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시 브라운
[image]
영국과 미국식 아침 식사에 흔히 들어가는 감자 요리의 일종. 감자로 만드는 일종의 감자전.
해시 요리(Hashed food)란 재료를 잘게 자르는 요리인데, 해시 브라운은 감자를 작은 토막으로 잘게 잘라서[1] 순식간에 익히면서도 감자 알맹이 씹는 맛을 유지 하여 먹을 수 있는게 특징. 다만 일반적으로 으깬 감자 일부를 섞어서 잘게 자른 감자끼리 반죽 형태를 유지하도록 만든다. 잘게 자른 감자끼리 붙어있을리는 없으니...[2] 또한 튀김 기름에 빠트리는게 아니라 철판이나 팬에서 굽는다.[3] 형태나 모양이 의외로 여러가지 인데, 어떤건 그냥 감자튀김에 가까운 종류도 있긴 하다.
미국 현지에선 사실 그냥 채쳐서 놓은 감자 요리는 다 해시 브라운으로 부른다. 우리가 익히 아는 커틀릿 형태뿐만 아니라 감자볶음 같은 요리도 전부 해시 브라운이라고 한다.
집에서 만들 때는, 생감자를 김장양념할 때 쓰는 채칼, 강판 같은 것으로 가늘게 채치든가, 아니면 삶은 감자를 적당히 뭉개 으깨든가 해서 한두입 크기 납작한 덩어리로 만든 다음, 기름 두른 팬에 올려 약간 눌어 갈색 빛이 돌 때까지 구워내면 된다. 잘 안 되면 반죽 만들 때 빵가루를 조금 섞자. 사실, 그냥 감자볶음도 가늘게 채친 다음에 주걱질하지 말고 그냥 바닥이 눌 때까지 방치해 익혀 모양이 고정된 다음에 다시 뒤집어 익혀 눌 때까지 두면 맛이 그럴 듯해진다.
그냥 만들면 전분이 많아서 감자전이 된다. 물에 담가둬서 충분히 전분을 빼낸 후에 만들면 된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감자를 작은 토막으로 잘라서 감자의 수분을 충분히 빼야 한다. 감자에는 수분이 굉장히 많아서 그냥 만들면 아삭아삭한 감자부침이 된다. 물을 짜낸다는 느낌으로 최대한 제거해줘야 한다.
직접 감자를 다져서 만들 수도 있지만, 튀김옷까지 입혀놓아서 튀기기만 해서 먹을 수 있게 냉동식품으로도 판매가 된다. 들어가는 재료도 감자뿐이니 대형마트 등지의 냉동식품 코너에서 팔기도 하며 가격은 대략 1.2kg에 7000원 정도. 짭잘한 맛이기에 밥과의 궁합도 의외로 괜찮은 편이며, 이도저도 귀찮으면 그냥 식빵 사이에 끼워먹어도 괜찮다.
한국에서의 해시 브라운은 감자튀김에 밀리는 위상이라 할 수 있는데, 맛도 있고 싫어하는 사람도 거의 없지만 결정적으로 프렌치 프라이에 비해 '''양이 적으며'''[4] 그래서인지 주요 프랜차이즈에서 해시 브라운을 아침 전용 사이드메뉴로만 생각하고 아침 시간대 외에는 사 먹을 수가 없다. 거기에 프렌치 프라이보다는 짠 맛이 더 강한 편이어서 거부감을 느끼는 고객들도 있는 편.[5]
대한민국에서는 닭강정에 엄지손가락만한 해시 브라운을 추가하기도 한다.[6] 이 감자볼도 호프집 모듬메뉴에 종종 올라오며, 냉동식품으로 구매가 가능하다. 튀겨진 감자알갱이들이 아작아작 씹히는걸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맛있게 먹을 수 있다.
롯데리아에서도 해시 브라운을 판매한 적이 있었다. 그러나 단종되었…다가 2014년 10월 20일에 착한아침 메뉴로 부활했다. 그리고 2015년 11월 10일에 출시된 모짜렐라 인 더 버거에도 해시 브라운이 패티 형태로 들어간다. 또한 KFC의 징거더블다운에도 들어간다.
고든 램지도 이 해시 브라운을 아침마다 만드는데 얼마나 유명한지 본인이 만든 동영상이 500만 조회수를 기록했다.
#
상술했듯 아침식사 메뉴라 후술할 패스트푸드점들도 아침 메뉴로 파는 경우가 많다.
