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신
1. 砲身
포의 몸통. 조선 후기에 사용된 화약 병기도 이 한자를 사용한다.
2. 후한 말의 인물
鮑信
(152년 ~ 192년)
후한 말의 군벌. 포소, 포훈의 아버지, 포도의 형. 포단의 아들. 태산군 평양현 사람.
2.1. 정사
영제 때 하진에 의해 기도위로 임명되었으며 하진이 환관들에 의해 사망하고 동탁이 낙양에 도착할 때 원소에게 동탁을 습격하는 것을 제의했지만 그가 두려워해 거부했기 때문에 자신의 병사들을 거느리고 고향에서 병사를 모았다.
반동탁 연합군이 결성될 때는 제북상이었는데 조조가 반동탁 의용군을 일으키자 이에 호응해 파로장군이 되었다. 당시 많은 사람들은 원소에게 귀의하고 있었으나, 포신은 조조가 당시 중국의 혼란을 진압할 수 있는 사람이라고 조조에게 말했다. 조조가 동탁을 추격하다가 서영에게 역습당해서 패배할 때 포신은 부상을 입고 포신의 아우 포도는 전사했다.
이후 조조에게 원소가 난을 일으키면 또 하나의 동탁이 있을 것이며, 황하 남쪽을 지키며 원소에게 일이 생기기를 기다리라고 했다.
192년, 황건적이 연주로 쳐들어오자 연주자사 유대는 맞서 싸우려 했다. 포신은 유대에게 적이 많고 이쪽은 전의가 없으니 이길 수 없다고 하고, 또 적이 군수 보급을 약탈에만 의존하고 있으니 굳게 지키기만 하다가 적의 세력이 흩어지면 그때 쳐 격파할 수 있다고 했다. 그러나 유대는 포신의 말을 듣지 않고 싸워 죽임을 당했다.
포신은 연주자사 유대의 후임으로 조조를 맞이하고 조조와 함께 황건적을 무찔렀으나, 포신 자신은 전사했다. 포신의 시체를 찾지 못하자 조조는 매우 슬퍼하며 나무로 그의 형상을 깎아 후한 장례를 치렀다.
우금은 원래 포신의 부하였으나 이후 조조의 부하가 된다.
2.2. 연의
삼국지연의에서는 원소, 원술 등과 함께 하진의 심복 중 한명으로 하진이 환관들에게 사망하자 동탁을 위험한 인물이라 여기고 원소 등에게 동탁 습격을 논의했으나 듣지 않자 먼저 피했다. 18로 제후의 한 사람으로 반동탁 동맹군에 참가하였다.
여기서 사고를 터트리는데, 손견이 화웅을 쓰러뜨리고 공을 세울까봐 걱정해서 동생 포충[1] 을 먼저 보내 화웅을 치도록 했지만 애꿏은 동생만 죽게 만들었다(…). 그것도 그냥 진 것도 아니며 포신이 어설프게 공격해서 져버리는 바람에 손견이 공격했을땐 오히려 화웅이 더욱 신중해졌다며 오히려 결과적으로 적을 도운 개삽질이라는 묘사로 나온다.
그 외에는 딱히 이렇다 할 행적이 안 보이고 황건적에게 순삭당한다.
2.3. 평가
포신은 사실 상당히 유능하고 평가도 좋은 인물이다. 포신이 했다고 기록된 조언들은 대체로 상황에 적합한 것이 많은 것으로 보아 정세 파악 능력이 높았던 인물로 보인다. 정사의 기록을 보면 조조와 매우 친했던 것으로 보이는데, 거병 초기부터 지속적으로 조조를 지지하고 지원해주었으며, 조조가 동탁에게 패배할 때 조조 진영에 있던 포신의 동생 포도가 사망한 것을 보면 동탁을 공격할 때도 힘을 보태서 도와주었던 것으로 보인다.
조조도 포신이 죽자 매우 슬퍼했다. 상당히 유능하고 실력이 있었던 데다가 조조와 친분이 강했으므로 살아있었다면 조조 진영에서 한 자리 크게 차지하는 거물이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2] 다만 전략적 안목이 있는 모사의 재능으로 국한되며, 스스로 군사를 지휘하는 재능은 별로 없었던 것 같다. 말하자면 마속처럼 야전참모 스타일에 가까운 인물이었던 듯. 몇년만 기다렸으면 조조 세력이 강대해져서 본인까지 전선에서 지휘할 필요는 없었을 것이다. 때문에 난세에 휩쓸린 안타까운 인재.
