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광주 버스 720-1

 



[image]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노선
4.2. 차량
4.3. 일평균 승차량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


[image] 광주시 일반시내버스 720-1번
기점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원천동(영통차고지)
종점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서현역.AK플라자)
종점행
첫차
04:50
기점행
첫차
05:00
막차
22:30
막차
23:30
평일배차
출퇴근 15~20분/평시 20~40분
주말배차
30~60분
운수사명
경기고속
운행대수
30대[1]
노선
영통차고지 - (영통역 → 망포역 → 신영통 → 삼성반도체 → 신영통 → 망포역 → 영통역)[2] - 영통구보건소 - 청명역 - 프리미엄아울렛 - 원천주공2단지 - 구법원사거리 - 아주대학교 - 창현고.유신고 - 수원월드컵경기장 - 우만주공 3~4단지 - 경기남부경찰청 - 경기대수원캠퍼스후문 - 광교역사공원 - 광교상현꿈에그린 - 성복역.데이파크 - 이마트(수지) - 수지구청역 - 삼성1차.보원.건영아파트 - 수지중.고.삼성4차 - 동천동 - 머내.기업은행 - 미금역 - KT.주택전시관 - 정자2동행정복지센터 - 파크타운.롯데A - 분당구청.중앙공원후문 - 서현역.AK플라자
'''중간 출발 정류장'''
'''서현역''' 방향
반월리큰고개(성남 방면), 영통구보건소05:00
'''영통''' 방향
없음

2. 개요


경기고속에서 운행하는 일반시내버스 노선으로 영통, 수지, 분당(서현역)을 잇는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1997년에 영통지구 분양으로 인한 대중교통 대책에 의거 신설되었다. 당시에는 삼성여객에서 운행하였으며, 경희대학교에서 남한산성입구까지 운행했다. 그러다 1998년, 삼성여객이 부도가 나자 경기고속이 인수해 시내버스로 형간전환하고 기점을 삼성반도체로 연장되었다.
  • 2007년 09월 17일부터 기, 종점에서 막차 시간을 30분 연장운행한다.
  • 2015년 11월 30일, 이 노선과 동일한 경로에 동탄2신도시 구간을 추가로 운행하는 721번이 개통되었으며 이와 동시에 차량 5대가 차출되었다.
  • 2016년 1월에는 무려 7대가 감차되어 720-3번에 투입되었다. 덕분에 720-3은 대형차가 운행하고 720-1은 배차간격이 더 벌어졌다.
  • 2016년 7월 11일에 영통차고지로 단축되었고, 남한산성입구 방향만 신영통과 삼성전자를 경유하도록 변경되었다.[3] 관련 게시물
  • 2019년 7월 8일에 '서현역 - 이매역 - 야탑동 - 도촌동1단지 - 대원터널 - 상대원 - 신구대학교 - 단대쇼핑 - 남한산성입구' 구간이 단축되었다. 720-1A번은 기존의 영통 방향 야간 삼성반도체 지원운행 대신 '오리역 - 남한산성입구'로 노선이 변경되면서 상시운행 노선으로 변경되었으며, 동시에 대원버스로 이관되었다. 관련 게시물

