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 버스 720-3
1. 노선 정보
2. 개요
화성여객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 노선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동탄신도시 입주가 시작되면서, 주민들의 교통 편의를 위해 2007년 2월 1일에 신설했다. 당시 노선은 아래와 같다.
- 2007년 4월 경, 단국대학교 죽전캠퍼스가 개교하면서 종점이 단국대학교로 단축되었다. 이와 함께 수원구간(우만 3~4단지 + 경기대후문 미경유, 중소기업센터 경유)과 수지 이후구간(동천동 + 머내 + 미금역미경유, 풍덕천 + 죽전신세계 + 꽃메마을 경유)도 변경되었다.
- 이때까지만 해도 배차간격이 기존 40분에서 20분으로 조정, 신형차량이 들어오는 등 나름 잘 다녔으나, 2009년 3월 2일에 뜬금없이 경기대를 기준으로 노선이 둘로 쪼개져 기존 노선은 경기대로 단축되었고, '경기대 - 동탄신도시' 구간은 723번으로 신설되었다. 관련 게시물(가입 필요) 당시 차량
- 2009년 4월, 한 달 만에 다시 두 노선이 합쳐졌고, 영통로 대신 봉영로 경유로 바뀌었다. 그 이후로 상황이 더 나빠지기 시작했는데, 동탄에서는 다른 노선에 치이고, 영통에서는 720-1번이, 수지에서는 다른 700번대 시리즈가 미친듯이 다니다보니 지속적으로 감차해, 이 시기에는 배차간격이 40분에서 무려 90분(!!!)으로 벌어졌다.
- 2012년 4월 30일, 광교신도시 입주와 법원사거리 개량으로 광교를 통해 바로 수지로 가는 도로가 개통되면서 아주대학교병원을 경유하지 않고 이 도로를 이용하는 노선으로 변경되면서 기점도 동탄공영차고지에서 단국대학교로 변경되었다.
- 2012~13년 사이 이 노선에 단국대학교 내부 운행구간이 생겨 교내 이용시 무료로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다만 문제는 학교측에서 공식적으로 운행하는 셔틀버스와 운행경로가 달라 존재감이 제로였다는 것.[2] 이후 2013년 중으로 학교 셔틀버스와 같은 경로를 이용하게 되어 이제는 치과병원 앞에서 평화의광장까지 이동하려는 학생 수요도 많이 늘었다.
- 화성여객 설립 이후 많은 버스 동호인들이 이 노선도 화성여객으로 이관 혹은 공동배차를 할 것이라고 예상했는데 예상대로 2016년 2월부터 화성여객과 공동 배차를 시작하였다. 단국대 출발 차량은 경기고속이 운행하고, 동탄 출발 차량은 화성여객이 운행했다.[3]
- 수지로112번길이 폐쇄되면서 2016년 6월 11일부터 상현동 현대홈타운 정류장을 경유해 상현동입구 교차로에서 43번 국도를 이용한다.
- 경기고속 차량을 빼고 화성여객 차량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화성여객 운행 비중을 서서히 늘려나가다가 2017년 12월 부로 화성여객으로 완전히 이관되었다. 노선 관리는 당분간 계속해서 단국대에서 하지만 전부 화성 출발 차량으로 차량 주박은 화성영업소에서 하는듯 하다.
- 2018년 초부터 서동탄역파크자이로 연장되었다.
4. 특징
- 거리비례제 적용노선이므로 현금으로 승차시 목적지를 말해야 한다.
4.1. 수요
- 수차례의 노선 변경 이후에 광교수요와 단국대수요를 기반으로 수요가 늘어났다. 한때 2대로 운행했던 노선이 이젠 17대로, 전 차량 대형차량으로 운행하며 배차간격도 2014년도까지만 해도 40~90분으로 장거리 농어촌버스급이던 노선이 현재 10~30분으로 크게 개선되었다. 주로 수요가 나오는 구간은 단국대학교~죽전역, 수지지역에서 죽전역 연계, 상현역~광교신도시 수요, 영통지구와 망포역~신영통,동탄신도시 수요이다. 특히 영통지구에서 광교신도시를 최단시간으로 이동해주어서 수요가 좋은 편이다. 하지만 주말 배차간격은 최대 1시간까지 벌어질 정도로 좋지 않아 불편 민원이 많다.
- 단국대학교 캠퍼스 안에서 셔틀버스를 겸하기도 한다. 교내에서 이 버스가 왔을시 학교 안을 왔다갔다할 목적이라면 무료로 이용이 가능하다.(업체와 협의된 사항) 다만 운행을 마친 몇몇 차량들은 캠퍼스 내 운행을 거부하는 경우도 있으니 요주의.
5. 연계 철도역
- [image] 수도권 전철 1호선: 서동탄역[4]
- [image] 수도권 전철 신분당선: 상현역, 성복역, 수지구청역
- [image]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죽전역, 청명역, 영통역, 망포역
[1] 코로나19로 인하여 13대로 운행중이다.[2] 학교측 셔틀버스의 운행경로는 현재 720-3의 노선과 같은 경로인 '복지관(치과병원) → 종합실험동(공학관) → 평화의광장 → (인문관)'이다. (인문관의 경우는 KD가 셔틀버스를 굴리던 시절에는 다녔으나 타 업체로 변경된 이후 가지 않는다.) 하지만 이 당시 운행경로는 '정문 → 인문관 → 평화의광장 → 공학관' 경로였는데, 정차하는 곳은 셔틀버스 정류장 입간판의 맞은편(...)이었다. 즉, 현재의 운행방향과 반대방향이었다. 게다가 배차간격도 이당시까지만 해도 90분에 가까웠던터라 이용률은 상당히 저조했다. 셔틀버스가 없는 시간에는 죽전역에서 학교로 올 때 용인 마을버스 24, 40을 타려는데 얻어걸리지 않는 이상은 타기가 힘들었던 것. (참고로 이당시에는 24번 마을버스는 단국대 내부로 들어오지 않았다.[3] 다만 2016년 초에 차량 내부 소독을 실시하였는데 화성여객 차량도 단국대영업소에서 소독을 하였다고 나왔다.[4] 단국대 방면 미경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