연의에서 찌질하게 손견을 질투하다가 애꿏은 동생만 죽게하는 모습으로 나와버린 탓에 거의 대부분의 창작물에서 한심한 병신으로 나온다. 84부작 삼국지에서도 포충이 화웅에게 죽은 뒤 멍때리는 불쌍한 모습으로 등장했다.
2.4. 미디어 믹스
2.4.1. 삼국지 시리즈
삼국지 시리즈에서는 연의대로 손견의 공을 독차지하려고 가상의 동생을 죽게 만들고, 황건적 따위에게 죽어서 보통 잡장보다 못한 잡장으로 나온다. 그러나 9편부터 정사의 반영으로 통솔력, 지력, 정치력은 70대 초반으로 상향되고 무력이 60대로 상향되고 10편부터 통솔력, 정치력, 매력은 70대에 지력이 80대, 무력은 60의 무장으로 나온다. 무력만 제외한다면 만능형이다. 수명이 낮거나 책사들이 있으면 병풍이 되긴 하지만, 이 정도인 인재가 좀 없는 초반 시나리오에서 쓸 만하다.
근데 정작 자기의 세력은 7, 8편를 제외하고 없고, 부하인 우금은 조조의 부하이거나 재야로 나오고 본인도 몇몇 시리즈에서 재야나 조조의 부하로 나온다. 영웅집결에서는 9, 10에서는 하진 세력. 11편에서는 유대 세력으로 변경한다. 삼국지 1부터 등장한다.
삼국지 3에서는 어차피 한당이나 곽회, 고순같은 장수들이 잡장이었던 시절이니, 그들보다 못한 존재로 나온다. 그뒤로 7편 이전까지는 등장하지 않는다.
삼국지 9에서는 능력치가 통솔력 72/무력 64/지력 79/정치력 73으로 전작들에 비해 상향되었다. 보병 병법인 분투를 가지고 있어서 초반의 조조 진영에서 조조의 부장으로써 활약한다. 그 외에는 정란, 덫, 고무를 보유하고 있다.
삼국지 10에서 능력치는 통솔력 78/무력 60/지력 83/정치력 73/매력 82에 특기는 총 14개(농업, 보수, 징병, 일제, 진정, 고무, 은밀, 반목, 저지, 위압, 반박, 논파, 군사, 명사)인데, 반목, 군사 특기가 있고 명성도 높고 징병이 있어서 쓸 만하다. 문제는 조조군 측에서는 영웅집결을 제외하면 절대로 포신을 쓸 수가 없다. 왜냐하면 청주병 이벤트로 인해 포신이 죽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른 군주나 재야, 다른 세력의 부하로 할 때에는 청주병 이벤트가 발생해도 안 죽는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7/무력 67/지력 81/정치력 73/매력 78로, 지력이 준수하지만 무력은 약한 이 인물의 특징을 잘 반영하였다. 특기가 보좌인데 무력이 낮아서 효율성이 없다. 다만 허저, 전위같은 무력은 높은데 통솔력, 지력이 낮은 무장들과 의형제를 맺으면 보좌의 효율성을 살릴 수 있다.
