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네도 빌파

 


눈물을 마시는 새의 등장인물. 발케네의 대족장으로 등장한다.
두 손으로도 셀 수 없을 만큼 많은 족장을 참살하고 발케네의 '사내다움'[1]을 보여줌으로써 대족장의 뿔관을 가지게 됐다.
일종의 제왕병자지만 다른 제왕병자와는 달리 자신이 아닌 자신의 아들 대에서 왕이 나오길 바라고 있다. 그래서 차기 대족장으로 지목하고 있는 장남 그룸 빌파를 손수 지도하고 제왕에게는 폭 넓은 유대도 필요하다는 생각에 차남 토카리 빌파하인샤 대사원으로 보내 교육시킨다.
자신이 원하는 것을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지만 이는 발케네에서 자란 사내의 특성이라 할 수 있다. 실제로 그의 수단은 비열하고 치사하지만 대담하며, 빠른 상황 판단력과 일의 추진력을 가지고 있다.

케이건 일행이 하인샤 대사원에서 일으킨 사건들 [2]을 보고 하인샤 대사원에서 향후 세상의 판도를 가를 대사건이 벌어지는 중이라고 판단한 토카리가 보낸 서신을 받고 장남 그룸을 대동하고 하인샤 대사원에 왔다.[3] 이후 도착한 지 한 시간도 되지 않아 승려들에게는 들을 것이 없다는 것, 중요 인물이 무학당에 있다는 것, 승려들이 그들을 무학당에 보내주지 않을 것이라는 걸 간파하고 거침없이 무학당으로 쳐들어간다. 하지만 티나한을 만나 한 걸음 물러난다.
이후 하인샤 대사원에 체류하던 중 케이건 드라카괄하이드 규리하의 이야기를 엿들은 토카리 빌파의 말을 듣고 케이건의 검이 영웅왕의 검이라는 것을 알게 되고 발케네 사내답게 이를 훔치려고 한다.
코네도는 다른 부족이 자신의 부족을 침략했다는 핑계를 대고 돌아가는 척해서 알리바이를 만든 후 륜 페이가 머무는 무학당에 불을 질러 케이건이 륜을 구하러 간 틈을 타 바라기를 훔친다. 발자국 없는 여신의 힘을 얻은 륜 페이가 불을 끄기 위해 부른 폭우 속에서 케이건을 거의 죽일 뻔했지만, 열을 볼 수 있는 사모 페이가 참전하자 삽시간에 오른손을 잘리고 만다. 하지만 사모가 케이건을 염려해 적극적으로 덤비지 않았기에 훔친 바라기를 들고 희희낙락하면서 도망에 성공하는 듯했으나, '''7미터짜리 철제 회초리로 곤란한 도벽을 훈도할 만반의 준비가 되어 있는 레콘'''에게 잡혀 대사원의 곳간에 갇히고 만다. [4]
대사원에 불을 지르고 그 과정에서 이름 모를 스님과 케이건을 죽이려 했기에 큰 벌에 처해질 것 같았으나, 2차 대확장 전쟁에서 자신의 두 아들과 함께 활약하는 모습으로 재등장한다. 다만 사령관직인 괄하이드 규리하라수 규리하는 몰라도 세미쿼무핀토, 키타타 자보로, 지코마 펠독스 등의 다른 호족들이 장군직을 달고 있는 반면 발케네의 대족장이라는 코네도는 격이 떨어지는 '교위'이고 두 아들들은 한 단계 더 낮은 '부위'이다. 전장에서의 포지션 자체가 군사를 지휘하는 것이 아니라 투명화 상태에서 중요 인물들을 무력화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직위가 낮은 것일 수도 있고, 아니면 전쟁 직전에 저지른 무도한 범죄 때문에 조인트를 까인 것일 수도 있다(...). 참고로 사모에게 한 팔이 잘린지라 갈아끼울 수 있는 의수 시스템을 장착하고 나온다. 도저히 믿을 수 없다는 평판의 발케네 도적놈인데다 과거 저지른 행각도 있어서 배신할지 모른다는 위험 요소가 있었지만 의외로 끝까지 충실한 아군으로 활약한다. 특히 최후에는 도깨비 감투를 쓰고 비아스 마케로우의 손아귀에서 를 구해내는 결정적인 활약을 해낸다.

"발케네 도둑놈들!"
티나한의 외침에 코네도는 씩 웃었다. 그는 사이커를 움켜쥔 자신의 오른손을 통째로 분리해 버리고는 그곳에 다른 의수를 끼워넣으며 말했다.
"도둑이라면 이쯤은 돼야지."
"그래, 잘했다!"
- 사모 페이를 구한 빌파 3부자를 칭찬하는 티나한, 눈물을 마시는 새 4권 17장 中


천일전쟁에서도 자식들과 함께 도깨비 감투를 쓴 암살자로서 활약했지만, 전쟁이 끝나자 감투를 잃어버렸다고(...) 주장하는 발케네스러운 먹튀력을 보여주었다. 그 때까지 세운 공로가 지대했기도 하거니와, 무법자들의 땅 발케네를 하나로 통합하기 위해서는 공신인 빌파 삼부자가 도깨비 감투를 갖고 있는 것이 꼭 나쁜 것도 아니긴 하다. 하지만 감투의 소유권은 어디까지나 즈믄누리에 있기 때문에, 빌파 삼부자는 대놓고 감투의 힘을 쓰기보다 위협의 수단으로 애용하게 되었다고 한다.
피를 마시는 새에서 나오는 발케네의 강대한 힘을 생각하면, 비록 아들을 왕으로 만드는 데 실패하긴 했지만 그럭저럭 성공적인 자식 농사를 지었다고 할 수 있다. 장남인 그룸이 귀족원에서도 먹어주는 서열인 발케네공으로서 황제랑 기싸움을 할 정도였고, [5] 직계 손자인 락토 빌파 또한 황제를 사냥할 계획을 세우는 대담한 걸물이었으니....

[1] 적의 집에 불을 지르고 상대방의 우물에 독을 풀고 항의하러 온 적수의 아들의 혀를 뽑아 돌려보내는[2] 하늘치를 불러내려 두억시니 3천 마리를 학살한 일, 사모 페이가 대호와 두억시니를 대동하고 대사원을 습격한 일, 륜 페이가 아스화리탈을 거느린 것 등[3] 하인샤 대사원과 발케네는 도보로 두 달이 걸리는 거리지만 코네도는 말을 죽여가며, 즉 지쳐 죽을 때까지 탄 다음 갈아 타며 여드레만에 도착했다.[4] 이때 티나한은 륜이 불러내린 비구름 때문에 대사원에 들어가지 못하고 근처에서 서성이고 있었다.[5] 작중 묘사로 볼 때 규리하 변경백 바로 다음인 최고위 귀족이다. 황제가 규리하를 처리하자 바로 발케네를 칠 생각을 하는 것이나 비록 황제가 없는 상태였고 남부의 특수성이 있었다 해도 제국군 총 병력중 약 40퍼센트를 사병으로 부린 시모그라쥬 공작과 동맹을 맺는다는 점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