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점교류

 

1. 개요
2. 상세
3. 관련 항목


1. 개요


대학끼리 협정을 맺어 일정 학기 동안 협정을 맺은 학교의 강의를 듣고 학점으로 인정받는 제도.

2. 상세


일반적으로 학기 학점을 타대학 학점으로 듣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는 점이 교환학생과 다르다. 극히 소수 학교의 경우 대부분의 학점을 타대학에서 듣는 것을 허용하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사실상 교환학생이 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교환학생과 달리 강의를 수강하는 학교의 시설을 이용하는데 제약이 따르는 경우가 많다.
서울총장포럼에 가입한 인서울 대학교들은 상호 학교 간 자유롭게 학점교류를 시행하고 있다. 자세한 건 해당 문서 참고.
국립대학들은 국립대학끼리 교류 협정이 맺어져 있어서, 계절학기를 타 대학에서 들을 수도 있고 아예 학기 전체를 다른 학교에서 이수할 수도 있다. 가장 대표적이고 인원도 많은 것은 경북대·부산대전남대·전북대간 영호남 교류학생(각 20명). 다른 학점교류에 비해서 많이 뽑고, 영호남 교류학생은 기숙사에 우선입주 자격을 준다. 이 외에는 스킨스쿠버 들으려고 제주대학교 여름 계절학기 듣거나, 타지역 대학에 간 학생이 고향에 내려와서 2~4주 투자해서 집 근처 대학에서 학점을 따가기도 한다. 물론 서울대학교로 가서 학점을 시원하게 말아먹을 수도 있고, 일부 대학은 한국예술종합학교로도 학점교류가 가능하다.[1] 예를 들어 국립대생이라면 4년 중에 2년은 소속대학에서 다니고 2년은 서울대[2]에서 교류학생으로 다니다 졸업할 수도 있다.
거점국립대학간에도 학점교류를 시행하고 있는데, 타 대학까지 가서 강의를 들어야 했던 기존 학점교류 방식과는 달리 신규로 학점교류 시스템을 만들어 온라인 상으로도 학점교류가 가능하다. 링크
국립대끼리의 학점교류가 아닌 같은 지역 내 대학끼리의 학점교류도 매우 활발하다. 국립대/사립대 상관없이 같은 지역의 대학이라면 수강신청이 가능한 제도로 계절학기의 경우 어떠한 제한도 없이 지역 내 다른 대학의 계절학기를 들을 수 있는 경우가 많다. (정규학기는 조금이나마 제한이 있는 경우도 있었다.) 예를 들면 부산에서 4년제 대학교를 다니는 학생이라면 부산의 다른 국립/사립 4년제 대학교의 강의를 해당 대학으로 찾아가서 직접 듣는 방식. 서울, 부산, 대구, 인천, 대전, 광주 등 주요 대도시의 대학은 대부분 이런 방식의 학점교류를 시행하고 있다. 이렇게 학점교류 신청하면 대부분 이상한 별종 취급을 받긴 하지만.
미션스쿨기독교 학교들은 기독교 학교들끼리 거의 학점교류가 가능하다. 대표적으로 연세대, 이화여대를 비롯하여 한남대, 계명대 등 각종 국내 기독교 학교들끼리는 서로 서로 학점 교류가 되어있다.
인하대학교한국항공대학교처럼 재단이 같은 학교끼리 학점교류가 매우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가장 특이한 건 남학생이 여자대학교로 교류학생 가는 경우이다. 입학은 허가되지 않아도, 교류학생은 문제없다.
심지어 대학원생은 국방대학교도 가능.
대한민국에서는 국내대학간에 학점교류가 체결되어있다. 외국대학과의 학점교류는 학기중에 실시하기 어렵기 때문에 교환학생제도가 있다.
다만 공과대학, 의과대학에서는 학점교류가 없다고 보면 된다. 일단 전공과목만 제대로 클리어하는 것조차 벅차거니와 학교별로 커리큘럼이 미묘하게 달라서 일정이 꼬이게 된다. 또한 6대륙 어디를 가도 내용이 대동소이할 정도로 커리큘럼이 매우 정형화되어 있어 학점교류의 의미가 없고, , [3]. 특히 의과대학은 학칙으로 막아놓는 경우가 태반이다. 물론 전공이 아닌 교양과목에 대한 학점교류는 간혹 있지만 전공수업을 학점교류로 들을 생각은 꿈도 꾸지 말자. ( )

3. 관련 항목



[1] 아마 대부분의 지거국은 이 문단에 나온 학교와 학점교류를 하고 있을 것이다. 예술 전공자 일부를 제외하면 다들 안 가서 모를 뿐. 한국외국어대학교는 사립대학임에도 한예종과 교양학점 교류를 하고 있다. 그것도 일반적인 학점교류보다 훨씬 긴밀히 할 수 있다.[2] 하지만 현실적으로 서울대학교에서 학점교류가 어려운 것이 정작 타학교 학점교류를 받아주더라도 학교차원에서 교환 및 학점교류에 대한 티오를 따로 만들지 않아서 재학생들 보다 늦게 강의신청을 하게 된다. 결국 재학생들도 외면하거나 듣지 않는 수업과 같이 티오가 남는 강의만 수강이 가능하다. 교수님들 또한 재학생들을 추가적으로 받아주기 어려운 상황에서 타학교 교류학생을 추가적으로 받아주는 것이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3] 이건 학교마다 매우 다르다. 다만, 처음부터 P/NP로 성적표에 입력하는 학교는 아예 없다고 해도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