[image]
아침 메뉴로 등장한다. 해시 포테이토라고도 한다. 프렌치 프라이와 같은 사이드 메뉴에 속한다.[7]
감자를 잘게 다진 것에 소금간을 하고 튀김옷을 입혀서 튀겨낸 것으로, 튀김옷 특유의 바삭바삭한 식감이 포인트. 튀김류의 음식들의 공통적인 특징이겠지만 바삭바삭한 식감이 살아있을 때 먹어야 맛있다.
맥모닝 시간대를 제외하곤 팔지 않는다. 대신 프렌치 프라이를 팔지 않는 맥모닝 때는 이 메뉴가 기본 사이드 메뉴. 맥모닝을 주문할 시 수량을 추가 할 순 있지만 단품으로 살 경우 후렌치 후라이 값을 내야 하므로 따로 시키는 사람은 거의 없다. 하지만 맛이 좋아서 맥머핀보다 이쪽을 메인으로 치는 사람도 많다. 대신 1955 해시브라운을 통해 맥모닝이 아니더라도 해시브라운을 즐길 수 있었으나 단종.
가격이 천원으로 싼 대신 크기가 눈물나게 작은 편이다. 해쉬 브라운과 커피만으로 식사를 하려면 4개 정도는 먹어야 한다.
[image]
사이드 메뉴 중 하나는 감자튀김과 교체 가능한 1,600원으로 미니 해시 브라운이라는 이름으로 팔고 있다. 한팩에 4개씩 팔고 있다. 또 타워 버거와 징거더블다운맥스에 버거 재료로 들어간다.
[image]
버거킹에서도 와퍼에 해시 브라운을 추가해서 한정판매하기도 했다. 허나 다 좋은데 맛의 조화가 부족했다는 평이 다수. 홍콩에서는 레스토랑 급으로 맛이 있으며 또 홍콩의 버거들이랑은 맛의 조화가 잘 맞으니 홍콩에 간다면 아침에는 추천 메뉴급이다. 버거킹/기간 한정 메뉴 참고.
이후에는 아침메뉴의 사이드메뉴로 제공하고 있으며, 해시브라운을 따로 구매할 수도 있다. 가격은 1000원. 아침메뉴를 판매하는 매장에서 새벽 4시부터 10시까지 구매할 수 있다.
와퍼종류 중 해쉬치즈와퍼가 있다. 해쉬와퍼라고도 하는데, 와퍼안에 해쉬 브라운이 들어간 와퍼이다.
[image]
롯데리아에서 디저트 메뉴로 판매한다. 가격은 1000원이다. 버거 세트를 구매할때 디저트 변경을 해도 추가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몇 안되는 메뉴이다.
롯데리아에서 해시 브라운이 들어가는 버거로는 '''모짜렐라 인 더 버거 해쉬'''가 있다.
리아오더로는 각각 단품 4,700원, 세트 6,400원이고, 홈서비스로는 단품 5,200원, 세트 7,200원이다.
써브웨이에서도 나온다. 4조각 기준 아침시간인 오전 11시까지는 700원, 그 이후는 1200원. 써브웨이에서 나오는 메뉴 중 스파이시 이탈리안과 더불어 몹시 짜다. 양은 4조각이니 많지는 않은 것 같지만 4개 합쳐보면 맥도날드 것 정도는 나온다. 덤으로 무지 짜서 4개 이상 먹는게 쉽지 않다. 아침에는 가격도 저렴하니 아침 메뉴 먹을 때 시키는게 제일 적절하다.
기본 봉구스밥버거 구성에 해시 브라운이 추가된 해봉이밥버거를 판매하고 있다. 사이드 메뉴로 700원을 추가하면 다른 밥버거에도 추가 할 수 있다.
1. 개요
영국과 미국식 아침 식사에 흔히 들어가는 감자 요리의 일종. 감자로 만드는 일종의 감자전.
해시 요리(Hashed food)란 재료를 잘게 자르는 요리인데, 해시 브라운은 감자를 작은 토막으로 잘게 잘라서[1] 순식간에 익히면서도 감자 알맹이 씹는 맛을 유지 하여 먹을 수 있는게 특징. 다만 일반적으로 으깬 감자 일부를 섞어서 잘게 자른 감자끼리 반죽 형태를 유지하도록 만든다. 잘게 자른 감자끼리 붙어있을리는 없으니...[2] 또한 튀김 기름에 빠트리는게 아니라 철판이나 팬에서 굽는다.[3] 형태나 모양이 의외로 여러가지 인데, 어떤건 그냥 감자튀김에 가까운 종류도 있긴 하다.
미국 현지에선 사실 그냥 채쳐서 놓은 감자 요리는 다 해시 브라운으로 부른다. 우리가 익히 아는 커틀릿 형태뿐만 아니라 감자볶음 같은 요리도 전부 해시 브라운이라고 한다.
