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선

 


'''【언어별 명칭】'''
'''한자'''
風船
'''영어'''
balloon
'''중국어'''
气球[1][2]
'''일본어'''
風船(ふうせん
'''프랑스어
독일어'''
ballon
'''스웨덴어
노르웨이어'''
ballong
[image]
1. 소개
2. 위험성 및 주의사항
3. 쓰임새
4. 여담
5. 풍선 제조사


1. 소개


밀폐된 주머니에 공기를 넣어 부풀게 하는 물건이다. 고무로 만든 경우가 가장 많고 금속성 호일을 사용한 은박풍선[3]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주로 입으로 불며 손펌프나 가스 주입기 등으로 불기도 한다.
수소헬륨 등 공기보다 가벼운 기체를 넣어, 그 부양력으로 공중에 뜨도록 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 경우 수소 혹은 헬륨 분자가 고무를 투과해 천천히 빠져나오기 때문에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작아져 아래로 가라앉는다. 일반적으로 고무풍선의 경우 8~10시간[4], 은박풍선의 경우 크기에 따라 5~14일 정도 체류한다.
어린이 장난감으로 많이 쓰이며, 파티 때 장식용으로도 쓰이고 응용해서 애드벌룬이나 대북풍선으로도 쓰인다. 풍선색팬클럽에게 중요한 것이기도 한다.
단순히 위 사진의 둥근 풍선 이외에도 모양도 다양하며, 개중에는 꼬아서 강아지 등을 만드는 조형 풍선(주로 풍선아트의 경우 긴 요술풍선으로 만든다.)도 있다.
풍선에 을 채워넣은 것을 물풍선이라고 한다.
풍선을 띄우기 위해 헬륨을 넣는 것은 괜찮지만, 수소를 넣는 것은 불법이다. 수소 자체가 열과 공기 중의 산소를 만나면 연소되어 그대로 폭발해 버리기 때문.[5][6][7] 헬륨풍선의 헬륨을 흡입하면 일시적으로 목소리가 이상해진다.[8]
풍선의 부푼 면에 구멍이 뚫리면 커지는 압력을 못 이겨내면서 구멍이 순식간에[9] 커지고 결국 '펑'하고 큰 소리를 내면서 터지고 마는데, 풍선을 들고 다니는 것보다 역으로 '''풍선을 터뜨리는 것''' 자체를 재미로 삼기도 한다. 이 재미에서 출발한 것이 바로 블룬 시리즈. 하지만 그걸 즐기는 사람은 거의 없다. 터지면 소음유발에, 터지고 나면 쓰레기만 생기는데 그걸 누가 좋아하겠나... 그리고 터질 때 나는 특유의 '펑' 소리[10] 때문에 무서워하는 사람은 아주 무서워한다.[11] 이것은 애고, 어른이고 예외없다. 사실 당연한 게 풍선의 크기가 클수록 터지는 소리는 더 크고, 클수록 더 쉽게 터지기 때문에, 괜한 공포심까지 생기게 될 수도 있다. TV 예능을 봐도 싫어하는 사람은 아주 극도로 싫어하는 모습이 보인다. 다만 풍선 자체가 싫은게 아니고, 풍선 터지는 것과 터질 때나는 소리를 싫어하는 것이다. 허나 진짜로 터지는 것 포함해서 풍선 자체를 아예 싫어하는 사람도 극소수[12]는 있다. 특히 제조가 불량인 풍선이 갑자기 터지면 누구나 다 놀라기 마련이다.