삼국지 12에는 등장하지 않았다가 삼국지 13에서 다시 복귀했는데 일러스트는 투구 끈을 조이고 있다.능력치는 통솔력 77/무력 67/지력 81/정치력 73이며 중신특성은 없다. 전법은 속공지휘이고 병과적성은 창별 B/기병 C/궁병 B. 특기는 상업 1, 훈련 2, 순찰 3이고 전수특기는 순찰로 생각보다 능력치가 괜찮은 B급 무장이다. 반동탁 연합과 영웅집결에서 제북을 기점으로 한 군주로 등장하는데 수하로는 우금이 있다. 그나마 우금이 pk에서 재평가를 다시 받아서 괜찮긴하나, 7, 8편와 달리 포도가 없어서 안 그래도 본인를 포함해서 2명이라 장수의 양도 부족하기 때문에 상당히 하드코어한 세력. 그나마 옆동네의 왕광이나 유대 정도는 이길 수 있는게 위안이지만 그 정도 인재 풀로는 백이면 백으로 조조한테 밀리니 사실 시나리오라면 반동탁연합이 진행되는 동안 재빨리 제북을 버리고 허창으로 이사하도록 하자. 허창에는 조조의 S급 참모진이 있는데다가 바로 옆이 진류라서 조조가 크지 못하도록 꾸준히 견제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원술이 완에 남아서 허창을 공격해오는데 정면대결을 하면 뒤이어 치고 오는 조조를 막을 수 없으므로 안 되고 여남으로 전병력을 빼자. 비록 병력이 성에 귀속되므로 허창이 넘어가면 자동으로 군도 해산되지만 장수가 전사하거나 포로로 잡히는 걸 피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허창을 노리는 다른 세력(이 경우는 조조)가 십중팔구 출진해오면서 두 세력이 허창을 두고 박터지게 싸우게 된다. 포신은 여남에서 이 허창공방전을 지켜보다가 끝날 즈음 군대를 끌고와 재탈환하면 끝. 이후 병력이 소모된 조조나 원술, 둘 중 하나를 멸망시키면 사실상 천하통일을 한 거나 다름없는 위치에 서게 된다. 제북을 기점으로 통일하려면 빠르게 감릉과 거록을 제압하고 재야로 있는 사기캐 조운을 등용하자. 상성이 안맞아서 등용에 성공해도 충성도가 낮긴한데, 의리 수치가 매우 중시라 일단 등용에 성공하면 쉽게 뺏기지는 않는다. 우선적으로 견제해야 할 세력은 유대를 멸망시키면 바로 제북을 넘보는 조조, 서주 구원 이벤트를 보기전까진 바로 위에서 귀찮게 하는 유비. 거록을 먹은 상태라면 원소도 위험하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7, 무력 67, 지력 81, 정치 73, 매력 83이며 개성은 불굴, 독려, 모집, 소욕, 여망, 주의는 왕도, 정책은 공법개혁 Lv 4, 진형은 방원, 학익, 정란, 전법은 분전, 철벽, 저지, 고무, 친애무장은 조조, 혐오무장은 동탁이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능력치가 좋지만 제북이란 도시가 삭제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유대가 자리잡고 있는 복양에 소속되었다.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서도 제북상을 지낸 사실을 반영해서 복양에는 자신의 세력이 있어야 하고 아랫동네인 진류가 공백지라 연주자사를 지낸 유대가 그 자리에 배치되어야 하는데 여전히 유대가 복양에 자리잡고 있어서 독자 세력을 형성하지 못하고 말았다.
2.4.2. 곱빼기 삼국지
동생 포충이 아닌 본인이 직접 공을 세우려다 화웅에게 죽는 것으로 나온다. 게다가 콧물을 계속 흘려대는 코찔찔이.
2.4.3. 삼국지를 품다
청주의 황건적을 토벌할 때 조조와 공을 나눌 생각이 없다면서 부대를 따로 나누어 싸우겠다고 했으며, 이후에는 먼저 싸우러 나갔다가 적의 유인책에 걸려 전사했다고 언급된다. 조조가 전사 소식을 듣고 그 자는 능력에 비해 욕심이 과했다면서 어쩌면 어울리는 최후였다고 했으며, 조인은 제멋대로 까불다가 죽은 것은 어쩔 수 없지만 적의 사기를 올려줬다고 했다.
2.4.4. 삼국전투기
그냥 보라색 모자 쓴 사람으로 등장한다. 여기서도 비중 없이 밟혀 죽는 역할이지만, 외전에서 그의 뛰어난 능력이 재조명받았다.#
2.4.5. 영웅조조
조조가 제남상에 임명되어 제남에 부임하자 포신은 조조보다 먼저 제남으로 가서 조조가 제사 의식을 보러 온다면서 돈을 주겠다고 하자 상은 무슨 우리들에게 털어간 돈이라고 항의해 일부러 잡혔다가 자신을 묶은 관원들을 제압해 쓰러뜨리고 제남에서 백성들을 만나면서 실상을 조사해 여러 사당에서 백성들에게 뜯어간 것에 대해 상세히 밝혀 조조가 제남의 부정부패를 잡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반동탁연합 때 손견과 화웅이 싸우는 것에 서영이 화웅을 지원하려 하자 이를 막기 위해 나서며, 연합이 해산되고 연주에서 황건적과 맞서 싸우고 조조가 지원군으로 도착하지만 일부러 도와주지 않고 방치하는 바람에 포신은 황건적과 싸우다가 전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