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스칼의 내기
1. 개요
프랑스어: Pari de Pascal
영어: Pascal's Wager
프랑스의 수학자 블레즈 파스칼이 제시한 기독교/철학 변증법.
신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와 신이 존재할 경우, 두 가지 중 후자의 확률이 아무리 희박하더라도, 신이 실제로 존재할 경우 신의 존재를 부인하는 것이 궁극적으로 큰 손실을 가져다준다는 것이 요지.신이 존재하지 않지만 신을 믿을 경우 (신 없이는 죽음이 끝이라는 가정 하에) 잃을 것은 아무것도 없지만 신이 존재하고 신을 믿으면, 다시 말해 옳은 선택을 했다면 영원한 행복을 얻게 되는 것이다.
반면 신이 존재하지 않고 신을 믿지 않는다면 (마찬가지로 죽음이 끝이라는 가정 하에) 얻는 것이 하나도 없으나 신이 존재하는데 신을 믿지 않으면 지옥으로 떨어질 것이다.
종교가 없는 사람이나, 단순히 종교가 없는 걸 떠나서 종교와 신을 부정하는 무신론자에게도 나름 합당한 말처럼 들리기 때문에 이 말을 듣고 신을 믿기 시작하는 경우가 더러있다.
종교 뿐만 아니라 확률론, 주의주의, 실존주의 등에도 골고루 영향을 끼친 논제다.
2. 반론
2.1. 비기독교적 비판
단순히 수지타산만 따지면 꽤나 합리적인 이론인 것 같아 보이긴 하지만... 파스칼의 내기의 치명적인 오류는 '''바로 이 세상의 종교가 오직 기독교만 존재하는 세계관만 고려하는 것이다.''' 즉 신이 존재하는 경우를 오로지 야훼의 경우만 따진다는 것. 현실에는 기독교 외에도 이슬람, 유대교, 불교, 힌두교, 여러 이단, 사이비 종교 등의 수많은 종교와 다양한 종파, 신이 있으며, 내기에서 가정하는 기독교 내에서도 가톨릭 · 정교회 · 다양한 개신교 교파 등의 종파가 나뉘어 있으며, 일부 종파는 서로를 이단으로 여기는 경우도 있기에 제대로 따지려면 우리가 생각하지도 못한 "신"의 경우도 따져야 한다. 즉 "기독교를 믿은 경우의 수" 하나와 "신을 믿지 않은 경우의 수" 2개의 경우뿐만 아니라 아니라 "A라고 하는 신을 믿은 경우의 수", "B라고 하는 신을 믿은 경우의 수" 등등이 존재하며, 기독교를 믿은 경우의 수는 1/2의 경우가 아니라 '''무한의 가까운 경우의 수 중 단 하나'''일 뿐이다. 그런데 하느님을 믿으면 잃을 게 아무 것도 없다고 생각해 이승에서 열심히 하느님을 믿었는데, 정작 죽어 보니 자기가 이승에서 열심히 믿었던 하느님이 아니라 자신을 믿지 않는 자는 지옥에 보내는 '''다른 신'''이 다스리고 있다면?[2] 혹은 악마가 결국 패권을 잡은 상태라서 거꾸로 하느님을 믿는 사람만 지옥에 보낸다면?[3]
우선 종교적 신념이 손익 계산의 대상이 될 수 있느냐는 질문과 함께[4] , 설령 이런 계산 끝에 종교를 가진다고 한들, 모든 것을 볼 수 있다는 그 전능하신 하느님이 이것을 '진정한 신앙'으로 여길 것인가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남는다. 왜냐, 저 말대로라면 하느님을 믿는 것이 진실된 믿음이 아니라 자기가 혹시라도 지옥 안 가고 하느님이 진짜 있으면 이익이니 하느님을 믿자는 건데, 그게 하느님을 제대로 믿는 거냐는 반론이 있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파스칼이 이 말을 한 것이 하느님의 존재증명과는 큰 관계가 없다고도 한다. 10대에 이미 계산기를 발명하고 그 데카르트와 학문적으로 맞장을 떴던 사람이, 이런 허술한 논리로 어떤 증명을 하려 들 리 없다는 것.
또한 이 주장은 주장 자체가 17세기 유럽에서 시작된 만큼 '''아예 그리스도교적 가르침을 기본적인 전제로 깔고 시작한다.''' 애초에 하느님을 믿지 않으면 지옥에 간다는 것을 누가 정했는가? 상단의 예시 문장에서 '하느님' 부분만 아무것으로나 바꿔서 생각해 보면 된다. 논리적 오류 중 하나로, 이름을 하나 제시하자면 바로 이런 걸 "가정 망각의 오류"라고 부른다.
이 내기에는 중요한 부분이 빠져있다. 내기의 내용의 손익계산은 '유신/무신' x '신앙/무신앙'인데, 정작 현실의 경우에는 '유신/무신' x '신앙/무신앙' x '믿음의 대가 유/무'로서, 믿는다고 해서 손해볼 게 없다고 하는데 '''이는 틀렸다.''' 가볍게는 신앙생활을 하면서 시간이나 심력, 재산등을 투자해야하고 종교 규율을 따라야 하는 노력 혹은 제약이 따른다. 무겁게는 종교로 인한 여러가지 사회적 문제점들을 감수해야 하는 대가도 치러야 하는 것이다. 만약 당신이 사이비 종교를 믿는다면 대가는 더욱 커질 것이다. 또한 위에 언급된 것처럼 전능한 하느님이 '''기독교인을 혐오'''하는 하느님이라 등이 언급되고는 한다. 이 경우에는 같은 논리로 안 믿는 것이 이득이다! 이 경우 파스칼이 애당초 하느님의 존재 가능성 그 자체에 대해서 논하지 않았음을 지적하는 식의 반론과 엮어서 언급된다. 또한 있는지 없는지도 모를 하느님이 내려주는 보상이 제아무리 크더라도, 지금 당장 주머니 속의 10원짜리 한닢보다 낫다고 말할 수 없다. 다만 하느님을 믿음으로서 얻는 보상 중에는 심리적인 위안 같이 확실하게 현실에서 얻을 수 있는 것도 일부 존재한다는 점은 감안해야 한다.
