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원군(평안남도)

 


平原郡 / Phyŏngwŏn County
평원군
平原郡 / Phyŏngwŏn County
국가
북한
광복 당시 면적
985.05㎢
광역시도
평안남도
광복 당시 행정구역
16면
시간대
UTC+9

1. 개요
2. 역사
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기준 행정구역
4. 이북5도위원회 기준 행정구역
4.1. 구 영유군 지역
4.2. 구 숙천군 지역
4.3. 구 순안군 지역
4.4. 구 평양부 지역
4.5. 구 증산군 지역
5. 출신인물


1. 개요


평안남도 서북부에 위치한 군이다. 서쪽은 황해에 접하며 서북쪽으로 갈수록 이름 그대로 평원이 넓어지는 지형이다.
대한민국 행정구역상 16개 면으로 구성된다. 면적 985㎢.

2. 역사


한사군 시대에는 낙랑군(樂浪郡) 혼미현(渾彌縣)이었다.
이후 조선시대에는 왕이 머무는 영유행궁이 지어졌다.
본래 영유군, 숙천군, 순안군이라는 세 군으로 나뉜 지역이었다. 그러다가 1914년 시행된 부군면 통폐합으로 평원군으로 통합되었다.
그러다가 1952년 북한이 숙천, 순안군[1]을 부활시키면서 현재 북한 행정 구역상 평원군은 영유군 지역만 남은 상황이다.

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기준 행정구역


량교리, 신성리, 룡상리, 원압리, 송림리, 월일리, 대정리, 운흥리, 운봉리, 덕제리, 덕포리, 심원리, 송화리, 화진리, 신송리, 청보리, 남산리, 청룡리, 운룡리, 배전리, 석교리, 송석리, 대암리, 삼봉리, 룡이리, 원화리, 삼송리, 석암리, 대풍리로 구성되어 있다.

4. 이북5도위원회 기준 행정구역



[image]
[image]

4.1. 구 영유군 지역


  • 평원면(平原面)
    • 관할 리 : 이화(梨花), 괴천(槐泉), 대부(大夫), 부용(芙蓉), 송석(松石), 어은(漁隱), 어파(漁坡), 영덕(永德), 원류(元柳), 월정(月晶), 월평(月坪), 자일(紫逸), 장림(長林), 화림(華林)
    • 면소재지와 군청소재지는 이화리. 본래 영유군이었기 때문에 일명 '영유(永柔)'라고 불리는데, 1914년 부군면 통폐합으로 영유면이 되었고, 1929년 평원면으로 개칭되었다. 이화리에 군청이 있었다. 영덕리에 있던 삼충사는 제갈량(諸葛亮)·악비(岳飛)·문천상(文天祥)을 모신 사당이었다.
    • 관내에 경의선 어파역이 있다.
  • 노지면(鷺池面)
    • 관할 리 : 용정(龍井), 대송(大松), 대주(大洲), 문명(文明), 석소(石蘇), 쌍암(雙巖), 용당(龍堂), 용암(龍巖), 정림(旌林), 추흥(楸興)
  • 동암면(東巖面)
    • 관할 리 : 산음(山陰), 도전(都田), 동석암(東石巖), 둔전(屯田), 문암(門巖), 반송(盤松), 부백(孚白), 산양(山陽), 상탄(上灘), 서문(西門), 서석암(西石巖), 송석(松石), 신평(新坪), 신흥(新興), 암적(巖赤), 어중(御重), 용산(龍山), 용우(龍隅), 용이(龍二), 원화(元和), 율일(栗一), 율화(栗花), 조산(造山)
    • 1917년 용흥면(龍興面)이 석암면(石巖面)으로 개칭되었고, 1929년 구 순안군 지역이었던 동두면(東頭面)과 합병되어 형성되었다. 좌우로 길게 뻗은 형상으로, 면소재지 부근에 경의선 석암역이 있다.
  • 용호면(龍湖面)
    • 관할 리 : 연교(蓮橋), 관성(館城), 남양(南陽), 뇌송(雷松), 당우(堂隅), 매전(梅田), 안연(安淵), 약전(藥田), 어당(魚塘), 용강(龍岡), 운봉(雲鳳), 응오(鷹烏), 장평(獐坪), 중항(中巷), 청운(靑雲), 판교(板橋)
    • 서해와 면하는 지역으로 남양염전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북한에서는 이 염전에서 평남 소금의 1/3이 생산된다고 한다.
  • 청산면(靑山面)
    • 관할 리 : 구원(舊院), 개수(价水), 계산(桂山), 교산(橋山), 금봉(金峰), 남흥(南興), 보방(寶坊), 송현(松峴), 용암(龍巖), 운송(雲松), 운탑(雲塔)
  • 해소면(海蘇面)
    • 관할 리 : 금학(金鶴), 난산(爛山), 내덕(內德), 송정(松井), 용교(龍橋), 용현(龍峴), 월현(月峴), 종률(種栗)
    • 바다 海가 들어가 있지만 서쪽 끄트머리를 제외하고는 바다에 접하고 있지 않다.