4. 특징



4.1. 노선


  • 720 시리즈가 전부 굴곡노선이지만 이 노선은 그 중에서도 최강이다. 삼성반도체에서 신영통을 거쳐 영통을 덕영대로-봉영로를 쭉 따라가다 영통역사거리에서 갑자기 좌회전을 하더니 지역난방공사를 휘감고 지나간다. 다시 봉영로로 나오면 영통입구에서 좌회전해서 42번 국도로 아주대입구까지 직선으로 가다 우회전해서 아주대쪽으로 가더니 720-2번처럼 광교로로 가지 않고 우만4단지 방향으로 돌아간다. 우만4단지부터 창룡대로와 포은대로로 쭉 달리다가 상현교차로에서 수지로로 빠지고, 수지구청, 삼성1차아파트, 수지중학교, 동천동현대홈타운 아파트를 거치는 수지 투어[4]도 하고, 금곡IC로 미금역을 넘어가고 나서부터 성남대로를 쭉 따라가다 정자2동과 파크타운을 경유했다가 성남대로로 다시 나와 서현역에서 회차한다.
  • 남한산성입구~서현역 단축 이전에는 주행거리가 무려 92km이나 되어서 편도운행만 2시간 45분, 약 3시간이 걸렸다. 노선 단축 이후에도 여전히 노선 길이가 긴 편인데, 노선 자체가 구간수요로 먹고 사는 노선이라 어쩔 수가 없었다. 노선 길이가 긴 만큼 수요가 나오는 구간도 다양한데, 삼성반도체~망포역/영통역, 황골/청명/원천~아주대, 법원사거리/아주대~우만동/경기대, 우만동/경기대~수지구청, 미금역~파크타운~서현역 등 매우 다양하다. 이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구간은 수원구간이며 경기대~법원사거리 구간과 망포역~삼성반도체 구간이 가장 혼잡하다.
  • 중복 노선이 많은 편이 아니며 단독 역할도 많아 중거리와 구간수요가 상당히 많고, 많은 대수로 운행하기 때문에 배차도 괜찮으며, 회사에서 신경써주는지 신차도 나름 자주 들어오던 편이었다.[5] 경기 남부의 주요 도시인 화성(신영통) - 수원 - 용인(수지) - 성남을 운행하기에 수도권에서 많이 타는 시내버스이기도 한데, 한때 경기도 시내버스 순위 3위까지 달성할 정도였으나,[6] 현재는 많이 추락하여 15~30위권대로 밀려났다.
  • 농서동 삼성전자 통근버스 차고지가 기점일 시절에는 1560번과 더불어 남자기숙사~기흥사업장까지 무료 이용이 가능했다. 그러나 차고지로 사용중이던 기흥영업소가 삼성전자의 폐쇄 요구와 KD 운송그룹이 화성권지사 안녕동차고지[7]를 만들면서 없어질 예정이었지만 화성영업소 신설 이후에도 기흥영업소는 한동안 존치되었다가 결국 2015년 9월에[8] 영흥체육공원 인근에 영통영업소를 신설하고 여기에 주박함으로서 기흥영업소는 완전히 폐쇄되었다. 폐쇄와 함께 삼성전자 정문으로 단축되어 이제 남자기숙사 앞으로 다니지 않고, 대신 삼성전자 자체적으로 남자기숙사 셔틀버스를 증편하는 것으로 대체되었다.
  • 기흥삼성반도체에서 미금역을 갈 때는 116-1번이 훨씬 빠르다. 다만 이 노선도 보라동, 한국민속촌, 신갈, 구성 등을 경유하다보니 1시간 이상 걸리므로 차라리 시간이 촉박하면 망포역이나 영통역에서 수인분당선을 타는 것이 낫다.

4.2. 차량


  • 과거에는 2007년식 BS106L이 대부분이었으며 BS106L F/L, 소수의 2008년식 구형 BS106L과 2014년식 NEW BS106으로 구성되어 있었다가 2017년부터 2007년식 차량 폐차로 17번과 720-2번에서 운행하던 2015년식 유로6 NEW BS106이 대량으로 투입되었다가 이후에는 말소과정에서 700-2번, 30번, 10-5번, 112번, 720-3번 출신 차량들 일부도 추가 투입되어 다니고 있다.
  • 원래 57대로 운행했으나, 2016년 12월에 SRT 개통으로 203번 노선을 신설하면서 721번에서 감차로 인해 감편된 대수만큼 증차돼 12월 11일부터 48대로 운행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17번 출신 NEW BS106도 한 대 들어왔다. 근데 2007년식 차량 폐차로 인해 다시 44대로 감차했으나 720-3번 경기고속 운행분이 1대 들어오면서 45대로 늘긴 늘었다.
[image]
  • 그러나 승무사원들이 부족하다보니 투입 대수 44대에서 1~2대씩 감차운행하며 운휴 대수가 점점 늘어나기 시작했고, 2019년 현재, 실제 보유 대수보다 적은 34대로 운행중인 상황이다. 최대 운행 대수가 34대인만큼 GBIS에 나타나는 운행 대수는 22~30대 정도로, 노선 길이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한 대수로 운영중이다. 게다가 차량 대수가 줄은 것만이 문제가 아니라 과속차량과 저속차량의 콜라보로 차가 붙어다니는 경우까지 흔하게 벌어지기 때문에 배차간격 널뛰기가 상당히 심한 편이다. 덕분에 차를 놓쳤을 때 재수 없으면 30분 넘게 대기해야 하는 상황이었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2019년 7월 8일부터는 경기광주 차적의 720-1과 성남 차적의 720-1A로 나누어 차량 분배를 하고, 기사를 적절히 배치하여 운행 정상화를 도모하게 되었다. 다반 분배 이후에도 영통과 사송동 동시주박은 남아있는 상태다.
  • 단축 감차분 차량들은 720-1A번 투입을 위해 성남시 차적으로 변경된 2016년식 NEW BS106 디젤차량들의 빈자리를 메우기 위해 흩어졌다. 17번, 700-2번, 720-2번 등등 출신 2014년식~2015년식 NEW BS106 몇대가 다른 노선으로 갔다. 특히 유로6 차량 비중이 크게 줄어들었다.
  • 차량 분배 이후에도 기사부족으로 이틀연속 근무하는 승무원들이 비교적 많다.[9] 거기에 대부분이 신입 기사들이고, 긴 노선으로 인해 승무원들의 피로가 심하다. 그래서 이 노선은 높은 친절도를 바라기 어렵다. 또한 승차거부도 잦다. 정류장에 승객이 있어도 타려는 신호를 보내지 않으면 그냥 통과하려고 하며 겨우 잡아서 타면 승객들에게 짜증을 내는 승무원들이 종종 계신다. 일부 승무원들은 승객들이 제대로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 급출발하며 운전도 KD 운송그룹 답지 않게 거칠게 한다. 그리고 하차문도 빨리 닫으려고 한다. 또 노선 특성 상 고속으로 밟을 수 있는 구간이 거의 없다시피 함에도 무리하게 밟는 등 난폭 운전을 하는 모습도 자주 볼 수 있으며 보행자신호가 한참 남았어도 건너는 사람이 없으면 그냥 지나가는 등 신호위반도 잦은 편이다.
  • 720번 시리즈들 중 720-3번, 721번과 더불어 천연가스버스가 한 대도 없다. 720-3번은 한때 BS090 가스 차량이 운행한 적 있는데 비해 720-1번과 721번은 충전소 문제로 개통 이래 단 한 번도 가스 차량이 투입된 적이 없다. 이번에 새로 분리신설된 720-1A는 증차나 차돌리기 등으로 가스차량 투입 가능성이 있다. 구미동차고지는 가스 충전이 가능하기 때문.
  • 수지구에서 영통으로 가기 위해선 720-1번보다는 우만동, 경기대, 아주대를 거치지 않는 720-3번을 이용하는게 훨씬 빠르다. 그리고 720-3번과 신영통~법원사거리 구간도 중복되기 때문에 실제로 720-1번이 하행이 영통차고지로 단축 되었을 때, 대체 노선으로 720-3번을 이용하는 승객들이 많이 늘어난 바 있다.
  • 현재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수입이 감소하자 무려 운행대수의 절반 정도를 감차하여 운행중이며, 배차간격이 예전에 비해 많이 늘어났다.
  • 형제 노선과 마찬가지로 사송동에 주박하는 차량들과 영통에 주박하는 차량들이 나뉘어 있다. 사송동에 주박하는 차량들은 첫차를 서현역에서 시작하고 막차 역시 서현역에서 종료하며, 영통으로 돌아가지 않는다. 이로인해 밤 시간때에 영통방향으로는 배차간격이 평소의 2배 이상 벌어지니 주의해야한다.

