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베트남 관계

 



[image]
[image]
'''태국'''
'''베트남'''
1. 개요
2. 역사적 관계
2.1. 현대 이전
2.2. 현대
3. 문화 교류
3.1. 스포츠
4. 관련 문서


1. 개요


태국베트남의 관계. 국경이 붙어있지는 않지만 거리상 가까운 두 국가간의 사이는 썩 좋지 않다.

2. 역사적 관계



2.1. 현대 이전


역사적으로 태국은 동쪽과 북쪽으로 베트남은 남쪽으로 진출해 왔는데 결국 이들은 19세기에 라오스와 캄보디아 지역에서 충돌해 이 지역의 주도권을 놓고 계속 싸웠다. 그 와중에 라오스와 캄보디아에게서 땅을 삥뜯어 넓힌 건 덤.(참고로 이 와중에 베트남뿐 아니라 태국도 프랑스의 압력으로 한두걸음 물러섰다. 나라 자체가 살아남았느냐 병합당했느냐 여부는 별론으로.)

2.2. 현대


현대에 와서도 태국은 공산주의 확산을 막기 위해 베트남 공화국과 수교하고 베트남 전쟁 때 남베트남 측으로 태국군을 파병했다. 태국은 북베트남을 국가로 인정조차 하지 않았다. 남베트남의 공산화 이후 양국간의 관계는 끊어졌다가 1986년 베트남의 개혁개방으로 대외 관계를 개선하면서 다시 수교했다.
거리가 가깝고 산업 구조가 비슷해서 왠지 라이벌 같은 느낌이 강하지만, 사실 국력과 경제력에서는 태국이 베트남을 압도하고 있다. 동남아시아의 산업 구조 특성상 자체적인 대기업을 성장시키기보다는 해외의 글로벌 기업의 생산기지를 유치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 역사도 수도 태국이 베트남을 압도적으로 상회한다.[1] 베트남이 더 많은 인구에도 불구하고 총 GDP는 태국의 반 밖에 되지 않으며, 1인당 GDP는 3배 가까이 차이가 난다. 인구의 이동(유학, 노동 등)도 태국→베트남보다는 베트남→태국이 훨씬 많다. 노동의 경우, 학력이나 경제력의 문제로 일본, 한국, 대만 등에 가지 못 하는 베트남인들이, 그나마 비자를 받기 쉬운 태국에서 3D 업종이나 단순 노동에 종사하기도 한다.[2] 그리고 외국인 관광객 수나 국제교류 역시, 태국이 국제적인 인지도도 훨씬 높고 방문객도 많다. 애당초 태국의 국제선 노선 수와 취항지부터가 베트남 따위와는 비교조차 되지 않을 정도로 많다. 그 외에, 공공교통, 교육, 의료, 사회복지 등에서도 베트남이 어느 하나 태국을 이기는 부분이 없다. 그래서 베트남인들은 태국을 라이벌로 생각하고 있을지 몰라도, 대부분의 태국인들은 베트남을 인구만 많은 후진국으로 생각한다. 정작 태국인들이 보편적으로 라이벌로 느끼는 나라는, 베트남 입장에서는 쳐다볼 수도 없는 말레이시아이다. 다만 현재 베트남과 태국의 차이는 베트남이 1945년 인도차이나 전쟁,배트남 전쟁으로 30년간 전쟁을 겪었고 온 국토가 쑥대밭이 됐고 80년대 이후에야 도이머이 정책을 써서 개방을 했기때문이다. '''오히려 미래의 성장가능성은 베트남이 태국보다 훨씬 큰 것으로 평가되고 있고''' 최근 태국은 큰 발전 없이 그냥 정체되어 있는 상황이다.특히 정치적 불안이 큰 문제가 되고 있다.

3. 문화 교류


문화적으로도 베트남은 유교, 도교, 대승 불교한자 문화권, 태국은 상좌부 불교 문화권이다.

3.1. 스포츠


틈만 나면 축구로 투닥투닥하고 디스전을 벌이지만 그동안 태국이 압도적으로 우위에 있어서[3] 베트남의 태국 디스는 별 효과 없었다가 2018년부터 베트남이 치고 올라가고 태국이 반대로 내려가며 역전당했다. 이점은 태국 축구계나 축구팬들도 어쩔 수 없이 인정하고있다.

4. 관련 문서


[1] 베트남은 최근에 들어서야 삼성전자를 비롯한 한국계 기업이 일부 진출하기는 했지만, 아직까지는 절대적인 규모가 크지도 않고 그것이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정도로 오래되지도 않았다. 반면, 태국은 오래 전부터 글로벌 기업들의 동남아 기지로서 역할해 왔으며, 분야도 경공업부터 첨단 산업까지로 폭넓다. 특히 일본이나 대만과의 연대가 깊고 견고한데, 단순히 공장 세우고 부품 조립 시키는 것으로 끝이 아니라, 생산 라인 자체를 이전해서 현지의 전체적인 노동의 질 향상에도 투자하고 있다. 최근에는 태국의 기술력이 올라오자, (엔트리급 제품에 한정되지만) 자국의 내수용 모델까지도 태국에서 역수입 해오는 수준에까지 이르렀다. 닛산 마치가 대표적인 예.[2] 태국까지 가서 3D 업종에 종사한다는 것에 아이러니한 감정을 느끼는 사람도 있겠지만, 선진국인 일본, 한국, 대만, 싱가포르 등에서야 태국인들이 저렴한 후진국 외국인 노동자 취급을 받아도, 사실 인도차이나에서 태국의 영향력은 막강해서, 베트남, 캄보디아, 미얀마, 라오스 등의 주변 개도국들에게는 기회의 땅 취급을 받고 있다.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서, 한국에서 보편적으로 태국태국인을 바라보는 시선으로, 태국인이 저들을 바라보고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물론 이것은 태국이 절대적으로 잘 살기 때문이 아니라, 동남아시아의 나라들이 대체적으로 너무 못 살기 때문이 크지만.[3] 월드컵 예선, 아시안 컵, 스즈키 컵, 올림픽 예선, SEA GAMES 등등 뭐 하나 태국 압살이 아닌 게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