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명태자

 

'''작위'''
'''왕태자(王太子)'''
'''성씨'''
고(高) / 해(解)
''''''
해명(解明) / 명(明)
'''부왕'''
유리명왕
'''형제'''
고도절, 고무휼, 고해색주, 고재사, 고여진
'''묘지'''
동원(東原) / 창원(槍原)
'''생몰년도 '''
기원전 12년 ~ 기원후 9년
1. 개요
2. 활을 부러뜨리다
3. 아비가 아들을 죽이다
4. 대중 매체에서


1. 개요


유리명왕의 둘째 아들. 장남이자 태자였던 도절이 죽은 뒤, 서기 4년(유리왕 23년)에 태자로 책봉되었다. 이 해에 고구려가 국내성(國內城)으로 천도할 때 부왕을 따라가지 않고 졸본(卒本)에 남았다. 삼국사기에 기록된 바로는 힘이 세고 용맹하였다고 한다.

2. 활을 부러뜨리다


유리왕 27년 봄, 옛 도읍인 졸본성에 머물고 있었는데, 어느 날은 고구려 주변에 있던 나라인 황룡국의 왕이 해명의 무용이 뛰어나다는 소문을 듣고는 사신을 보내 강한 활을 보내주었다. 그런데 해명은 그 활을 당겨 부러뜨리고는 "내 힘이 강해서가 아니라 활이 약해서 그렇다."고 말했다. 사실상 황룡국에 시비를 걸었던 것이라 봐도 무방한데, 아마 "함부로 고구려를 넘보지 말라"는 뜻을 품고 있는 경고 행위인 듯하다. 어쨌든 지금의 시각으로 봐도 상당한 외교적 결례.
황룡국 왕이 이를 전해 듣고는 부끄럽게 여기자 유리왕은 "해명이 자식으로서 불효하다"면서 화를 내고 황룡국 왕에게 해명을 보내며 그를 죽여줄 것을 부탁했다. 3월에 황룡국 왕이 사신을 보내서 해명을 만나려 하자 주변에서 말렸지만, 해명은 "하늘이 나를 죽이려 하지 않는데 황룡국 왕인들 나를 어떻게 죽이겠느냐?"라면서 태연하게 황룡국으로 갔다. 황룡국 왕은 처음에는 해명태자를 죽일 계획을 세웠지만, 직접 보자 풍채가 당당하고 늠름하여 죽이기는 아까운 인물이라는 생각에 예를 다해 대접하고 고이 돌려보냈다.

3. 아비가 아들을 죽이다


다음해 28년 봄, 유리명왕은 "내가 천도한 뜻은 백성을 편안하게 하고 나라를 튼튼하게 하려는 것이었는데, 해명이 힘이 센 것만 믿고 이웃 나라와 원한을 맺었으니 불효하다."면서 자살하라고 명령하며 칼을 내려줬다.
해명이 곧 자살하려 하자 어느 사람이 말렸지만, 해명은 "지난번에 활을 부러뜨린 것은 황룡국이 고구려를 가볍게 본 것이라 생각하여 보복한 것이었는데, 아버지가 뜻밖에 화를 내고 자살하라 하니 죽지 않을 수 없다."면서 여진(礪津)의 동쪽 벌판으로 가서 창을 땅에 꽂고 말을 타고 달리다 창에 몸을 던져 스스로 창에 찔려 죽었다.[1]
사망 당시 고작 21세였으며, 사후 태자의 예로써 동쪽 들(東原)에 장사지내고 사당을 세우고 그 곳을 불러 창원(槍原)이라고 하였다. 이후 그의 바로 아래 동생이자 유리명왕의 삼남인 무휼이 태자가 되었다.
삼국사기에서 김부식은 "해명의 행동이 너무 과격하다"고 비판적인 코멘트를 달았다. 그는 '''"아버지가 아버지답지 못했고, 아들이 아들답지 못했다."'''며 유리와 해명을 모두 비판했다. "해명은 왜 아버지 옆에 안 붙어 있고 구도에 남아 있으면서 무용 즐긴다는 소문이 퍼지게 해서 유리왕의 심기를 건드렸고, 유리왕은 아들이 그러고 노는 게 마음에 안 들어서 죽일 거였으면 처음부터 그러지 말라고 훈계하고 가르칠 일이지 왜 내버려 두고 감정만 키우다가 폭발하자마자 한 마디로 죽였느냐?!"는 것이다. 한 마디로 아들은 행동을 잘못했고 아버지는 교육을 잘못시켰다는 것
성호 이익도 "나라가 막 세워졌고 주변 국가들을 막 병합해 나라를 불려가는 참인데 용맹 있는 사람이 필요한 것은 당연한 것 아니냐", "구도에 남은 게 마음에 안 들었으면 애초에 태자로 삼기는 왜 삼았냐", "다른 나라와 척지는 것이 걱정이었으면 나중에 부여 사신한테 개긴 무휼은 또 왜 안 죽이고 놔뒀냐"[2] 며 유리왕의 행동을 비판했다.
대무신왕의 아들 호동왕자도 비슷하게 목숨을 끊었는데, 이런 걸 보면 고구려 초기의 왕실 문화는 꽤나 거칠었던 것 같다.
조선 시대 성호 이익이나 순암 안정복은 모두, 해명의 죽음에 '''무휼이 배후에 있었을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다만 해명태자가 유리명왕국내성으로 천도한 이후에도 졸본성에 남아있던 점과 대무신왕의 어머니가 비류국 송양의 딸임을 감안하면, 둘은 동복형제일 가능성이 높다.