2.2. 기독교 내적 비판
게다가 분명히 믿음의 대가가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이 문제는 전형적인 give and take의 경우에 해당하는지라 사후세계의 보상이 무엇인지 정확히 파악하여 이러한 대가들과 비교해 보아야 하게 된다는 것도 문제가 된다. 즉, 논의 자체가 상당히 계산적으로 변하는 바람에, 정작 종교에서 말하는 신실함과는 십만광년쯤 떨어진 이야기가 된다는 것.
그리고 애초에 이러한 이유 때문에 종교를 믿는다는 사실은 종교의 본질과 좀 거리가 있는 선택이다. 당장 기독교만 봐도 그렇게 진심이 없고 단순히 합리적인 생각으로 그런다면 진심으로 믿기는 어렵기 때문.
한 종교인은 파스칼의 내기를 부정하진 않았지만 '''"신앙은 평생에 걸쳐 쌓아 올리는 것인데, 평생 믿지 않았던 것을 죽을 때가 됐으니 믿자고 자신의 마음을 가볍게 바꿀 수 있겠느냐??"'''며 돌려깠다.
13:2 내가 하느님의 말씀을 받아 전할 수 있다 하더라도 온갖 신비를 환히 꿰뚫어 보고 모든 지식을 가졌다 하더라도 산을 옮길 만한 완전한 믿음을 가졌다 하더라도 사랑이 없으면 나는 아무것도 아닙니다.
고린토전서 13장
3. 오해
다만 한가지 명심해두어야 하는 사실은 파스칼은 어디까지나 인간 사고방식의 예시를 둔 것뿐이고 '''본인 또한''' 그렇게 좋은 기독교 논증법이 아니라는 것을 인정했다.
4. 여담
여러가지로 논리적 오류가 있긴 하지만 죽음을 눈앞에 둔 상황에서는 설득력있게 느껴지기도 하는 모양이다. 머리 좋기로는 세상에서 둘째가라면 서러워 할 존 폰 노이만마저도 죽기 직전에 가톨릭으로 귀의하면서 파스칼의 내기에 큰 영향을 받았다고 고백할 정도였으니... 다만 노이만이 가톨릭에 귀의할 당시에는 이미 암에 걸려서 시한부 상태였다는 점은 감안해야 한다. 평소 건강할 때에는 불가지론자였다고 하니 어쩌면 물에 빠진 사람이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이었는지도 모를 일이다. 다만, 그의 병자성사를 집전한 신부의 말에 따르면 정작 노이만 자신은 가톨릭에 귀의한 후에도 그다지 큰 위안을 얻지는 못했다고 한다. 죽기 직전에 갑자기 귀의한다고 해서 평생 믿지 않았던 것들을 진심으로 믿게 될 수 있었을지는 생각해 볼 문제.
파스칼이 도박의 해악을 경계하여 한 말로 알려진 '''"도박하는 모든 사람은 불확실한 것을 얻기 위해서 확실한 것에 돈을 건다."'''도 사실은 파스칼의 내기와 관련이 있는데, '''"어차피 모든 도박은 불확실하므로..."'''라는 의미.
지구 온난화같은 문제 또한 파스칼의 내기에 비교하기도 한다. 환경 보호에 투자해서 얻는 이익이 긍극적으로는 지구가 황폐화되는 것보다 낫다는 논리.
웹툰 작가 이말년이 이 문제를 주제로 삼아 2012년 10월 둘째 주 분량부터 연재를 했다.
[1] 원작은 'Rusell's Teapot'이라는 웹코믹. 원본 링크[2] 힌두교에 전래되는 어떤 이야기는 무신론자가 '''"신은 없다!"'''라고 죽을 때까지 되뇌이다가 '''죽어서 신이 되었다'''는 흠좀무한 이야기도 있다. 그가 신이 없다고 되뇌임으로써 신의 존재를 계속 인지하고 있었으므로. 다만 이건 악마도 신에게 기도하고 수련하면 그 결과가 나올 정도로 유니크한 힌두 신화의 특성 때문이니, 다른 종교에서도 이런 로또를 바라진 말자. 무엇보다 힌두교의 신들은 수천만 수억이라고 할 정도로 그 숫자의 인플레이션이 심해서 별 거 아니다. 신사에 모셔진 것을 신이라고 본다면 일본 신토 정도가 힌두교와 신 머릿수로 붙어볼 만할 것이란 말이 나올 정도니 뭐. 그나마도 인도는 신이 3억인데 일본은 관용어적으로나마 8백만이라 칭해지는 게 고작(?)이다.[3] 이 내기의 주요 포인트는 매우 큰 보상을 얻고 싶어서 존재확률을 무시하는 것인데, 하느님을 안 믿는다고 지옥에 보내는 하느님이나 하느님을 믿는다고 지옥에 보내는 악마나 과학적인 존재확률은 '''차이가 없다!''' [4] 더글라스 애덤스는 '당신을 위해 믿는 일을 대신하는' 수도자 로봇으로 이 논리를 조롱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