  • 서현역에 도착하면 회차 후 몇 분 휴식 후 다시 영통방향으로 운행한다.
  • 거리비례제 적용노선이므로 현금으로 승차시 목적지를 말해야 한다.

4.3. 일평균 승차량


  • 원 출처는 경기교통DB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했다.
  • 경기도 자료는 연간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아 매년 3월을 기준으로 작성했다.
  • 현금승차량은 집계되지 않았으며, 실제 승차량보다는 낮게 집계되니 단순 참고용으로만 확인하기 바람.
  • 2019년까지의 통계는 720-1번과 720-1A번[10]의 통계를 합산했다.
'''평일'''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32,354

2015년
30,635
▽ 1,719
2016년
23,112
▽ 7,523
2017년
23,955
△ 843
2018년
22,344
▽ 1,611
2019년
20,469
▽ 1,875
'''주말'''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22,721

2015년
23,238
△ 517
2016년
18,763
▽ 4,475
2017년
17,076
▽ 1,687
2018년
15,664
▽ 1,412
2019년
11,088
▽ 4,576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코로나 19 재확산으로 인해 평일 15대, 토요일 12대, 일요일 및 공휴일 10대 운행[2] 서현역 방면만 운행.[3] 그래서 남한산성입구 방면은 전구간 소요시간이 3시간으로 늘어났다. 단축을 한 지금도 2시간 넘게 걸린다.[4] 수지 투어 굴곡은 720시리즈 중 이 노선이 최강[5] 다만 천연가스 버스 위주로 신차를 투입하는 2011~2013년, 2015년~ 현재는 신차 투입이 한 번도 없었다. 2015~2016년에는 신차가 디젤 차량만 출고되었지만 대차 대상 차량이 없어서인지 순번이 밀려서인지 이때도 신차 출고가 없었다.[6] 당시 2위는 720-2번, 1위는 88번이었다. 이 두 노선은 (가끔 51번이 2위로 올라올 때를 제외하면) 지금도 순위가 유지되고 있다.[7] KD 운송그룹 시내부에서 가장 큰 차고지중 한곳인 광교영업소 이상으로 크다.[8] 실제로는 8월부터 관리.[9] 2020년 들어서는 더블근무가 거의 없다.[10] 2019년 7월 이전 야간에 운행했던 동일 노선의 시내버스[11] 광교마을.린병원에서 내려서 좀 더 걸어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