4. 대중 매체에서


만화 바람의 나라에서 비중 있게 등장한다. 자결을 앞두고 주변 사람들에게 고구려와 주변국의 앞날을 예견하면서 동생 무휼을 도와 부여를 치고 한나라를 극복할 것을 부탁하였으며, 죽기 전날 밤에 자신을 오래도록 흠모하던 혜압과 사랑을 나누어 인연을 맺는다. 죽은 뒤에도 혼령으로서 고구려의 앞날을 지키고자 한다. 조카인 호동왕자를 지키기 위해 나타나기도 한다.
참고로 여기서는 화희의 아들로 설정되어 있다. 해명이 자결하자 화희가 서화[3]에게 "내가 젊을 적에 치희를 내쫓은 것 때문에 (유리)왕이 나를 미워하더니, 이제 내 아들까지 미워해 죽게 했다."며 울며 하소연하는 장면이 있다. 나중에 해명의 혼령이 생모를 회상하는 장면에도 나온다. 치희를 내쫓은 일로 유리명왕에게 소박을 맞은 뒤, 처소에서 부질없이 옷감만 짰다고.
드라마 바람의 나라에서는 배우 이종원이 연기했다. 만화 원작이나 정사와는 달리 고구려를 침략한 대소왕에게 "나의 목숨을 내놓을 테니, 그 대신 고구려를 공격하지 말라"는 약조를 내건다. 이에 아버지 유리명왕은 "아무리 그래도 자식을 죽일 수는 없다"며 오히려 해명을 막았지만, 결국 해명은 대소왕에게 죽음을 당하는 길을 선택하고 뒤늦게 달려온 아버지의 품안에서 죽는다. 해명에 대해 알려진 이야기와는 상당히 다른 전개이지만, 창작물에서 보다 더 극적인 전개를 위한 장치임을 명심하자.
[1] 이건 상식적으로 너무 거추장스러운 자살 방법이라, 그냥 유리명왕이 보낸 암살자가 던진 창에 맞아죽고 자살로 공표된 것으로 해석하는 경우도 없지는 않다.[2] 해명태자는 고작 황룡국 왕의 사신에게 깝쳤을 뿐이지만 무휼은 무려 부여왕인 대소의 사신에게 깝쳤다! 당시 부여는 강국으로 기원후 3세기에서야 도성이 짓밟혔을 정도로 강력한 나라였고(반면 고구려는 초기 시절 수도가 몇번씩 털렸다. 심지어 고구려는 부여보다 나중에 건국되었는데도 그랬다.) 유리왕 초기에는 5만의 대군을 끌고 고구려를 침공하기도 했다. 역사에서는 무휼의 지혜 덕분에 이후 분개해서 쳐들어온 대소왕의 침공을 막을 수 있었다지만 해명태자의 사례를 생각해보면 미리 무휼을 어떻게로든 손봐주었어야 정상이다.[3] 무휼의 생모로 송양의 둘째 딸이자 유리명왕의 둘째 왕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