집에서 만들 때는, 생감자를 김장양념할 때 쓰는 채칼, 강판 같은 것으로 가늘게 채치든가, 아니면 삶은 감자를 적당히 뭉개 으깨든가 해서 한두입 크기 납작한 덩어리로 만든 다음, 기름 두른 팬에 올려 약간 눌어 갈색 빛이 돌 때까지 구워내면 된다. 잘 안 되면 반죽 만들 때 빵가루를 조금 섞자. 사실, 그냥 감자볶음도 가늘게 채친 다음에 주걱질하지 말고 그냥 바닥이 눌 때까지 방치해 익혀 모양이 고정된 다음에 다시 뒤집어 익혀 눌 때까지 두면 맛이 그럴 듯해진다.
그냥 만들면 전분이 많아서 감자전이 된다. 물에 담가둬서 충분히 전분을 빼낸 후에 만들면 된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감자를 작은 토막으로 잘라서 감자의 수분을 충분히 빼야 한다. 감자에는 수분이 굉장히 많아서 그냥 만들면 아삭아삭한 감자부침이 된다. 물을 짜낸다는 느낌으로 최대한 제거해줘야 한다.
직접 감자를 다져서 만들 수도 있지만, 튀김옷까지 입혀놓아서 튀기기만 해서 먹을 수 있게 냉동식품으로도 판매가 된다. 들어가는 재료도 감자뿐이니 대형마트 등지의 냉동식품 코너에서 팔기도 하며 가격은 대략 1.2kg에 7000원 정도. 짭잘한 맛이기에 밥과의 궁합도 의외로 괜찮은 편이며, 이도저도 귀찮으면 그냥 식빵 사이에 끼워먹어도 괜찮다.
한국에서의 해시 브라운은 감자튀김에 밀리는 위상이라 할 수 있는데, 맛도 있고 싫어하는 사람도 거의 없지만 결정적으로 프렌치 프라이에 비해 '''양이 적으며'''[4] 그래서인지 주요 프랜차이즈에서 해시 브라운을 아침 전용 사이드메뉴로만 생각하고 아침 시간대 외에는 사 먹을 수가 없다. 거기에 프렌치 프라이보다는 짠 맛이 더 강한 편이어서 거부감을 느끼는 고객들도 있는 편.[5]
대한민국에서는 닭강정에 엄지손가락만한 해시 브라운을 추가하기도 한다.[6] 이 감자볼도 호프집 모듬메뉴에 종종 올라오며, 냉동식품으로 구매가 가능하다. 튀겨진 감자알갱이들이 아작아작 씹히는걸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맛있게 먹을 수 있다.
롯데리아에서도 해시 브라운을 판매한 적이 있었다. 그러나 단종되었…다가 2014년 10월 20일에 착한아침 메뉴로 부활했다. 그리고 2015년 11월 10일에 출시된 모짜렐라 인 더 버거에도 해시 브라운이 패티 형태로 들어간다. 또한 KFC의 징거더블다운에도 들어간다.
고든 램지도 이 해시 브라운을 아침마다 만드는데 얼마나 유명한지 본인이 만든 동영상이 500만 조회수를 기록했다.
#
상술했듯 아침식사 메뉴라 후술할 패스트푸드점들도 아침 메뉴로 파는 경우가 많다.
2. 각종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들에서의 모습
2.1. 맥도날드
[image]
아침 메뉴로 등장한다. 해시 포테이토라고도 한다. 프렌치 프라이와 같은 사이드 메뉴에 속한다.[7]
감자를 잘게 다진 것에 소금간을 하고 튀김옷을 입혀서 튀겨낸 것으로, 튀김옷 특유의 바삭바삭한 식감이 포인트. 튀김류의 음식들의 공통적인 특징이겠지만 바삭바삭한 식감이 살아있을 때 먹어야 맛있다.
맥모닝 시간대를 제외하곤 팔지 않는다. 대신 프렌치 프라이를 팔지 않는 맥모닝 때는 이 메뉴가 기본 사이드 메뉴. 맥모닝을 주문할 시 수량을 추가 할 순 있지만 단품으로 살 경우 후렌치 후라이 값을 내야 하므로 따로 시키는 사람은 거의 없다. 하지만 맛이 좋아서 맥머핀보다 이쪽을 메인으로 치는 사람도 많다. 대신 1955 해시브라운을 통해 맥모닝이 아니더라도 해시브라운을 즐길 수 있었으나 단종.
