교육 교재들 대부분의 첫 페이지에는 이 사람 명언이 적혀있기 때문(...) 하지만 엘랑 비탈정신력 주의와 전쟁론의 "전쟁 의지"는 전혀 다르다.
  • 소설 혼블로워에서 주인공을 더 빛나게 하는 조연으로 나온다. 이론만 아는 백면서생으로 위급한 상황에서 혼블로워만 바라보는 안습한 역할이다.
  • 패러독스사의 게임 빅토리아에서 전쟁술을 쓴 앙리 조미니식 사고와 함께 초기에 선택할 수 있다. 조미니는 사기 120, 조직력 104, 클라우제비츠는 사기 76, 조직력 133이 된다. 대부분의 인공지능 국가가 조미니를 고르는데, 화력이 강해질 수록 조직력이 중요해지기 때문에 나중에는 클라우제비츠가 더 좋다. 다만 초기의 클라우제비츠는 약소국에게도 사기 문제로 신나게 발려나간다는 게 문제.
  • 문명 5에서는 그의 이름을 딴 클라우제비츠의 유산 이라는 정책이 등장한다. 무려 50턴 동안 모든 유닛에 어지간한 고유 유닛의 전투력 증가치보다 높은 25%의 증가치를 부여해줘 적 문명들을 손쉽게 요리하게 해준다.

[1] 지금이라면 소년병이니 뭐니해서 욕 먹을 일이지만 당시에는 흔했다. 일단 지금과 달리 당시는 최상류층마저도 평균 수명이 47세를 넘기지 못했던 시절이거니와 미국에서도 남북전쟁이나 필리핀 침략전쟁까지 10대 초반의 어린아이들이 당번병으로 잡일을 하던 건 흔한 일이었다. 영화 워털루에서도 프랑스군에서 북치는 아이들이 등장한다.[2] 틸지트 화약의 결과.[3] 참고로 이 때 이 콜레라로 그 유명한 프리드리히 헤겔과 클라우제비츠 등 여러 석학들이 사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