4.2. 구 숙천군 지역


아래 지역은 조선시대 숙천군의 영역에 해당한다.
  • 검산면(檢山面)
    • 관할 리 : 검흥(檢興), 검서(檢西), 검양(檢陽), 송양(松陽), 신성(新成), 신지(薪枝), 용포(龍浦), 터산(攄山), 학산(鶴山)
  • 동송면(東松面)
    • 관할 리 : 월봉(月峰), 군자(君子), 백석(白石), 백운(白雲), 송현(松峴), 수암(壽巖), 용담(龍潭), 운룡(雲龍), 운평(雲平), 청룡(靑龍)
  • 서해면(西海面)
    • 관할 리 : 사산(蛇山), 광천(廣川), 남포(南浦), 당오(唐塢), 보덕(補德), 보원(補元), 신덕(新德), 연풍(延豊), 용산(龍山), 원흥(元興), 중흥(中興)
    • 평원군의 서북쪽 끝에 있는 면으로, 이름대로 서쪽은 황해와 접한다. 철도는 남동선이 지나가며 염전역, 남동역이 있다.
  • 숙천면(肅川面)
    • 관할 리 : 관전(官前), 관동(館東), 내동(內洞), 당하(堂下), 덕수(德水), 도덕(道德), 만흥(晩興), 미남(嵋南), 백로(白鷺), 사직(社稷), 성남(城南), 송저(松底), 신남(新南), 신흥(新興), 심정(深井), 통덕(通德)
    • 구 숙천군의 중심지. 경의선 숙천역이 있다.
  • 조운면(朝雲面)
    • 관할 리 : 갈산(葛山), 성덕(聖德), 송천(松千), 순정(順井), 응암(鷹巖), 재정(財井), 조운(朝雲), 태평(太平)
    • 숙천면 바로 서쪽에 있던 면.

4.3. 구 순안군 지역


아래 지역은 조선시대 순안군의 영역에 해당한다. 이외에도 동암면 둔전리·문암리·반송리·부백리·산음리·서문리·어중리·용우리·용이리·율일리·율화리(구 동두면)가 구 순안군 영역이었다.
  • 공덕면(公德面)
    • 관할 리 : 흥운(興雲), 간(間), 괴전(槐田), 법흥(法興), 병상(竝上), 산송(傘松), 상이(上二), 성교(城橋), 송매(松梅), 신교(新郊), 신화(新和), 양수(兩水), 용암(龍巖), 용흥(龍興), 원(院), 장재(長財), 적암(積巖), 퇴남(退南), 퇴상(退上), 퇴현(退峴), 향암(香巖)
    • 군의 동쪽에 있는 면으로 1929년 공평면(公平面)과 자덕면(自德面)이 합병되어 형성되었다. 평안저수지가 있으며 법흥사가 남아있다.
  • 순안면(順安面)
    • 관할 리 : 남창(南昌), 관북(館北), 구교(舊校), 구서(九瑞), 군상(郡上), 남산(南山), 담화(曇華), 사직(社稷), 상양(上陽), 성이(星二), 성일(星一), 수우(水隅), 신상(新上), 신안(新安), 안암(安庵), 안흥(安興), 양학(陽鶴), 연산(延山), 오산(梧山), 원일(元一), 포정(蒲井)
    • 평원군의 남동쪽 끝에 있으며 대동군과 접한다. 경의선 순안역과 함께 현재는 유명한 평양순안국제공항이 있다.
  • 양화면(兩花面)
    • 관할 리 : 요화(蓼花), 금강(金剛), 내송(內松), 상서(上西), 상송(上松), 신(新), 신성(新成), 신정(新井), 옥정(玉井), 용복(龍伏), 중흥(中興), 평(坪)
    • 순안면 바로 서쪽 지역으로, 남쪽으로 대동군과 접한다.

4.4. 구 평양부 지역


아래 지역은 조선시대 평양부의 영역에 해당한다.
  • 덕산면(德山面)
    • 관할 리 : 삼정(三井), 검암(劒巖), 경하(坰下), 귤(橘), 대포(大浦), 덕수(德水), 봉도(蜂島), 원오(元五), 유촌(兪村), 제(齊), 주촌(朱村), 탑(榻), 호여(浩呂), 화산(華山)

4.5. 구 증산군 지역


아래 지역은 조선시대 증산군의 영역에 해당한다. 증산군은 한천면을 제외한 나머지가 강서군에 흡수되었다.
  • 한천면(漢川面)
    • 관할 리 : 감팔(甘八), 감사(甘四), 감삼(甘三), 감오(甘五), 감육(甘六), 감이(甘二), 감일(甘一), 감칠(甘七), 신성(信成), 예지(禮智), 인의(仁義)
    • 서쪽으로 황해와 접한다.

5. 출신인물



[1] 1972년 평양으로 편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