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혜공주

 



'''조선 중종의 왕녀
효혜공주 | 孝惠公主
'''
'''이름 '''
옥하(玉荷)
'''출생'''
1511년(중종 6년) 5월 18일
'''사망'''
1531년(중종 26년) 4월 20일
(향년 21세)
조선 한성부 중종의 잠저
'''부왕'''
중종
'''모후'''
장경왕후 윤씨
'''부군'''
연성위 김희
'''자녀'''
1녀
(장녀) 윤백원의 처[1]
'''묘소'''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신원동 산 16-5
1. 개요
2. 생애
3. 어린 시절
4. 혼인
5. 죽음
6. 그 이후
7. 매체에서

[clearfix]

1. 개요


조선 중종장경왕후의 적장녀. 인종의 유일한 동복형제로, 명종에게는 이복누나가 된다.

2. 생애



3. 어린 시절


본명은 옥하(玉荷)로, 왕실의 족보인 선원록에 기재되어 있다. 보통 왕자와 다르게 공주나 옹주의 이름이 기록에 잘 남아있지 않고, 후대까지 전해지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하면 특이한 경우다.
1515년(중종 10) 공주는 나이 5세에 어머니 장경왕후를 여읜다.[2] 일찍 어머니를 잃은 남매라는 공감대로 인종과 사이가 매우 돈독했으며, 연려실기술의 인종조고사본말에서는 나중에 효혜공주가 죽자 인종은 너무 슬퍼하다 병을 얻을 정도였다고 한다.

4. 혼인


1520년(중종 15) 김안로의 아들 김희[3]와의 혼인이 결정되었으며, 이듬해 11월 가례를 올렸다.
한편 딸을 사랑한 중종은 공주의 시아버지가 된 김안로에게 "공주가 떠받드는 속에서만 자라서 시부모를 존대하는 예를 모르니 부드럽게 타일러 달라"라고 말했는데, 쉽게 말하자면 "내 딸이 귀하게 자라 버릇 없겠지만 심하게 혼내지 말고 잘 달래라"라고 말을 했다.[4] -
가례를 올린 공주는 중종이 진성대군일 때의 잠저에서 신혼 생활을 하게 된다. 중종과 신하들 모두 효혜공주와 연성위의 집을 잠저라고 말하고 있다.[5] 다만, 중종의 잠저가 어디에 있었는지 구체적으로 전해지는 바가 없고, 현재 남아있는 터도 없어서 추정은 어렵다.

5. 죽음


1528년(중종 23) 공주가 이질을 앓았는데, 중종이 이를 걱정해 대간의 반대를 부릅쓰고 문병하였다.
그로부터 3년 후 외동딸을 출산한 후 산후병으로 향년 21세로 사망했다.[6]

6. 그 이후


효혜공주는 슬하에 선옥(善玉)이라는 이름의 딸 하나만을 두었다. 이 딸은 문정왕후의 남동생 윤원로의 아들 윤백원과 혼인했다. 그런데 윤백원은 명종대에 이량 일파에 가담하여 사림을 제거하려다가 유배되는 사람이다. 그 이유가 아버지 윤원로를 죽게 만든 윤원형에게 복수하고자 권신이자 외척인 이량의 말 잘 듣는 장기말이 되었던 것. 이때 효혜공주의 하나밖에 없는 사위라고 문정왕후가 언서를 내려 가까운 곳으로 유배지를 옮겨주었다.[7] 사실 문정왕후에 대한 세간의 이미지와 달리 중종의 후궁들이나 자식들에게 야박하게 군 적은 없다.[8]
훗날 외손녀이자 선옥의 딸인 윤개미치가 아버지 윤백원을 독살했다는 죄목으로 장을 맞다가 사망하는 참극이 벌어진다. 뒷날, 억울함이 밝혀져 신원이 회복되지만 이미 벌어진 일을 돌이킬 수는 없었다. 그야말로 가족간의 참극.

7. 매체에서


  • SBS 드라마 《여인천하(2002)》: 주로 중종의 효성 깊은 딸이자 문정왕후의 호통에 움츠려드는 심약한 성품으로 그려지는데, 김안로가 권세를 휘두를 수 있게 해주는 원천이 되어준다. 남동생인 인종과 우애가 깊은 사이로 묘사되지만, 문정왕후가 김안로와 대립관계에 있는 탓에 갈굼을 많이 당한다. 또한 남편 김희와 함께 작서의 변에 가담하는 것으로 묘사되며[9] 이에 대한 죄책감에 시달리다 출산 중 젊은 나이에 요절한다.
  • MBC 드라마 《대장금(2003)》: 어린 공주의 모습으로, 아역이 맡아 출연했다. 공주가 여러 날 동안 음식을 먹지 않는데 이유를 알 수 없어 궁궐이 발칵 뒤집히는 에피소드다.[10] 장마철 폭우에 잠긴 미곡에서 미세한 잡내가 나는 것이 거슬려서 밥을 못 먹었는데, 어째서 진작 말하지 않았느냐고 묻자 '"아버지도 군말 없이 드시는 수라를 어찌" 라고 대답한다. 효성 깊고 세심하면서 조용한 인물.
[1] 이름은 선옥이다. [2] 이때 장경왕후는 아들 인종을 낳고 산후병을 얻어 25세의 나이로 일찍 떠났는데, 공주도 25세도 넘기지 못하고 죽게 된다. [3] 실록에서는 몽룡(夢龍)이라는 이름으로 나오는데, 김희의 아명이거나 초명일 것으로 보인다. [4] 중종실록 43권, 중종 16년 11월 11일 기미 1번째기사. # [5] 중종실록 52권, 중종 19년 11월 4일 갑자 1번째기사. # [6] 중종실록 70권, 중종 26년 4월 20일 갑술 3번째기사. # [7] 태어나자마자 효혜공주가 죽어서 어머니의 사랑을 받지 못했고, 또 윤원로를 정계에서 축축하는데 문정왕후의 동의가 있었으나 조카 윤백원에게는 미안한 감정도 있었을 것이다. [8] 중종의 후궁 희빈 홍씨, 창빈 안씨 등은 명종 대까지 궁중에서 살았고, 문정왕후의 행장에도 평상시에도 왕자와 왕손들에게 두루 은전을 베풀었다고 썼다. [9] 다만 김안로 부자와 달리 효혜공주는 어디까지나 인종(조선)을 지켜주기 위해서 가담한다. 비록 인종이 중종의 적장자에 세자였으나, 총애 받는 어머니가 살아있는 복성군과 알게 모르게 신경전을 펼치는데다 입지가 불안해서 김안로의 권세에 의지하는 것. [10] 중종과 자순대비, 장경왕후가 공주를 걱정해 찾아오는데 고증이 잘못되었다. 아역의 연령대로 미루어 보아 이 당시에는 장경왕후가 아닌 문정왕후가 있었어야 맞는 고증에 맞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