가격이 천원으로 싼 대신 크기가 눈물나게 작은 편이다. 해쉬 브라운과 커피만으로 식사를 하려면 4개 정도는 먹어야 한다.
2.2. KFC
[image]
사이드 메뉴 중 하나는 감자튀김과 교체 가능한 1,600원으로 미니 해시 브라운이라는 이름으로 팔고 있다. 한팩에 4개씩 팔고 있다. 또 타워 버거와 징거더블다운맥스에 버거 재료로 들어간다.
2.3. 버거킹
[image]
버거킹에서도 와퍼에 해시 브라운을 추가해서 한정판매하기도 했다. 허나 다 좋은데 맛의 조화가 부족했다는 평이 다수. 홍콩에서는 레스토랑 급으로 맛이 있으며 또 홍콩의 버거들이랑은 맛의 조화가 잘 맞으니 홍콩에 간다면 아침에는 추천 메뉴급이다. 버거킹/기간 한정 메뉴 참고.
이후에는 아침메뉴의 사이드메뉴로 제공하고 있으며, 해시브라운을 따로 구매할 수도 있다. 가격은 1000원. 아침메뉴를 판매하는 매장에서 새벽 4시부터 10시까지 구매할 수 있다.
와퍼종류 중 해쉬치즈와퍼가 있다. 해쉬와퍼라고도 하는데, 와퍼안에 해쉬 브라운이 들어간 와퍼이다.
2.4. 롯데리아
[image]
롯데리아에서 디저트 메뉴로 판매한다. 가격은 1000원이다. 버거 세트를 구매할때 디저트 변경을 해도 추가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몇 안되는 메뉴이다.
롯데리아에서 해시 브라운이 들어가는 버거로는 '''모짜렐라 인 더 버거 해쉬'''가 있다.
리아오더로는 각각 단품 4,700원, 세트 6,400원이고, 홈서비스로는 단품 5,200원, 세트 7,200원이다.
2.5. 써브웨이
써브웨이에서도 나온다. 4조각 기준 아침시간인 오전 11시까지는 700원, 그 이후는 1200원. 써브웨이에서 나오는 메뉴 중 스파이시 이탈리안과 더불어 몹시 짜다. 양은 4조각이니 많지는 않은 것 같지만 4개 합쳐보면 맥도날드 것 정도는 나온다. 덤으로 무지 짜서 4개 이상 먹는게 쉽지 않다. 아침에는 가격도 저렴하니 아침 메뉴 먹을 때 시키는게 제일 적절하다.
2.6. 봉구스밥버거
기본 봉구스밥버거 구성에 해시 브라운이 추가된 해봉이밥버거를 판매하고 있다. 사이드 메뉴로 700원을 추가하면 다른 밥버거에도 추가 할 수 있다.
[1] 우리식으로는 '적당히 다진다'고 말하면 비슷하다. 으깨버리면 으깬감자(매시드 포테이토 mashed potato)다.[2] 요령이 생기면 다지거나 채친 감자를 가지고 전분기를 빼지 않고 그냥 만들어도 된다. 모양이 잡혀 굳을 때 약한 갈색으로 눌으면서 맛있는 냄새가 난다. 너무 두껍게 하지 않으면 으깬 감자 등이 없어도 잘 덩어리진다.[3] 물론 패스트푸드 업소에서는 기름에 빠트린다.[4]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를 예로 들면 사이드메뉴로 나오는 같은 가격의 프렌치 프라이에 비해 해시 브라운은 보통 1/3 정도.[5] 미국인들의 입맛은 한국보다 훨씬 짜기 때문에 미국에서 해쉬브라운이 짜다는 인식은 전혀 없으며 오히려 그냥 먹으면 싱겁다고 케찹을 듬뿍 뿌려먹는다. 비슷한 이유로 미국에 처음 간 한국인이 피자헛 같은데서 피자를 시켰다간 엄청나게 짜서 제대로 못 먹을 수도 있다. 또한 코스트피자는 짠게 문제가 아니라 기름이 흥건하게 위에 고일 정도로 기름지다. 처음 갈때는 Shakeys 같은 아이들이 많이 가는 곳의 피자를 시도하는게 좋다. 한국인 성인 기준으론 이것도 제법 짠 편이다.[6] 이런 손가락 마디 크기의 해시 브라운을 영어로는 테이터 탓츠, tater tots (혹은 그냥 tots)라고 부른다. 또한 대한민국 한정으로 감자볼 또는 포테이토 펍스라고 부르기도 한다.[7] 넓게 보면 프렌치 프라이의 일종이긴 하다. 테이터 탓즈 스타일의 프렌치 프라이인데, 자세한 것은 프렌치 프라이 항목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