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빈 안씨

 


'''조선 중종의 후궁
창빈 안씨 | 昌嬪 安氏
'''
'''빈호'''
창빈(昌嬪)
'''출생'''
1499년(연산군 5년) 7월 27일
'''사망'''
1549년(명종 4년) 10월 18일
(향년 51세)
'''본관'''
안산(安山)
'''부모'''
부친 안탄대
모친 황씨
'''부군'''
조선 중종
'''자녀'''
2남 1녀
(장남) 영양군(1521)
(장녀) 정신옹주
(차남) 덕흥군
'''묘소'''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동 299-10
1. 개요
2. 생애
3. 사극
4. 묘소

[clearfix]

1. 개요


조선 중종후궁. 덕흥대원군의 생모이자 선조의 친할머니다. 참고로 '''선조 이후의 조선 국왕들이 이분의 후손이다.'''

2. 생애


경기도 시흥[1]에서 안탄대라는 사람의 딸로 태어나 1507년 궁녀로 입궁했다. 뛰어난 미인은 아니었지만 성품이 차분하고 행동거지가 정숙하여, 정현왕후의 신임을 받았다. 정현왕후는 안씨를 아들 진성대군의 후궁으로 추천했고, 20살의 안씨는 정3품 품계인 숙용에 봉해졌다.
영양군과 정신옹주를 생산한 데 이어, 후대 조선 왕통을 이끌어갈 중요한 자식인 덕흥대원군을 낳았다.
후계자 문제로 정치가 불안정하던 중종 시절, 안씨는 궁궐 생활에 눈에 띄지 않았고 품행이 다정해서, 중종의 정실(계비)인 문정왕후와 잘 지냈다.
중종 사후에도 문정왕후의 만류 덕분에 안씨는 여승이 되지 않고 궁궐에 머물 수 있었다. 또한 안씨가 죽은 이후에도 문정왕후는 안씨의 세 자녀를 잘 돌봐주었다. 그런 인연 덕분인지 문정왕후의 외아들 명종이 후사없이 세상을 떠나자, 명종의 정실 인순왕후는 안씨의 자손인 하성군을 즉위시켰다. 선조와 이후의 모든 조선 국왕은 안씨의 후손들이다.
안씨의 생전에는 전혀 생각지도 못한 일이지만, 그녀의 손자인 하성군이 왕위에 오른 덕분에 안씨는 내명부 정1품 빈(嬪)으로 추존되어 창빈의 칭호를 받고 묘를 이장하게 된다.