2. 위험성 및 주의사항


엄연히 장난감으로 분류되고, 유아용으로 많이 쓰이는 풍선이지만, 사용 시 주의사항이 굉장히 많다.
우선 헬륨 풍선은 정말 어쩔 수 없이 하늘로 날려서 풍선을 처분해야할 경우가 아니라면 가급적 손에서 놓치지 않는 것이 좋다. 왜냐 하면 풍선은 하늘로 계속 날아가지 않고 바람이 빠져 점점 쪼그라들거나 보일의 법칙에 의해서 대기 중에 있다가 터지기 때문. 또한 바닷가에서 놓칠 경우 바다 한 가운데에 떨어질 수 있다. 근데 문제는 이 풍선들의 색이 바닷물에 의해 씻겨지면서[13] 투명해지는데, 이를 해양생물들이 먹이로 착각하고 먹었다가 내장이 막혀 죽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14]
또한 헬륨풍선은 지하철에 가지고 탈 수 없다. 도시철도 상단의 전력공급선들에 닿으면 화재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15] 서울 지하철 5호선과 같이 완전 지하화된 노선에서는 스크린도어로 인해 전선에 닿을 일이 없다고 볼 수 있지만, 다른 노선으로 환승할 가능성까지 고려하여 어떤 노선이던 헬륨풍선은 가지고 탈 수 없도록 되어있다. 운좋게 타면서 걸리지 않았다고 해도 환승할 때 직원에게 보이면 그대로 뺏긴다. 만일 지하철을 이용해서 꼭 풍선을 가져가야만 한다면, 충분히 큰 가방이나 봉투에 풍선을 넣어 함부로 날라다니지 않게 해서 손에 꼭 들고 타자.
3새 이하의 아이에게 풍선을 쥐어주면 옆에서 꼭 지켜보도록 하자. 아직 사고 발달이 안 된 어린 아이가 풍선을 모르고 물어뜯어 터트리고는 터진 파편을 먹을 수도 있으므로 터졌다면 빨리 조각을 버리도록 하자. 그리고 풍선이 터지지 않게 옆에서 미리 손을 쓰는 것이 좋다. 이 때는 아직 아이의 청력이 약하므로 터지는 소리에 노출되면 청력에 이상이 올 수도 있으므로 작게 불어서 주는 것이 좋다.
풍선을 크게 불다가 전구나 표주박 모양이 되었다면 그만 부는 것이 좋다. 더 불면 높은 확률로 터질 위험이 있으며, 얼굴 근처로 풍선 파편이 튀기면 다칠 수도 있다. 또한 불어서 터트리려는 행위도 자제하는게 좋다. 단시간에 빠르게 숨을 풍선 안에 불어넣으면 뇌에 산소 공급이 안돼서 어지럼증빈혈이 일어날 수 있다. 또 크게 불어 터트리면 엄청나게 큰 소리가 나는데, 귀가 약한 사람은 청력에 이상이 생길수도 있다. 이처럼 아무리 장난감 취급 받는 풍선이라해도 항상 안전에 유의하면서 사용해야한다.
하지만 적당한 크기로 불어놓은 풍선은 거칠게 다루지 않는 한 갑자기 터질 일은 별로 없으므로 적당히 불면 안전하고 재미있게 쓸 수 있다.

3. 쓰임새


가끔 남녀가 커플을 이루어 포옹해서 풍선을 터뜨리는 게임을 하기도 한다. 흔히 짝짓기 프로그램에서 남녀가 가까워지도록 하는 용도로 쓰이는데, 케이블 방송에서는 수영복만 입은 채 진행하기도 한다. 가끔 새터나 엠티에 가서도 한다. 상대방과 포옹하는 거 자체도 민망한데 풍선은 잘 안 터지고 상대방은 풍선 터지는 소리가 무서워 비명을 지른다면? 하지만 그건 2000년대 얘기이며, 요즘은 케이블 방송이어도 그런 질 떨어지는 방송은 안 한다. 오히려 유명 연예인 팬미팅에서 그 게임을 할 때가 있다.
본드풍선이라는 것도 있다. 본드 비슷한 끈적끈적한 내용물을 동봉된 빨대 끝에 적당히 뭉쳐서 불면 부풀어오르는 것. 1990년대 초등학교 인근 문방구에서 많이 팔았다가 2004년부터 유해성 논란 때문에 판매가 중단되었다고 알려졌으나(#), 2014년 기준으로 판매하는 것을 간혹 볼 수 있다. 이것을 대형화 시키면 기구가 되고 왕창 모으면 UP처럼 클러스터 벌룬(Cluster Balloon)이 된다.
엉덩이로 깔고 앉거나 밟아서 터트리는 방법도 있다. 그런데 의외로 ''', 오렌지, 레몬 등의 껍질을 짜서''' 그 즙으로 풍선을 터트릴 수도 있는데, 시트러스계 과일들의 껍질에 있는 리모넨이라는 성분이 고무를 녹이기 때문이다. 착한 위키러라면 굳이 비싼 귤을 가지고 그 짓을 하진말도록 하자.
둥실둥실 떠오르는 형상 때문에 희망과 꿈의 상징으로 자주 쓰이며, 이 때문에 색색별 풍선을 날려보내는 이벤트를 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에 대한 비판도 없지 않은데 결국 풍선은 기압 때문에 터져 쓰레기가 되어 어딘가 떨어지게 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된 가장 유명한 사건은 바로 1986년 미국 클리블랜드에서 '''150만 개의 풍선'''을 날려보낸 사건이다. 유나이티드 웨이라는 자선 단체에서 자선금 기부를 권장하기 위해 계획한 이벤트였는데, 도심에서 150만개의 풍선이 날아오르자 스펙타클한 광경이 펼쳐졌다. 그러나 당시 강풍과 비구름의 영향으로 풍선은 계속 퍼지지 못하고 다시 도시로 떨어졌다. 이 때문에 행사장 인근 공항에서는 바람 빠진 풍선들이 활주로를 뒤덮는 사태가 터져 공항이 일시 폐쇄되기도 했고, 당시 경주가 진행중이던 경마장에서는 말이 놀라 날뛰어 다쳤으며, 인근 호수에서 풍선 이벤트를 구경하던 사람들이 탄 배가 뒤집혀 남성 두 명이 구조신호를 보냈으나 풍선 때문에 구조헬기를 띄울 수 없어 결국 익사하고 말았다. 또한 야생동물들이 풍선 쓰레기를 먹이로 착각하고 먹었다가 폐사하는 사례가 속출하기도 했고, 이후 온 도시에 널부러진 풍선 쓰레기를 치우는 데 몇 주가 걸렸으며, 유나이티드 웨이는 엄청난 수의 고소를 떠안게 되었다.[16]
간혹 가다 풍선에 성적 쾌감을 느끼는 사람들도 있다. 이들을 루너(looner) 즉 풍선성애자라고 부르며, 해외에는 이미 관련 커뮤니티와 전문 영상 사이트등도 마련되어 있는 상태이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고.
풍선 특유의 독특한 소리때문에 ASMR으로 사용하는 사람도 가끔 있다.
두산 베어스는 가끔씩 흰색 풍선[17]으로 응원을 전개하기도 한다.
어릴 때는 남녀 가리지 않고 좋아하지만, 청소년기부터는 보통 여자들이 많이 쓴다. 주로 친한친구의 생일파티나 결혼을 하게 돼서 축하파티를 해줄 때, 여러 개의 풍선을 입이나 펌프, 혹은 헬륨으로 불어서 파티 분위기를 만들어 축하해준다. 이 외에도 할로윈, 크리스마스같은 기념일에도 풍선을 많이 불어서 파티에 쓴다.
2020년에는 코로나 19로 인한 외부 활동이 자제되고 집에서만 생활 할 일이 많다보니 어린 자녀를 둔 젋은 부모나 혼자 사는 사람들이 요새 풍선을 많이 찾기도 하며, 집에서 풍선으로 놀기도 한다.

