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구제퇴기

 


[image]
[image]
T자형
Y자형
砲口制退機 / Muzzle Brake
화포의 부속장치

1. 개요


대포포신 끝에 소염기로 달린 것, 머즐 브레이크라고도 한다. 포신 중간 정도에 있는 건 배연기로 포구제퇴기가 아니다. 포구제퇴기는 포사격시 포구로 배출되는 가스를 다방면으로 분산시킴으로써 포의 반동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포 반동 제어 기술이 발달한 제2차 세계 대전 중후반부터 화력이 강화된 대구경 전차포를 단 전차에 장착되었다. 대표적으로 IS-26호 전차 티거 등이 있다. 다만 반동이 줄어드는 대신에 포사격시 발생하는 화염과 먼지로 조준에 방해가 된다는 문제가 17파운더 시절부터 지적되었을 정도로 포수의 시야를 가리게 된다. 소련 역시 차내 반동을 받쳐줄 공간이 있다면 포구제퇴기를 설치하지 않는게 포수 편의에 좋다는 걸 인지하고 SU-100T-54에 포구제퇴기가 장착되지 않았다.
현대 전차, 정확히 말해서 2세대 이후의 전차에서는 주포의 포구제퇴기가 없는 경우가 많다. 상술한 포 조준과 위치노출 문제, 그리고 기술의 발달로 주퇴복좌기만으로도 대구경 주포의 반동을 버틸 수 있게 되어 사장된 것. 날개안정분리철갑탄 때문에 제퇴기를 쓸 수 없다는 루머가 있는데 사실이 아니다. 130mm M-65[1]만 봐도 포구제퇴기가 달려 있음에도 불구하고 잘만 날탄을 발사했다. 날탄의 송탄통은 포신을 떠난 뒤 100m 전후에 분리되기 때문에 포구제퇴기와는 하등 상관이 없다. 반대로 곡사 포격으로 화력 지원을 하는 자주포저반동포를 단 보병전투차에 포구제퇴기를 도입하는 경우가 현대에도 발생한다. 특히 현대의 곡사포들은 멀리 날려보내기 위해 장약을 직사포보다 더 많이 넣고 거기에 베이스브리드(BB)탄과 랩(RAP)탄이라고 부르는 로켓 보조탄을 기본적으로 쏘는 판이라 일반적인 주퇴복좌기 만으로는 반동을 못 버터낸다.
만화같은 곳에서 탱크를 묘사할 때 포신 끝이 T자 형태인 것으로 묘사할 때가 있는데 그게 바로 포구제퇴기다. M48 패튼이나 61식 전차 등에서 볼 수 있다. 기종에 따라서는 이 모양이 고증오류가 될 수 있다. T자형 머즐 브레이크를 널리 사용한 것은 M48 패튼의 90mm M41과 M41 워커 불독의 76mm M32 후기형이며, 90mm M41의 경우 초기형이 T자형, 후기형이 Y자형이다. 일본은 전후에 미국으로부터 기술을 받아 90mm 포를 61식에 올림으로서 이러한 경향을 따랐다.

[1] 소련 최초로 날탄을 채용한 포로 T-10의 후계로 계획된 Object 277, Object 279, Object 770의 주포로 채용됐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