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평채

 

1. 개요
2. 관련 문서


1. 개요


[image]
영조탕평책을 상징하는 한국의 '''궁중 요리'''.
녹두로 만든 청포묵, 쇠고기, 미나리, 은 반드시 들어가며, 이는 각 붕당을 상징하는 사방신의 색과 일치한다.[1] 버섯(보통은 표고)과 숙주나물이 들어가기도 한다. 사실 녹두에 싹을 틔운 것이 숙주나물이니 잘 맞는 셈이다. 갖가지 재료들이 한데 섞여 있는 것에 착안해서 당파 대립을 최소화하는 것을 기도했다고 한다. 먹을 때에는 비빔밥마냥 골고루 섞어서 먹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한국의 음식 문화 권위자인 주영하는 과거에는 김이 들어가지 않았으니 탕평채가 사색 당파를 상징한다는 것은 근거가 부족하고, 조재삼의 <송남잡지>라는 책에서 오히려 영조 시대 좌의정 송인명이 탕평채 파는 소리를 듣고 탕평 사업을 추진했다는 말이 있어 탕평책으로 인해 탕평채가 생겨난 것이 아니라 탕평채라는 이름에서 오히려 탕평책이라는 이름이 생겨났다고 보는게 옳다고 주장했다.
궁중 요리치고는 참 쉬운 레시피를 자랑한다.(레시피 보러가기) 아닌 게 아니라 묵에 재료를 넣고 무쳐낼 뿐인 요리로, '탕평채'라는 이름이 붙었을 뿐 다른 묵 무침 요리, 혹은 잡채와 전혀 다를 것이 없다. 다만 먹을 때는 후딱 먹어치우기 쉽고 요리도 잘 무쳐서 내는 것 뿐이지만 (잡채류 요리가 그렇듯이) 재료를 하나하나 준비하는 것이 상당히 고된 노동이기 때문에 나름 중요한 요리 취급이다. 일단 묵 자체도 제대로 만들려면 대단히 고된 것이고, 탕평'채'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 부들부들해서 잘 뭉개지는 묵을[2] 가늘게 채썰고 다른 재료들도 가늘게 준비하는 과정이 대단히 손이 많이 간다. 즉 탕평채냐 청포묵 무침이냐는 사실 묵을 얼마나 가늘고 예쁘게 채썰었는가에 달려 있으며 제대로 만든 탕평채는 한정식 코스 요리 중 하나로 취급할 정도다.
녹두와 마찬가지로 의 종류인 동부를 사용한 동부묵이란 것도 있는데, 동부 자체가 탄수화물 함량이 높기도 하고 또 보통 중국이나 동남아(보통은 미얀마)산 동부를 왕창 사용하기 때문에 대단히 싼 값에 묵을 만들 수 있다. 국산 청포묵과는 최소한 5~6배 가격 차이가 있다. 문제는 청포묵과 거의 구분이 안 된다는 것이다. 묵의 식감이야 어차피 거기서 거기인 것이고 향의 차이가 조금은 있지만 무쳐 놓으면 거의 구분이 안 될 정도다.
김치 크로니클에서 탕평채를 섞어먹지 않는 장 조르주를 보고 마르자가 "조화와 화합을 실천하지 않는다"라고 일침을 놓은 바있다.

2. 관련 문서



[1] 구성은 동 - 청룡(미나리), 서 - 백호(청포묵), 남 - 주작(쇠고기), 북 - 현무(김).[2] 청포묵 자체는 탱글탱글해서 다른 묵 보다는 채썰기 쉽다. 어디까지나 다른 묵에 비교해서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