4. 여담


  • 가지고 있는 근육에 비해 힘을 못쓰는 사람들을 흔히 풍선근육이라고 비하하기도 한다. 특히, 보디빌더들이 이런 오명을 쓰고있다.
  • 게임 용어로서의 풍선은 맷집이 굉장히 약하거나 동네북처럼 맞기만하다가 정말 풍선처럼터지는 유닛이나 캐릭터를 뜻하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스타크래프트 시리즈의 대군주가 있다. 맷집이 약한건 아닌데 커다란 머리에[18]실처럼 생긴 다리가 달려있어서 생긴것 부터 풍선을 닮았으며 대공가능한 적 유닛[19]에게 무방비로 맞으며 느려터져서 도망도 잘 못치고 터지는게 풍선이란 느낌이 들기 때문.
  • 요즘 여자들 파티에서는 필수로 쓰이기 때문에, 여자들 사이에서 풍선을 불거나, 묶는 것은 기본으로 할 수 있어야 한다고, 하고있다.

5. 풍선 제조사


아나그램 인터내셔널 주식회사(Anagram International Inc.)

[1] qìqiú[2] 한국 한자음으로 '기구'. 비행체 기구와 같은 한자어를 쓴다.[3] 대표적으로 미국아나그램(Anagram) 사가 만든다.[4] 오랜시간 헬륨가스를 유지해야 할 경우 풍선 안에 발라 코팅해 체공시간을 늘려주는 액체를 사용할 수 있다.[5] 오래 전에는 애드벌룬 등에 값이 싸다는 이유로 수소 충전을 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광고 후 방치된 거대 수소풍선을 아이들이 갖고 놀다 폭발사고를 일으키는 등 끔찍한 안전사고 빈발로 불법화되었다.[6] 위기탈출 넘버원 2006년 1월 7일 24회에서 수소풍선 폭발의 위험성을 방영했다.[7] 2010년대 이후에 와서는 놀이공원이나 파티용품점에서 헬륨 대신 수소가스를 사용한 풍선을 파는 일은 없다고 봐도 된다. 하지만 동남아시아 등 개도국에서는 아직도 수소풍선에 대한 규제가 명확하지 않아 이로 인한 화재 사고가 간간히 보도된다. 해외에서 헬륨풍선을 접할 일이 생긴다면 주의할 것.[8] 너무 많이 마실 경우 저산소증에 걸릴 수 있으니 주의.[9] 초고속 카메라로 봐도 거의 순식간에 터져 버린다.[10] 우습게 볼 일이 아니다. 제일 크게 터질 경우는 '''최대 168데시벨에 이른다!''' 이는 '''12게이지 샷건'''보다 더 큰 소리이다.[11] 실제로 풍선공포증도 있다.[12] 대표적으로 걸그룹 소나무뉴썬.[13] 일반 물에는 씻겨지지 않지만, 염분이 있는 물에는 씻겨진다.[14] MBC 14F14F's PICK에서도 이러한 헬륨풍선의 문제점을 언급한 적이 있었다.[15] 특히, 은박풍선이라면 더더욱...[16] 86년도의 풍선축제(Balloonfest '86) 라는 키워드로 검색하면 자세한 설명과 자료들을 확인할 수 있다. 영문 위키백과의 Balloonfest '86 문서.[17] 바람 넣는 응원막대 말고, 진짜 풍선.[18] 사실 머리가 아닌 몸이다.[19] 특히 1에서는 커세어나 레이스 2에서는 불사조와 바이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