3. 사극


[image]
드라마 여인천하에서는 최정원이 연기하였다. 경빈 박씨희빈 홍씨 등 독기와 개성 넘치는 다른 후궁들과 달리, 이쪽은 역사에 기록된 대로 분쟁을 꺼리며 자신의 분수를 지키는 얌전한 사람으로 나온다. 그래서인지 문정왕후와 사사건건 대립각을 세우던 경빈 박씨희빈 홍씨와는 달리, 창빈은 문정왕후의 편에 서거나 아예 나서지 않는 경우가 많다. 심지어 중종이 세자를 책봉하기 위해 아들들의 재능을 살피며 경쟁을 시켰을 때도, 그녀 스스로가 자신의 아들을 기권시켜 옥좌를 포기하게 만든다.
하지만 처음부터 끝까지 순한 모습만은 보인 것은 아니고, 이런 창빈도 파릉군이 살생부를 제작해 반정공신을 비롯한 대신들이 모조리 쓸려나갈 위기에 처하자 다른 후궁들과 의기투합해 독기어린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창빈 역시 친정의 생사가 걸린 이때만큼은, 반정공신의 딸들인 다른 후궁들과 다르지 않게 문정왕후에게도 눈을 희번득하게 부라렸다. 그런데 실제 역사 속 창빈은 가난한 집안 출신이라 사실상 이런 행동을 할 이유가 전혀 없어서, 이 드라마의 가장 큰 역사왜곡이 창빈에 대한 것이라는 사실을 다시금 상기시켜 준다.[2]
그리고 평소 오만방자하게 날뛰던 경빈 박씨를 찍어낼 때도, 창빈이 희빈 홍씨와 함께 전면에 나서기도 한다.
하지만 이렇게 친정의 생사가 걸리거나 왕실 전체가 발칵 뒤집어질 정도의 일이 아니면 다른 일에는 나서지 않고, 특히 무엇보다도 세자 자리에는 시종일관 욕심이 없다. 그 덕에 작중에서 한성깔하는 문정왕후는 다른 간택후궁인 경빈 박씨, 희빈 홍씨와는 정말로 목숨을 걸고 서로 물어뜯어댔지만, 창빈만은 실제 역사와 똑같이 친하게 지내며 곁에 두었고, 결국 경빈과 희빈은 모두 쓸려나갔지만[3] 창빈만 홀로 살아 남았다. 뿐만 아니라 명종이 요절하면서 문정왕후에서 비롯한 혈통은 끊어지고 덕흥군의 아들 하성군이 선조로 즉위해 조선 왕실의 대통을 이어가게 되면서, 후세에 이르러 진정한 승리자가 된다. 드라마에서는 아예 창빈의 사망 이후 나레이션에서 대놓고 '''"후궁 중 결국 유일하게 천수를 누린 최후의 승리자"'''라는 평가를 내린다.[4]
참고로 극중에서는 안씨를 칭하는 호칭이 창빈이지만 엄밀하게 말하면 이것은 틀린 칭호다. 안씨가 창빈으로 책봉된 것은 사망 이후의 일로, 생전에는 어디까지나 숙용일 뿐이었기 때문에 안 숙용이나 숙용 안씨라고 불러야 옳겠지만 여인천하에서는 그냥 창빈으로 불린다. 또, 여인천하에선 안당의 조카딸이라고 나왔지만 성이 같을뿐이지 안당과는 본관이 다르고 엄연히 남남이다.
KBS 2TV 드라마 조광조에서는 역시 얌전한 이미지로 묘사되었다. 후궁 시절부터 장경왕후와 친했던 것으로 나온다. 장경왕후가 승하할 때 다른 후궁들이 겉으로는 울면서도 왕비의 자리를 내심 노릴 때, 안씨는 진심으로 통곡하였다.

4. 묘소


묘소는 현재 서울 동작동 국립서울현충원 경내 후방에 있다. 1549년 사망했을 때는 양주 장흥에 매장되었으나 풍수가 불길하다는 이유로 1550년 과천 동작리로 이장했다. 그런데 무덤을 이장한 후 손자 하성군이 왕으로 즉위하자 이곳이 명당이라는 인식이 확산되어 세간에서는 창빈묘를 '동작릉'이라 높여 불렀다. 재미있게도 창빈묘 주변에는 이승만, 박정희, 김대중, 김영삼 등 대통령 4인의 묘가 있어서 '''주변에 대한민국 대통령들을 거느리고 잠들어 있는 셈'''이다(!). 창빈의 묘를 가 보려면 국립현충원 대통령 묘소 쪽으로 가면 찾기 쉬운데, 창빈 묘는 정말로 저 네 대통령 무덤의 '''한가운데'''에 위치해 있다. 역시 진정한 승리자는 죽어서도 뭔가 다르다.

[1] 당시 경기도 금천현. 시흥은 조선 후기의 명칭이다.[2] 밑에도 나와 있지만 창빈이라는 직위 또한 죽은 다음에야 받았고, 실제 역사에서는 어디까지나 한낱 숙용일 뿐으로 권력과는 거리가 한참 멀었다.[3] 희빈 홍씨는 드라마 중반부터 쩌리가 되며 폐출되지 않고 드라마의 후궁 중에서는 가장 오래 살았지만, 양재역 벽서 사건 때 아들 봉성군이 연루되어 사사당하는 불행을 겪었다(봉성군은 윤원형이 몰락한 후 신원된다).[4] 이건 틀린 부분이 있는게 희빈 홍씨가 팔십이 넘어서까지 천수를 누렸다. 그러나 손자가 왕이 된 창빈 안씨와는 비교되지도 않는다.