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경왕후

 



'''호칭'''
'''장경왕후(章敬王后)'''
'''시호'''
숙신명혜선소의숙장경왕후
(淑愼明惠宣昭懿淑章敬王后)
'''출생지'''
호현방(好賢坊) 사저[1]
'''사망지'''
경복궁 동궁 별전
'''본관'''
파평(坡平)
'''배우자'''
중종(中宗)
'''아버지'''
파원부원군 윤여필
'''어머니'''
순천부부인 순천 박씨[2]
'''생몰'''
'''기간'''
음력
1491년 7월 6일 ~ 1515년 3월 2일
양력
1491년 8월 10일 ~ 1515년 3월 16일
'''재위 기간'''
1507년 ~ 1515년
1. 소개
2. 매체에서의 등장


1. 소개


조선 중종의 첫 번째 계비. 인종의 친어머니이며, 월산대군의 처조카이고 박원종의 외조카이자 성종의 며느리이다.
본관은 파평. 파원부원군 윤여필의 딸이다. 어린 시절 큰이모 월산대군의 아내인 승평부대부인 박씨의 집에서 자랐고, 중종이 즉위한 해에 내명부 종2품 숙의(淑儀)로 책봉, 중종의 후궁이 되었다. 그러나 중종의 첫 왕비 신씨어떤 민감한 문제로 폐출이 되었다. 중종의 후궁이기도 한 반정공신들의 들이 '''"새 왕비 자리는 내 거야!"''' 했으나 결국 윤씨가 왕비가 되었다. 정황상 중종의 후궁 중에서 장경왕후가 가장 유력한 후보였을 것이다. 장경왕후의 친정은 대대로 왕비를 배출할 만큼 명문가였던 파평 윤씨 가문이고, 결정적으로 외삼촌이 반정 1등 공신인 박원종이었다. 게다가 월산대군에게는 처조카가 되니 왕비 자리에 가장 가까웠을 것이다. 1511년에는 중종의 맏딸인 효혜공주를, 1515년에는 적통 대군인 원자를 낳았으나 산후병으로 엿새 만에 25세 나이로 숨을 거두었다.

이튿날 새벽 병세가 매우 중해지자 일어나 앉아 손수 글을 써서 상께 아뢰기를 '어제 첩의 마음이 혼미하여 잊고 깨닫지 못하였는데 생각해보니 지난해 여름 꿈에 한 사람이 말하기를, 이 아이를 낳으면 이름을 억명(億命)이라 하라 하므로 써서 벽상에 붙였었습니다.' 하였다. ─ 《조선왕조실록》 중종 21권, 4번째 기사

죽기 전에 당시 원자였던 인종의 이름을 억명으로 지어달라고 말했다고 한다. 일설에는 이렇게 지어야 오래 산다고 하였는데, 나중에 인종은 피휘하기 위해서 호(峼)로 이름을 고친다.
대윤과 소윤을 나눌 때, 대윤의 우두머리가 되는 윤임이 장경왕후의 오빠이다. 이 때문에 을사사화 당시 윤임을 비롯한 장경왕후의 친정 가족들은 문정왕후와 소윤 세력에게 대거 숙청당했다. 그나마 장경왕후의 친아버지 윤여필은 나이가 많아서(1466년생) 잠시 용인에 유배를 갔다가 문정왕후가 '윤여필은 장경왕후의 지친(아버지)이므로 특별히 방면한다'라고 말하며 풀어주었다.
효혜공주김안로의 아들 김희와 혼인하면서 사돈 관계가 된다. 장경왕후가 죽은 후 왕비로 책봉된 중종의 셋째 왕비는 장경왕후에게 삼종질(9촌 조카)이 된다. 능은 경기도 고양시에 위치한 희릉(禧陵)이다.[3]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에서는, 9년 동안 중궁에 있으면서 스스로는 엄격하면서 아랫사람에게 후덕해 칭송이 많았다고 했다.

2. 매체에서의 등장


[image]
대중매체에서는 몸이 약해 오래 살지 못하고 일찍 죽는 역할로 등장하고, 주인공 격으로 등장한 적은 없다. 애니메이션 장금이의 꿈에도 나왔다. 성우는 윤소라.
이외에 드라마 7일의 왕비에서는 고보결이 연기하는 윤명혜라는 인물로 등장한다. 이름은 아마 시호에서 따온 듯.[4] 다만 이 드라마에서는 장경왕후가 된 모습은 등장하지 않으며, 오히려 마지막에는 스스로 중전의 자리에서 한 발 물러서는 모습으로 마무리되었다.
여인천하에서는 오아랑(1970)이 연기했고 경빈 박씨에게 비상 섞인 잣죽을 받는 등 후궁들의 견제를 받다가 효혜공주와 나중에 인종이 되는 원자를 낳고 세상을 뜬다. 사망 후에는 큰 분량이 없지만 26화에서 경빈이 유산하던 밤 경빈의 꿈에 나타나 과거 원자를 잉태했던 당시 자신에게 했던 일들을 잊었냐며 복중의 태아를 데려가겠다 한다. 58화에서는 정난정이 암자에서 문정왕후 소생의 아들이 태어나서 대통을 잇기를 빌자 꾸짖는 환상으로 등장했다. 그 꿈이 신경쓰였던 정난정은 다음 날 곧바로 하산했고, 얼마 후 원자가 세자로 책봉된다. 문정왕후 소생의 아들 경원대군이 태어나고 명종이 된 건 한참 뒤의 일이다.
네이버 웹소설에서 연재되는 유오디아 작가의 조선공주실록에서는 윤여진이라는 이름으로 등장. 다만 중종이 진성공주로 여성화되어 등장하므로 왕후로 등극하지는 않고 진성공주의 이복남동생인 영산군과 혼인했다.

[1] 현재의 중구 북창동 일대이다.[2] 박중선의 딸로 박원종의 누이이자 월산대군의 정실인 승평부대부인 박씨의 여동생이다.[3] 이 능은 사연이 참 많은데 처음에 묻힐때 무덤을 조성하던 과정에 그 자리에 돌이 '''20수레'''나 나왔다고 하는데 그래서 몇 자 아래에 묻히게 되었는데, 자그마치 '''20년''' 뒤에 김안로가 언급해서 천장하고 그 때 있던 사람들 벌주는데 말이 왜 국모를 그딴곳에 묻냐는 것이지, 사실 정광필을 벌주기 위함이었다. 또 나중에 중종이 죽으면서 같이 묻혔는데 문정왕후가 대왕대비 시절 중종의 곁에 묻히고 싶어서 묘소를 옮겼지만 문정왕후 사후 중종이 또 묘소가 옮겨지면서 중종의 세 왕후 중 어느 쪽과도 먼 곳에 묻히게 되었다. 후새드.[4] 다만, 완전한 장경왕후는 아니고 살짝 가공이 된 인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